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8R4a5iA1TVo?si=MKrqa7MtDUOMAvyD
좋아요 구독은 더 나은 콘텐츠 개발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재명 정부가 새로 출범하면서 시장은 이재명 대통령으 대선공약이 어떻게 정책화되는지에 관심이 몰리고 있습니다
경기침체기에 정부가 투자하는 분야가 경제를 견인해 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 지금까지 나온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공약 중 가장 큰 투자금이 필요하고 장기프로젝트인 '모두의 AI' 는 임기중 민관 합동 100조원데 자금을 인공지능AI 분야에 투자하여 세계 3위권의 인공지능 AI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것으로 지난 정부가 부자감세만 하며 첨단산업에 대한 투자는 국가R&D 자금을 삭감하며 후순위로 놓은 것에 대한 반성으로 나온 정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탄핵된 윤석열 정부는 자신들의 사리사욕인 '부자감세'에 집착하면서 100년지 대계라는 교육과 국가R&D 예산을 삭감하며 나라의 미래를 암담하게 만들었는데 다행히도 윤석열 정부가 3년만에 단명하면서 더 망가뜨리기 전에 바로잡을 기회를 갖게 된 것입니다
미국을 중심으로 AI 시장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고 있는데 트럼프 정부는 AI인프라투자에 임기 4년동안 5천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했고 이는 민간분야 투자가 견인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미국의 과감한 투자에 중국도 뒤쳐지지 않겠다고 딥시크와 같은 스타트업의 AI모델을 공개했는데 이는 미국 오픈Ai 중심의 폐쇄형 Ai모델이 비용만 많이 드는 비효율 AI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으로 우리나라와 같이 후발주자도 적은 비용으로 우리나라에 맞는 Ai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중심의 AI반도체 시장에서 우리나라 메모리반도체 업체들인 삼성전자와 Sk하아니기스의 HBM반도체는 없어서는 안되는 메몰빈도체가 되고 있는데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 부동의 1위로 여겨지던 삼성전자가 엔비디아향 HBM3E 공급망에 못 들어가면서 SK하이닉스가 지난 1분기 메모리반도체 글로벌 시장점유율 1위를 치고 올라가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습니다
엔비디아향 HBM3E 8단 뿐 아니라 12단까지도 SK하이닉스가 독점하면서 삼성전자도 엔비디아도 모두 불만이 커진 상황이지만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의 양산승인을 받지 못해 SK하이닉스의 독점상황이 지속될 수 밖에 없는 모습입니다
여기다 SK하이닉스의 HBM 반도체 제조용 TC본드 장비를 독점 납품하던 한미반도체가 한화세미텍의 시장진입으로 매출액이 반토막 나게 생기면서 한미반도체가 8년 동안 안 올리던 TC 본드 납품가격인상과 유지보수 유료화를 통해 수익성 개선에 나선 모습입니다
한미반도체는 삼성전자의 엔비디아향 HBM3E 8단의 양산승인이 있을 경우 삼성전자에 TC본드 장비를 납품할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격적인 경쟁이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두번째는 CXL반도체로 아직 양산이 아니라 개발 단계에 머물고 있지만 AI가속기의 발열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유리기판과 함께 유용한 기술로 여겨지고 있어 Sk하이닉스는 하반기중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고 삼성전자는 내년 상반기 중 상용화 가능성이 나오고 있습니다
티엘비는 대덕전자에서 분사한 고부가가치전문PCB업체로 기존 HBM반도체 PCB 뿐 아니라 SSD PCB 그리고 상용화 예정인 CXL반도체 PCB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엑시콘은 반도체 전공정 검사장비 회사로 CXL반도체 검사장비도 개발하고 있고 주거래처인 삼성전자의 양산시기가 늦춰지면서 실적에 빨간불이 켜진 상태입니다. 하지만 지난 해 330억원의 유상증자를 해 둔 상태라 실적 부진에도 현금성 단기자금이 많이 있어 재무적으로는 걱정이 없는 상태입니다
네오셈도 후공정 검사장비 회사로 CXL반도체 1.0과 2.0 검사장비를 개발하였고 상용화 모델인 3.1에 대한 검사장비를 하반기 완성할 예정입니다
세번째로 AI반도체를 활용한 AI소프트웨어의 시장성장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결국 Ai 개발이 더 많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Ai소프트웨어 기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NAVER는 국내 토종 AI소프트웨어 기업으로 변신을 선언한 상황인데 창업자인 이해진 의장이 경영일선에 북귀해 네이버의 AI기업 전환을 진두지휘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한국어 기반 거대언어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를 상용화하여 국내 시장에서 해외 거대언어모델으 빅테크들과 경쟁하고 있는데 한국어 시장에서는 '하이퍼클로바X'의 경쟁력이 더 뛰어나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오픈AI와 손을 잡고 슈퍼 AI플랫폼을 내놓겠다고 하고 있는데 자체 개발 거대언어모델인 '카나나'를 테스트하며 하반기 상용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플리토는 AI기술을 기반으로 실시간 통번역솔루션을 만들어 삼성전자 갤럭시S24시리즈와 애플의 비전프로에 공급하며 실적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가 거대언어모델에 대한 대규모 투자로 개발은 정부가 하고 사용은 민간에서 무료로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겠다고 해서 AI소프트웨어 창업이 줄을 이을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데일리TV 김태훈의 업종진단 2025년 6월 10일 방송 AI소프트웨어 (8) | 2025.06.11 |
---|---|
K웹툰주 이재명 정부 K콘텐츠 육성 정책 수혜 기대 (11) | 2025.06.10 |
이데일리 TV 마켓나우 2부 2025년 6월 9일 방송 한화오션 대신증권 아톤 NAVER (9) | 2025.06.10 |
전기차배터리 관련주 산업통상자원부 수입 핵심광물 추가 관세 예외 요청 (0) | 2025.06.09 |
드론 관련주 트럼프 드론산업 육성 행정명령 수혜 기대 (0) | 2025.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