안녕하세요
중국이 외국기업의 지분을 제한해 왔던 자동차 제조시장을 내년 1월부터 전면 개방합니다.
28일 관영 글로벌 타임스와 펑파이(澎湃)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와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전날 발표한 '2021년 외상투자 진입 특별관리 조치'(이하 조치)에서 중국 승용차 제조 부문에서 외국인 투자 지분을 제한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외국 자본이 중국에서 승용차 생산 공장을 설립할 때 중국 기업과 합작을 해야 하는 근거는 사라지게 됐습니다.
중국 당국은 1994년 자동차 공업 산업 정책을 발표하면서 완성차 제조 기업에 외국인 지분이 50%를 넘지 못하도록 제한했고 이후 시장 개방 압력이 강해지면서 2018년 친환경차 지분 제한을 폐지했고, 2020년 상용차 지분 제한 역시 폐지했습니다.
테슬라가 2019년 중국 현지 법인의 지분 100%를 보유한 것도 규제 완화가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현대차 역시 상용차 지분 제한이 풀리자 지난해 1월 중국 상용차법인인 사천현대기차유한공사 지분을 100% 확보했습니다.
중국 당국의 자동차 제조 시장 개방 조치는 중국 업체의 성장을 반영한다는 해석도 나오는데 올해 11월 기준 중국 내 주요 합작기업의 자동차 판매량은 78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23% 급감했지만, 중국 자국 브랜드 판매량은 83만 대로 2% 증가했습니다.
중국 당국은 이번 조치를 통해 승용차 제조 부문을 완전히 개방했지만, 희토류, 영화 제작 및 유통, 담배 등 31개 부문에 대해서는 여전히 외국인 투자를 제한 또는 금지하고 있습니다.
국내 자동차 업계에서는 중국 정부의 이번 결정이 중국에서 줄곧 부진한 판매 실적을 보이고 있는 현대차와 기아는 중국 정부의 이런 정책 변화를 감지하고 신차 모델을 중국 합작사에 배정하지 않는 방식으로 합작사 실적을 둔화시키는 쪽으로 중국 시장 축소를 단행했습니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그간 베이징자동차그룹, 둥펑그룹 등 합작사가 중국 정부의 각종 제재로부터 현대차·기아를 보호해주는 방패 역할을 했지만, 합작사로부터 완전히 분리됨으로써 기댈 곳이 사라졌다고 볼 수 있다"며 "중국 현지 업체들도 전기차 등의 기술력이 크게 향상됐기 때문에 자율 경쟁 시장에서 현대차·기아가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고 반면 이러한 중국의 전략이 현대차와 기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는데 합작관계는 수익성이 50%로 떨어지는 사업으로 중국 내 현대차와 기아차를 아무리 많이 팔아도 수익을 중국 합작사와 나눠야 하기 때문에 메리트가 떨어지는 시장이었습니다
최근 몇 년간 현대차가 중국 합작사에 신차 모델을 주지 않았던 것도 합작관계를 청산할 경우 경쟁사가 될 수 밖에 없는 중국 업체에 기술유출이 이뤄지지 않도록 한 조치의 일환이었습니다
중국사업을 책임진 조선족 경영진들의 일선 퇴진도 이런 시장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내년 현대차와 기아는 신차모델을 갖고 중국시장에서 다시 한번 점유율 확대를 추진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릭스미스 경영권분쟁 지분경쟁으로 확산 도찐개찐의 머니게임 (0) | 2021.12.29 |
---|---|
노바텍 중국 희토류 무기화 수혜주 (0) | 2021.12.29 |
한국조선해양 총 5830억원 규모 필리핀 초계함 2척 수주 (0) | 2021.12.29 |
극장관련주 영화 '스파이더맨:노 웨이 홈' 국내 500만 관객 돌파 소식에 관심고조 (0) | 2021.12.28 |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성상납 의혹' 제기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 연구소' 고발 (0) | 2021.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