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화웨이가 지난 23일 자사 폴더블폰 'P50 포켓' 발표 하는 자리에서 삼성전자 갤럭시Z폴드를 거론하며 자사 폴더블폰이 더 낫다는 점을 강조했는데 중국 제조사들의 폴더블폰 공세가 거세지면서 시장 과점 사업자인 삼성전자를 향한 공세가 계속되는 모양새입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제조업체의 삼성전자를 향한 날선 발언은 화웨이가 처음이 아닌데 중국 제조사 오포 또한 지난 15일 자사 폴더블폰 '파인드엔'을 공개하면서 "다른 폴더블폰 기기와 비교해 최대 80%까지 주름을 최소화 했다"며 삼성전자의 폴더블폰을 겨냥했습니다.
피트 라우 오포 최고제품책임자(CPO)는 회사 블로그를 통해 "다른 브랜드가 먼저 폴더블폰을 냈지만 내구성과 유용성, 사용자 경험 측면에선 여전히 장벽이 있다"며 "우리는 단순히 트렌드를 따라가기보다 훌륭한 사용자 경험을 위해 천천히 출시하는 쪽을 선택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중국 제조사의 이같은 반응은 현재 폴더블폰 시장에서 독주하고 있는 삼성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되는데 삼성전자는 현재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에서 85%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삼성전자의 디자인 등을 그대로 베끼면서 비방까지 하는 것이 견제라고 하기에는 지나치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는데 최근 중국 제조사들은 같은 제품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삼성전자의 갤럭시Z시리즈와 비슷하게 폴더블폰을 만들어 출시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카피캣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수준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중국 스마트폰 사업이 우리나라 스마트폰을 카피하면서 성장해 왔다는 점에서 이번 폴더블폰 모델들은 카피캣으로 수준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프리미엄 스마트폰인 폴더블폰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시장점유율을 지켜야 한다는 점에서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공세가 신경쓰이기는 하겠지만 가격인하를 통해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시장진입에 허들을 만들고 있어 중국 업체들이 버텨낼 수 있을 지 의문이 들기는 합니다
애플 아이폰이 폴더블폰 시장에 뛰어들기 전까지 삼성전자의 적수는 없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브 그룹 BTS(방탄소년단) RM과 진도 코로나19 확진 BTS 활동중단 길어질 듯 (0) | 2021.12.26 |
---|---|
현대차와 기아 국내 중고차 시장 진출 선언 기존 중고차업계 반발 (0) | 2021.12.26 |
삼성전기 신임 대표이사 장덕현 사장 임직원 소통행사 미래 비전 공유 (0) | 2021.12.26 |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고요의바다" 크리스마스 이브 공개 첫 출발은 글로벌 7위 (0) | 2021.12.26 |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국내 6대 재벌회장들과 오찬 간담회 예고 (0) | 2021.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