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총 매출 규모가 사상 첫 200조 원을 돌파하며 삼성에 이어 재계 2위 수준을 이어간 것으로 조사됐는데 고용 규모는 4대 그룹(삼성ㆍ현대차ㆍLGㆍSK) 대비 12만 명 많았고 벤처기업들은 사기 진작과 우수인력 유입 등을 위해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의 활용을 크게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20년 말 기준 3만9101개(예비ㆍ휴ㆍ폐업 벤처는 제외) 벤처기업의 경영성과와 고용, 기술개발(R&D) 투자 현황, 산업재산권 등을 분석한 ‘2021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벤처기업의 전체 고용은 81만7000여 명으로 국내 4대 그룹 고용 규모(69만8000여 명)보다 11만9000여 명 많았고 코로나19 확산세에도 벤처기업은 작년 한 해 7000여 명의 신규고용을 창출했고 업종별로는 연구개발서비스 및 기타서비스ㆍ도소매가 10.3% 증가했고, 특히 온라인플랫폼이 속한 도소매업의 평균 고용이 35.9% 확대됐습니다.



지난해 벤처기업 총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14조 원 증가한 206조9000여억 원을 기록했고 대기업과 비교하면 삼성 다음인 2위 수준입니다.



평균 매출액은 52억9600만 원으로 전년과 유사하지만,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감소와 대기업 평균 매출액 감소 등의 상황을 고려하면 우수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벤처기업 당 영업이익(39.2%↑)이나 당기순이익(237.5%↑)은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해 수익성이 개선됐고 업종별로는 소프트웨어(SW)개발ㆍ정보기술(IT)기반서비스가 높은 성과(772억 원↑, 26.1%↑)를 보였고 이어 의료ㆍ제약, 연구개발 및 기타서비스ㆍ도소매 순으로 높았습니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은 4.4%로 대기업(1.8%)의 2배를 넘었는데 특히 중소기업의 평균 연구개발비 비중(0.8%)과 비교하면 무려 5배 이상 높았고 또 지난해 벤처기업의 국내 산업재산권은 27만5907건으로 국내 산업재산권(55만7265건)의 절반(49.5%)에 육박했습니다.



벤처기업 창업자의 전공 분야는 공학(엔지니어)이 61.6%로 가장 많아 기술 중심 기업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벤처기업 대부분이 창업자의 지분율이 가장 높았지만, 의료ㆍ제약 분야의 경우 외부 투자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벤처기업들은 ‘자금조달ㆍ운용 등 자금관리’에서 애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직종은 연구개발(71.0%)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최근 벤처업계에선 스톡옵션 활용계획을 확대하는 기업이 늘고 있는데 지난해 스톡옵션을 활용한 기업은 5.9%, 향후 활용계획이 있는 기업은 14.6%로 전년 대비 각각 2.5배, 6배 증가했고 벤처기업의 인력난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실제 벤처기업들은 스톡옵션의 활용 목적을 사기진작 및 인센티브 효과, 우수인력 유입 등에 두고 있었습니다.



박용순 중기부 벤처혁신정책관은 “벤처기업들은 코로나19에도 성장세를 지속해 우리 경제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다”며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을 지속하고, 벤처투자 제도 정비, 복수의결권 도입, 스톡옵션 활성화 등을 위한 법령 개정을 흔들림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1997년 IMF구제금융 시기 이후 김대중 정부에서 본격화된 벤처기업 육성정책이 꽃을 피고 있는 것으로 일자리 창출의 약 89%를 책임지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을 육성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성공하고 있는 것입니다

 

여전히 재벌대기업 중심의 경제운영을 주장하는 신자유주의 경재학자들은 국민의힘 집권기간 실제로 재벌대기업 중심의 경제운영으로 비정규직과 계약직을 양산해 가계소득의 왜곡을 가져와 국민경제가 불균형하게 변해가는 단초를 제공해 재벌대기업의 사내유보금은 늘어나는데 중소벤처기업들과 고용불안은 심각해지는 상황을 만들고 말았습니다

 

현 정부에서 소득주도성장론과 제2 벤처붐으로 다시금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는 정책을 펴면서 중소벤처기업들이 본궤도에 올라서는 모습입니다

 

일부 잘 나가는 재벌대기업 중심의 성장은 한계에 도달한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곧 중소벤처기업 육성의 필요성과 연결되는 사안이 되고 있습니다

 

여전히 20세기 재벌중심의 개발독재시대의 향수에 빠진 시대착오적인 사람들이 좀 있지만 21세기 변화된 시장 환경에 적응할 수 있어야 현명한 투자자가 될 수 있을 겁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