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두산밥캣'에 해당되는 글 20건

  1. 2024.11.22 두산그룹 사업재편 계획 금융당국 승인 두산그룹주 일제히 상승세 12
  2. 2024.10.20 두산그룹 두산밥캣 두산로보틱스 100% 자회사 사업재편 재추진 14
  3. 2024.10.19 행동주의 펀드 얼라인파트너스 두산밥캣 주주 환원 확대 요구 24
  4. 2024.08.29 두산그룹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 합병 취소 금감원 제동에 포기 7
  5. 2024.08.12 두산사업구조조정 금감원 증권신고서 횟수 제한없는 정정명령 주주반대 설득 산 넘어 산
  6. 2024.08.04 두산그룹 두산밥캣 두산로보틱스 합병 주주소통 강화 결국 지주회사 두산 주주들 좋은 일
  7. 2024.07.25 금융감독원 두산로보틱스 증권신고서 정정명령 기업밸류업 정책 위배 우려
  8. 2024.07.23 두산그룹 구조조정 두산밥캣 자사주 소각 제시
  9. 2024.07.12 두산로보틱스 두산그룹 사업구조조정의 가장 큰 수혜주
  10. 2024.07.11 두산 두산로보틱스 기업가치 끌어올리기 두산밥캣 100% 지분확보
  11. 2024.05.02 지주회사 두산 1분기 실적발표 어닝 서프라이즈
  12. 2022.11.30 두산에너빌리티 수익스와프(PRS) 증권사 보유 두산밥캣 지분 일부 블록딜 여파 주가 급락세
  13. 2022.11.07 우크라이나 전후복구사업 관련주 미국 우크라이나 러시아 휴전 중재 기대감에 강세
  14. 2021.07.04 두산밥캣 올해 유럽 건설기계 시장 공격 마케팅 예고
  15. 2021.06.25 미국 인프라투자 수혜주 조 바이든 행정부 인프라 투자 예산안 여야 합의 소식에 강세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pLmIlxR8V4o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두산그룹주들이 두산밥캣을 두산로보틱스 100%로 자회사로 만드는 사업구조개편에 금융당국이 승인을 하면서 일제히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두산로보틱스는 이날 오전 지난달 12일 제출한 증권신고서(합병)의 효력이 이날부터 발생했다고 공시했습니다

 

두산그룹은 두산에너빌리티에서 두산밥캣을 떼어낸 뒤, 두산로보틱스와 합병하는 안을 발표한 바 있는데 두산에너빌리티 주주들에게는 알짜배기 자회사를 빼앗기는 꼴이라 기업밸류업 정책에 정면으로 반하는 사안이라 금융감독원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고 결국 최초 사업개편안은 좌절시키는데 성공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두산그룹이 다시 추진하는 두산그룹 사업구조조정안은 두산에너빌리티 주주들에게 이익을 조금 더 주는 안으로 금융감독당국에 승인을 얻은 것이라 '조삼모사'라는 말도 나오기도 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의 신설 법인 합병 비율을 1대0.043으로 새롭게 산정했고 이는 기존 합병 비율보다 소폭 상향된 수준으로, 이 경우 두산에너빌리티 주식 100주를 보유한 주주는 두산에너빌리티 주식 88.5주와 두산로보틱스 주식 4.33주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딜은 두산에너빌리티에서 두산밥캡릏 떼어내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두산로보틱스의 100% 자회사로 만들어주고 이럴 경우 두산로보틱스는 두산밥캣의 실적으로 지분법 수혜를 입어 흑자전환이 가능하게 되고 이럴 경우 지주회사 두산이 보유하고 있는 두산로보틱스 지분의 블록딜에 높은 가격을 인정받을 수 있어 지주회사 두산의 주주들이 최종적으로 이익을 가져가게 됩니다

 

실제로 두산로보틱스 최대주주 지분의 약 50%에 대해 보호예수가 풀려 언제든지 블록딜로 매도할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졌습니다

 

두산그룹이 금융당국의 반대에도 밀어붙인 이유가 지주회사 두산 주주들에게 이익이 흘러들어가도록 해야 할 이유가 있었던 것이 아닌가 의구심이 들고 있습니다

 

하여간 이번 두산로보틱스가 제출한 두산에너빌리티와의 분할·합병 증권신고서가 22일 최종 승인되면서 두산그룹이 원하던 바를 얻게 된 것 같습니다

 

그때는 안되고 이번에는 되는 이유가 그 사이에 뭔가 일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대외_두산로보틱스ㆍ두산밥캣 사업구조 개편 및 성장 전략 2024.pdf
1.82MB
두산그룹 사업재편_CI20240716-1 한신평.pdf
0.40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CJLFQP6Gvmg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국내 토종 행동주의 사모펀드 얼라인파트너스가 두산밥캣에 대한 인위적인 사업재편을 포기하고 주주환원을 늘리라고 요구하는 주주서한을 두산그룹에 보낸 가운데 두산그룹은 다시 두산로보틱스의 두산밥캣 100% 자회사 사업재편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지난 번 시도에서 금융감독원까지 나서서 두산그루브이 시도를 무산시켰는데 몇달도 되지 않아 또 다시 똑같은 사업재편을 시도한다는 것은 금감원이 보기에도 감독당국을 우습게 보이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그 만큼 두산로보틱스의 두산밥캣 100% 자회사 만들기가 두산로보틱스 기업가치를 끌어올리는데 필요한 사안이기 때문일 겁니다

 

지난 번에 설명했듯이 두산로보틱스 최대주주는 지주회사 두산으로 두산이 보유하고 있는 최대주주 지분의 반정도가 이번에 보호예수사 풀리기 때문에 경영권 지분을 제외하고 일부를 블록딜로 매각하여 약 1조원 이상의 현금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두산로보틱스가 알짜배기 두산밥캣을 인수하여 100% 자회사로 가져와야 지분법 수혜를 통해 흑자전환에 성공하고 기업가치도 점프업이 가능해 고가에 블록딜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산그룹이 감독당국인 금감원의 반대를 무시하고라도 이런 짓을 할려는 것은 지주회사 두산에게 1조원 이상의 현금이 필요한 일이 있기 때문일 것이라는 의구심이 들고 있는데 올 해 안에 합병을 성사시키고 두산로보틱스 주가를 띄워 블록딜을 할 경우 내년 지주회사 두산 주주들에게 고배당이 가능하기 때문일 겁니다

 

단순히 배당 때문이라고 하기에는 석연찮은 점들이 있는데 두산에너빌리티가 보유하고 있는 두산밥캣의 지분가치를 지난 번 보다 높이 평가해 두산로보틱스 주식을 더 많이 두산에너빌리티 주주들에게 지급하고 두산밥캣 지분을 두산로보틱스에 넘기기로 한 것은 두산로보틱스 지분가치를 희석시킬 수 있지만 일정기간 보호예수를 걸어버리면 즉시 매물화되지 않기 때문에 두산 최대주주들이 이익회수에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지난번과 다르게 이번에는 얼라인파트너스까지 두산밥캣 주주가 되어 두산그룹의 사업재편에 반대하고 나서서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할 것이라는 말들이 나오는데 소액주주들의 이익을 보다 배려하는 쪽으로 주식스왑비율이 결정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최소한 금감원이 반대하는 사업재편을 하는데 최소한의 먕분을 줘야 하기 때문에 소액주주들에 대한 배려가 늘어날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애초에 두산그룹의 사업재편이 소액주주들의 이익이 아니라 최대주주의 이익을 감안해 기획된 것으로 보여 소액주주들의 피해는 발생할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행동주의 펀드 얼라인파트너스가 두산밥캣에 주주 환원 확대를 요구하는 서한을 보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얼라인파트너스가 두산밥캣 지분을 일부 확보하면서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해 달라고 요구하고 나선 것으로 이번 요구를 두산밥캣이 받아들일 경우 두산밥캣 주주들은 고배당과 주가상승의 양과실을 챙길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두산밥캣은 두산그룹이 최근 사업 구조 개편 추진 과정에서 두산로보틱스와 합병하려고 시도했다 주주 반대로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합병을 철회한 기업입니다

 

두산그룹이 애초에 제시한 주식교환에서 두산밥캣은 저평가하고 두산로보틱스는 고평가하는 방식으로 지주회사 두산의 지분가치를 높이는 쪽으로 이뤄지는 것이라 두산밥캣 주주들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는 사업구조조정이었습니다

 

결국 기존 주주들의 반발로 이뤄지지 않았지만 두산밥캣이 두산로보틱스의 100% 자회사로 들어갈 경우 두산로보틱스는 지분법 수혜를 통해 흑자전환에 성공하고 상당한 주가 상승이 가능해 10월 이후 보호예수가 풀리는 지주회사 두산의 두산로보틱스 지분을 블록딜로 매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금감원까지 나서서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의 지분가치 평가가 공정하지 못하다고 규제하고 나서서 결국 포기된 계획인데 지주회사 두산 주주들의 이익을 위해 두산밥캣 주주들의 이익은 철저하게 무시된 측면이 있습니다

 

얼라인파트너스는 바로 이런 점을 파고든 것으로 두산밥캣이 사내 유보하고 있는 수익을 주주배당으로 돌릴 경우 상당한 고배당이 가능하고 앞으로 주가 상승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얼라인파트너스는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 간 포괄적 주식 교환 방식의 합병 재추진은 없어야 한다'는 것을 회사가 약속해야 한다는 주주서한을 발송한 것을 알려졌습니다

 

두산밥캣의 수익과 기업가치는 온전히 두산밥캣 주주들에게 귀속되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ekXayHWC_WA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두산그룹의 구조조정이 금감원의 기업밸류업 프로그램에 의해 좌절되는 특이한 사례가 발생했습니다

 

두산그룹은 두산에너빌리티 자회사였던 알짜배기 두산밥캣을 두산로보틱스의 100% 자회사로 만들기 위해 두산에너빌리티를 기업분할하여 신규투자법인으로 만든 회사를 두산로보틱스에 합병시키고 이후 두산밥캣의 잔여지분인 소액주주지분을 두산로보틱스와 주식스왑 형식으로 합병해 두산로보틱스의 100% 자회사로 만들려 했습니다

 

하지만 금융감독원이 기업밸류업 프로그램을 도입해 기업가치 증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전형적인 재벌오너일가의 이익을 위해 소액주주의 이익에 피해를 주는 이해상충의 문제가 있는 딜을 결코 지지하기 어려웠을 겁니다

 

결국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나서서 두산그룹의 유가증권신고서에 정정명령을 내리며 반대해 결국 두산그룹의 구조조정은 두산로보틱스가 두산밥캣의 지분 46.1%를 가진 최대주주로만 남게되는 미완의 구조조정으로 남게 되었습니다

 

기존 재벌오너일가와 소액주주들의 이해상충 문제가 발생할 경우 기존 금융당국은 재벌오너일가 편에 서서 소액주주들에게 손실을 가져왔었는데 이번 케이스는 소액주주의 이익을 지켜낸 사례가 될 것 같습니다

 

이에 따라 지주회사 두산은 올 해 10월 보호예수가 풀리는 두산로보틱스 지분의 블록딜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두산로보틱스 지분가치를 끌어올리는데 두산밥캣 지분 46.1%는 여러뭐로 모자란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두산에너빌리티 주주들은 알짜배기 두산밥캣 지분을 도둑질 당하게 되어 가장 큰 피해자가 된 상황이고 두산로보틱스는 두산밥캣 지분 46.1%를 가진 어정쩡한 지분소유로 왜 두산밥캣을 두산로보틱스 자회사로 만들었는지 이유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두산그룹의 지배구조개편이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어정쩡한 상태에서 중단되면서 승자도 없고 피해자만 남는 상황이 벌어진 것 같습니다

 

솔직히 금감원의 정정명령이 맞기는 한 것이지만 원래 안하던 것들이 갑자기 태세를 전환해 이렇게 나오는 것이 이해가 안되는 측면이 있습니다

 

도장값이 맘에 안 든 것인지 확실히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두산그룹은 올 해 중 두산로보틱스 주가를 띄워 블록딜을 하기에 여러뭐로 어려워 보인다는 생각이 듭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FkG8mPKQIw8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두산그룹 사업구조조정에 있어 개별 계열사 주주들의 이익보다 지주회사 두산의 오너일가 이익을 위해 이뤄지는 구조조정이란 사실은 금융감독원의 증권신고서 정정명령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8일 두산그룹 구조개편 구조개편 관련, "조금이라도 부족함이 있다면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고 정정 요구할 것"이라고 말해 두산그룹 사업구조조정이 시간이 걸릴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미 두산이 제출한 증권신고서에 대해 금감원이 정정명령을 내리면서 수정에 시간이 걸리게 생겼는데 당장 두산에너빌리티 주주들이 알짜배기 자회사인 두산밥캣을 두산로보틱스에 빼앗기게 생겼다고 반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두산밥캣 주주들도 마찬가지로 두산에너빌리티 같이 규모도 크고 업력도 있는 그룹 주력 회사의 자회사에서 업력이 일천하고 매출외형도 별볼일 없으면서 적자투성이인 두산로보틱스 100% 자회사가 된다는 것이 미덥지 않기 때문에 반대하는 투자자들이 많은 상황입니다

 

두산그룹은 사업구조조정을 성공시키기 위해 주주들을 직접 설득하겠다고 주주호소문을 꺼내드는 등 전방위 노력을 경주하고 있지만 주주들을 설득하는 것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주주들이 가장 크게 반발했던 합병 비율은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간 주식 교환 비율에 있는데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의 주식 교환 비율은 1대 0.63으로 책정해 밥캣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1조를 넘지만, 로보틱스는 192억원의 영업손실을 낸 적자 기업과 비교하면 너무 두산밥캣의 가치를 형평없이 낮게 평가한 꼴입니다

 

그러나 시가총액은 로보틱스가 밥캣보다 크며 주식 교환 비율이 자본시장법상 시가총액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교환 비율이 밥캣이 더 적어졌다는 설명인데 일반인의 상식으로도 맞지 않아 보입니다

 

두산그룹의 사업구조조정의 맞침표는 두산로보틱스가 밥캣지분 100%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기업가치가 급증하면 지주회사 두산이 보유하고 있는 지분 중 일부를 10월 보호예수 기간이 끝나고 나면 블록딜로 매각하여 투자금을 회수하려는 것입니다

 

이는 지주회사 두산 주주들에게 이익이 귀결되는 것으로 블록딜로 대량 매물이 쏟아지는 두산로보틱스 주주들도 좋다 만 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첫단추라 할 수 있는 증권신고서부터 금감원의 정정명령을 받으며 모양을 구기게 되었는데 어거지로 증권신고서를 통과시켜도 주주들의 반대로 주식매수청구권이 몰려들면 딜이 깨질 수 있는 상황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의 소액주주 비중은 63.4%로 구조 재편 유관 계열사 중 가장 높으며 국민연금의 지분율이 6.78%에 달하기 때문에 두산에너빌리티의 기업분할과 합병에 대해 주주들이 반대할 경우 딜이 깨질 수 있습니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9일 '두산 3사 분할합병 등 정정 증권신고서 관련 공개 질의'에서 두산그룹, 밥캣, 에너빌리티 등 이사회에 "(이번 분할·합병이)국민연금과 일반주주에게 많은 경제적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높은데, 이사회에서 기업가치제고계획과 이번 자본거래의 관계에 대해 논의했는지 질의한다"고 밝혀 벌써부터 주주들의 반대에 직면한 모습입니다

 

두산이 이번 사업구조조정을 밀어붙이지 못하면 두산로보틱스 기업가치를 끌어올릴 방안이 요원하고 이는 지주회사 두산의 현금흐름에 문제를 가져올 수도 있는 일이라 두산그룹 전체에 악재가 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두산그룹 사업구조 재편에 대한 한심평 의견 20240716.pdf
0.40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zLG-ZplujAQ?si=LBCarzTCu1wln12e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두산그룹이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 합병을 위해 올인에 나선 모습인데 금융감독원까지 나서서 증권신고서 수정을 하라는 규제에도 두산그룹은 밀어붙이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 주주들은 이번 딜이 금감원의 정정명령으로 중단되면서 알짜배기 계열사인 두산밥캣을 빼앗기지 않을 수도 있다는 순진한 희망을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알짜배기 두산밥캣을 두산에너빌리티에서 분할하여 두산로보틱스의 100% 자회사로 만들려는 것은 두산로보틱스의 지분가치를 끌어올리려는 의도를 가진 것으로 결국 10월 두산로보틱스 최대주주 지분 보호예수가 풀리는 시기에 블록딜로 매각하여 투자수익을 얻으려는 이유 때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두산로보틱스의 매출이나 손실규모를 보면 도저히 두산로보틱스의 기업가치를 본업을 통해 끌어올리는데 한계를 느끼기 때문에 편법이지만 조단위 매출과 순이익을 내고 있는 두산밥캣을 두산로보틱스 100% 자회사로 만들어 지분법 수혜를 통해 흑자회사를 만들려는 것으로 두산로보틱스의 기업가치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리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 그리고가장 큰 손해를 뒤집어 쓸 두산에너빌리티 주주둘에게 두산그룹이 호소문을 내놓으며 이번 딜을 승인해 달라고 읍소하고 있지만 이런 감정적 호소문이 아니라 두산에너빌리티 주주들에게 두산밥캣을 넘기는 댓가로 충분한 보상이 주어져야 하고 횡재를 하게 된 두산로보틱스 주주들에게는 지주회사 두산의 블록딜이 없다는 확약을 해줘야 이번 딜의 진정성을 믿을 수 있을 겁니다

 

오죽하면 금감원까지 나서서 증권신고서에 정정명령을 내렸는지 이유를 생각해 봐야 할 것입니다

 

과거 두산건설로 인해 두산그룹이 전체적으로 워크아웃에 들어갔지만 그 때나 지금이나 두산그룹은 박씨일가의 경영권이 지속되고 있어 오너일가만을 위한 경영은 조금도 변하지 않았음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zLG-ZplujAQ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두산그룹이 추진하고 있는 사업구조조정의 핵심인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 합병이 금융감독원의 증권신고서 정정명령으로 암초에 걸리게 되었습니다

 

금감원은 공시를 통해 두산로보틱스가 지난 15일 제출한 '주식의 포괄적 교환·이전' 증권신고서에 대한 정정신고서 제출을 요구했는데 윤석열 정부의 기업밸류업 정책에 반하는 행위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행 자본시장법 제122조에 따르면 이런 경우들이 발견될 경우 금감원은 해당 내용을 손봐 다시 제출하라고 회사에 요구할 수 있고 기존 증권신고서는 정정 요구를 받은 날을 기준으로 효력을 잃게 됩니다.

 

최근 두산그룹은 두산로보틱스와 두산에너빌리티 간 인적분할·합병,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 간 포괄적 주식교환 등을 통해 두산밥캣을 두산로보틱스의 완전자회사로 이전하는 사업 구조 개편을 발표했습니다.

 

적자기업인 두산로보틱스가 알짜배기 회사인 두산밥캣을 품으면서 기업가치가 점프업을 하게되고 이런 기업가치 급증이 결국 지주회사 두산의 주주들 이익으로 귀결되기 때문에 두산에너빌리티와 두산밥캣 주주들에게는 아닌 밤중에 홍두깨 같은 일이 되어 버립니다

 

두산로보틱스와 두산밥캣의 합병 과정에서 주식스왑을 위한 가치평가에서두산밥캣은 저평가되고 두산로보틱스는 고평가되는 방식으로 두산밥캣 주주들은 소해를 보고 두산로보틱스 주주들이 익을 보고 궁극적으로 지주회사 두산 주주들이 이익을 가져가는 구조가 완성될 수 있습니다

 

특히 두산로보틱스와 두산밥캣의 주식스왑 가치평가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과정과 똑같다는 비아냥이 나오고 있어 자칫 형사처벌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두산밥캣은 항상 저평가되고 있었던 이유가 두산그룹의 오너일가 이익을 위해 기업가치를 희생되어 왔기 때문인데 이번에도 그럴 위기에 외국인투자자들은 일찍부터 주식을 던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금감원까지 나선 이상 두산오너일가는 원래 그림데로 하고 싶다면 윤석열 정부의 권력실세에게 팔자를 고칠 기회를 줘야 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두산로보틱스 보호예수 현황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mKP8DGsmpk0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두산에너빌리티가 보유하고 있는 두산밥캣 주식을 적자회사인 두산로보틱스에 넘겨 100% 자회사로 만들려는 작업에 두산밥캣 주식을 내놓아야 하는 두산에너빌리티 주주들이 단단히 화가 난 상태입니다

 

두산그룹의 구조조정이 두산로보틱스의 최대주주 일부 지분 보호예수가 풀리는 시점에서 이뤄지고 있어 두산로보틱스 지분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한 작업으로 보이는데 두산측은 부인하고 있지만 두산로보틱스 경영권 지분을 제외한 부분에 대해 블록딜을 통해 투자회수 욕구가 큰 것 같습니다

 

지주회사 두산의 주요 주주인 오너일가들은 두산그룹이 워크아웃에 들어갈 때 사재출연에 나서기도 해 이에 대한 보상이 필요한 상황인데 두산로보틱스 지분 블록딜을 통해 확보한 수익은 지주회사 두산 주주들의 배당소득으로 귀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알짜배기 두산밥캣을 빼앗기는 상황이라 주주들이 분노할 수 밖에 없는데 두산밥캣 지분으 ㅣ가치를 적정하게 평가받지 못하기 때문에 손해를 보고 있다고 생각해 반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기본적으로 두산밥캣의 지분을 두산로보틱스로 이전시키는 것은 궁극적으로 지부회사 두산 주주들의 이익 때문인데 두산로보틱스를 통해 지주회사 두산 주주들이 두산밥캣의 이익을 배당금으로 가져갈 수도 있고 두산로보틱스 지분 블록딜 매각자금도 가져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산구조조정 방안이 발표되었을 때 두산로복틱스 주가가 급등한 이유가 두산밥캣 지분 100%를 가져가 적자회사에서 흑자회사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기 때문인데 궁극적으로 두산로보틱스 일부 지분의 블록딜을 위한 포석이라 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두산밥캣 20240711 삼성증권.pdf
0.50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7xrlTYGE3q0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두산그룹이 전격적으로 단행한 사업구조조정 속에 가장 큰 수혜자는 두산로보틱스가 될 것이란 사실이 시장에 알려지면서 두산로보틱스에 대한 선취매가 유입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알짜배기 회사인 두산밥캣을 두산에너빌리티에서주식스왑을 통해 두산로보틱스로 이전하기 때문인데 주식스왑이 끝나면 두산로보틱스는 두산밥캣의 100% 최대주주가 되어 두산밥캣의 이익을 지분법 수혜로 고스란히 가져오게 됩니다

 

아울러 두산밥캣의 배당을 받아 수익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 입장에서는 알짜배기 회사를 적자회사인 두산로봇틱스에 빼앗기는 꼴이라 기업가치가 줄어드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가장 큰 피해자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사업구조조정은 일찍히 예견된 것이나 마찬가였는데 지주회사 두산의 주주인 오너일가들이 두산건설 대규모 미분양으로 촉발된 두산그룹 위기에 사재를 출연하면서 큰 재산상 손실을 보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상이 오너일가 속에 나오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번 두산로보틱스의 두산밥캣 인수로 두산로보틱스는 만년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이는 두산로보틱스 기업가치를 밀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여기다 10월이 되면 두산로보틱스 상장 1주기가 되어 최대주주 지분의 50%가 보호예수에서 풀릴 수 있어 언제든지 매각할 수 있게 됩니다

 

지주회사 두산이 보유하고 있는 두산로보틱스 지분 중 경영권과 상관없는 지분 일부를 매각하여 약 1조원 이상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두산로보틱스 최대주주 지분에 대한 보호예수가 풀리기 전에 최대한 주가를 끌어올려 비싼 가격에 블록딜을 하려는 의도가 숨겨져 있는 사업구조조정으로 두산로보틱스의 기업가치를 인위적으로 부풀리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두산로보틱스ㆍ두산밥캣 사업구조 개편 및 성장 전략.pdf
1.82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두산그룹은 사업 시너지 극대화와 주주가치 제고를 목표로 사업구조를 3대 부문으로 재편한다고 공시했습니다

  

두산은 그룹의 핵심사업을 '클린에너지(Clean Energy)',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 '반도체 및 첨단소재(Advanced Materials)' 등 3대 부문으로 정하고, 계열사들의 위치를 조정한다고 11일 발표했습니다.

 

두산로보틱스가 두산밥캣을 품으면서 기계와 로봇이 한 지붕 아래 놓이게 되어 두산로보틱스의 기업가치가 인위적으로 올라가게 되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두산퓨얼셀과 함께 에너지 사업을 담당하게 되고 반도체 분야는 두산테스나를 중심으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번 사업구조조정으로 가장 큰 수혜는 두산로보틱스가 보게 되는데 그 위에 지주회사 두산이 있어 지주회사 두산 주주들이 가장 큰 수혜를 보게 됩니다

 

이번 사업구조조정으로 두산로보틱스의 기업가치는 인위적으로 끌어올려지게 되었는데 현재 적자를 보고 있는 두산로보틱스는 두산밥캣의 최대주주가 되면서 지분법 수혜를 통해 단번에 흑자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지주회사 두산은 10월 5일부터 두산로보틱스 보유 지분의 약 50%에 대해 보호예수가 풀리게 되는데 이 지분 중 경영권과 상관없는 지분은 블록딜로 언제든지 매각할 수 있게 됩니다

 

지주회사 두산은 이를 통해 최소 1조원 이상의 수익을 챙길 것으로 보이는데 지주회사 두산은 오너일가의 지분이 많아 오너일가가 실질적인 수혜자가 될 수 있습니다

 

결국 두산그룹의 사업구조조정은 오너일가의 투자회수가 목적으로 두산건설 부실화로 그룹 전체가 워크아웃에 들어갔을 때 사재출연한 부분을 보은하는 움직임이라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WTJ5KhiJPTY?si=T18MJ5B4zrIe5BLO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지주회사 두산이 1분기 실적을 공개했는데 시장 우려와 다르게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두산은 두산건설 부실로 인해 그룹 전체가 워크아웃에 들어가고 부실의 원흉인 두산건설을 매각하고 두산인프라코어 또한 매각하며 사업구조조정을 실시해 정상기업으로 복귀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익이 날 수 있는 기업들 중심으로 사업구조조정을 실시해 경기침체에도 수익을 낼 수 있는 기업을 만든 느낌입니다

 

두산의 내부 사업인 전자BG와 두산 디지털이노베이션BU도 경기침체속에 수익을 내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있어 앞으로의 실적에도 기대감을 갖게하고 있습니다

 

올해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 4조4623억 원, 영업이익 3497억 원의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두산 자체사업 1분기 실적은 매출 2693억 원, 영업이익 236억 원을 기록했는데 인공지능(AI) 가속기용 동박적층판(CCL) 등 차세대 제품의 매출 및 수익구조 개선으로 각각 5.6%, 46.6% 성장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매출 4조979억 원, 영업이익 3581억 원을 거뒀는데 매출은 1.4% 증가, 영업이익은 1.8% 감소했고 올해 연간 수주는 국내 복합발전소 주기기, 국내외 복합발전소 EPC(설계ㆍ조달ㆍ시공), 신재생 프로젝트 등 다양한 수주를 통한 6조3000억 원 규모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다만 두산에너빌리티가 담합혐의로 공공사업 수주 6개월 중단 조치를 당해 올 해 실적부진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두산밥캣은 매출 2조3946억 원, 영업이익 3260억 원을 달성했는데 매출은 북미 지역의 소형장비 판매 호조에 힘입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프로모션 비용 증가 등으로 12% 감소한 반면 순이익은 환율 변동에 따른 외화평가 등의 영향으로 4.5% 증가했습니다.

 

두산밥캣은 미국 대선으로 SoC투자 수혜를 입고 있어 실적 개선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여기다 두산 계열사인 두산로보틱스의 상장 1년 이후 일부 최대주주 지분이 보호예수에서 풀러 매각할 수 있게 되는데 두산은 두산로보틱스 지분 중 경영권과 상관 없는 지분을 블록딜로 매각하여 투자금 회수에 나설 것으로 보이고 약 1조원 이상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두산은 사업구조조정을 선제적으로 했기 때문에 경기침체에 경쟁력을 가지는 사업구조를 만든 것 같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도 6개월 공공부문 수주 금지 이후 윤석열 정부의 원전사업 투자확대의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악재보다는 호재가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두산 20230630 한신평.pdf
0.54MB
두산IR_1Q24_v11_홈페이지용.pdf
1.40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3qhyqBqdZv8

안녕하세요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신영증권 등 증권사들이 보유중인 두산밥캣 지분 일부를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로 매각해 1850억원 규모의 유동성 확보에 성공했습니다.

 


3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전일 장 종료직후 이들 4곳의 증권사들은 PRS로 보유중인 두산밥캣 지분 500만주(4.9%)에 대한 기관 블록딜 수요예측에 돌입했는데 이번 블록딜 매각 주간사는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공동으로 담당했습니다.

 


블록딜 수요 예측 결과 전일 종가(4만 1350원) 대비 10.5%의 할인율이 적용 된 한 주당 3만 7000원에 전량 매각되었습니다.

 

 
애초 블록딜 주간사가 제시한 한 주당 매각 할인율은 전일 종가(4만 1350원) 대비 7%에서 최대 11%까지 적용 된 3만 8450원에서 3만 6800원 사이였는데 사실상 할인율 최하단과 근접하게 지분 매각이 이뤄진 셈입니다.

 

 
이번 블록딜 성공으로 증권사 4곳은 총 1850억원 규모의 뭉칫돈을 손에 넣게 됐는데 잔여 지분에 대한 보호 예수(락업) 기간은 3개월로 현재 증권사 4곳이 PRS를 통해 보유중인 두산밥캣 지분은 총 986만 6525주 규모였고, 이중 500만주 규모가 이번에 블록딜로 매각됐습니다.

 


앞서 NH증권,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신영증권은 수익스와프(PRS)를 통해 2018년 두산에너빌리티(옛 두산중공업)가 보유한 두산밥캣 지분 10.6%(986만6525주)를 매입했습니다.

 


통상 PRS는 정산 시기 주가가 기준가보다 낮거나 높으면 서로 차익을 물어주는 파생상품인데 계약 때 체결한 기준가를 기준으로 가격이 상승하면 투자자(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등 4곳)가 기업(두산에너빌리티)에게 상승분을 보전해 주고 기준가 대비 가격이 하락하면 기업이 투자자에게 손실 금액을 보전해 주는 딜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와 금융기관들이 처음 PRS를 맺었던 두산밥캣의 기준가는 주당 3만4800원으로 계약 체결 당시(2018년 8월 29일) 종가로 삼았습니다.

 


투자은행(IB)업계에선 증권사들이 최근 두산밥캣 주가가 급등하면서 손실 규모를 줄이기 위해 블록딜에 나선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오후 12시 22분 현재 두산밥캣은 전 거래일 대비 (-14.99%) 하락한 3만 52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두산밥캣이 9월말 이후로 계속 올라 40000원대 주가로 올라서 증권사들이 두산에너빌리티에 기준가에 대한 차익을 보전해 줘야 하는데 주가가 더 오르면 손실폭이 더 커지기 때문에 할인율을 높여 매각한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두산밥캣 20220419 삼성증권.pdf
0.5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m9lMnqnTEAI

안녕하세요

5일(현지시각) 워싱턴포스트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지도부에 러시아와의 대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도록 설득 중이라고 보도해 전후복구사업 관련주들이 일제히 급등하고 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물러나지 않는 한 평화회담을 하지 않겠다’는 우크라이나 지도부 설득을 위해 바이든 행정부가 나서고 있다”며 “우크라이나를 억지로 협상 테이블에 앉히려는 것은 아니고, 서방 국가들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행동”이라고 분석했는데 러시아 석유와 천연가스 없이 겨울을 보내야 하는 유럽에서 극우정부가 등장하고 있어 EU의 극우화를 막기위해 조바이든 미국대통령의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의 휴전에 적극 나서고 있는 모습입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평화회담 및 휴전에 대한 기대감이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인 현대에버다임과 에스와이 등 관련주에 저가매수세를 유입시키고 있습니다.

 

현대에버다임은 콘크리트 펌프 트럭, 타워크레인, 발전기 등 건설 장비 제조 판매와 토목공사 등의 사업을, 에스와이는 샌드위치 패널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뢰탐지와 제거에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지뢰관련주들도 움직이고 있고 건설장비주에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미국과 EU 등 서방이 우크라이나 전후복구 사업에 대규모 자금지원에 나설 것으로보여 젤렌스키 대통령이 전쟁을 계속 밀어붙이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번 겨울이 지나기 전에 러시아우크라이나간 휴전이 성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우크라이나전후복구사업관련주

현대건설

현대에버다임

도화엔지니어링

에스와이

금강철강

현대건설기계

현대두산인프라코어

두산밥캣

220706(참고)_한-우크라_전후_재건사업_협력_구체화(해외건설정책과).pdf
0.19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소형 건설기계 제조판매 사업을 하는 두산밥캣이 올해 유럽 건설기계 시장 매출을 지난해에 비해 무려 35% 늘리는 야심찬 사업 청사진을 마련했습니다.

이를 통해 두산밥캣은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 지역에 이어 유럽을 '효자 시장'으로 만들 방침입니다.

두산밥캣은 최근까지 북미 지역에서 주로 활약해왔다. 이는 밥캣(현 두산밥캣)이 두산그룹에 인수되기 전에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州)에 근거지를 둔 미국 기업이었기 때문입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밥캣은 올해 유럽·중동·아프리카(EMEA)법인 매출이 지난해 매출보다 35%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에 따라 EMEA법인은 지난해 매출 7억344만 달러(약 7900억 원)에서 35% 상승한 9억4964만 달러(약 1조700억 원)를 달성하는 셈입니다.

두산밥캣 매출은 그동안 약 73%가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 지역에서 이뤄졌습니다.

전자공시시스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두산밥캣의 지난해 총 매출 38억6870만 달러(약 4조3700억 원) 가운데 북미 지역 매출 26억6392만 달러(약 3조 원), 유럽 지역 매출 7억344만 달러(약 7940억 원), 아시아·남미 지역 매출 2억6133만 달러(약 2950억 원)를 기록해 아직까지 북미 지역이 주력 사업장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사업 영토를 유럽으로 넓혀 시장 다변화와 이를 위한 다양한 판매 전략을 내놓고 있는 셈입니다.

두산밥캣은 지난 2018년부터 유럽 시장을 타깃으로 한 소형 굴착기 신모델을 내놓아 현지 딜러망과 마케팅을 강화해왔는데 특히 지난해에는 회전식 텔레핸들러(지게차와 크레인을 융합한 다목적 중장비)를 새롭게 선보이고 기존 제품의 업그레이드 모델을 내세워 제품 라인업(상품군)을 강화했습니다.

이 같은 전략에 힘입어 두산밥캣은 유럽 시장에서 2017년 6%대에 머물던 소형굴착기 시장점유율이 올해 1분기 말 9%대로 늘어나 두 자릿수 점유율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두산밥캣은 올해 유럽·중동·아프리카(EMEA)법인 매출이 지난해 매출에서 35%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두산밥캣 관계자는 “유럽 시장은 소형 굴착기와 텔레핸들러에 대한 선호도가 크다”며 “또한 지난해부터 소형 휠로더, 아스팔트 도로 정비에 필수로 사용되는 라이트 콤팩션, 소형 굴절식 로더 등 신제품을 꾸준히 출시해온 결과 현재 가장 다양한 로더 라인업을 보유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또 “2017년 17개에 이르던 EMEA 산하 법인을 8개로 재편해 조직을 효율화 해왔다”며 “향후 수익성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앞으로 두산밥캣은 콤팩트 트랙터, 잔디깎이 등 북미에서 인기를 모은 농경·조경 제품군을 유럽시장에도 출시할 계획입니다.

두산밥캣이 두산인프라코어에서 두산중공업으로 최대주주를 교체하고 나서 두산그룹의 지배구조 개선이 완성되어가는 모습입니다

두산밥캣은 지게차 사업부를 인수하여 매출 외형을 더 키울 수 있는 사업구조조정도 마무리 수순으로 들어갔는데 이제는 실적을 보여줄 시기인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미국 여야가 조 바이든 행정부의 인프라 투자 예산안에 합의했다는 소식에 철강, 화학, 해운, 기계 등 수혜가 기대되는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5일 오전 10시 23분 현재 팬오션은 전일 대비 1080원(14.80%) 오른 8610원에, HMM은 2400원(5.77%) 상승한 4만4000원에 각각 거래되고 있습니다.

인프라 투자가 본격화되면 미국으로의 수출 물량이 늘어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미국이 내수용품으로 인프라 투자에 들어가는 원자재를 댈 수 없기 때문에 이를 해외에서 수입해 와야 하는데 중국과 무역전쟁에 들어간 상황에서 저질중국산을 수입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한국산 원자재를 수입해 갈 수 밖에 없을 겁니다

현대건설기계(2.82%)와 두산인프라코어(3.22%) 두산밥캣(2.24%) 등도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도로, 교량 등을 건설하기 위한 건설기계 수요 증가가 기대된 영향으로 분석되는데 건설기계시장에서 미국 캐터필러가 수위에 있지만 현대건설기계와 두산인프라코어가 합병하게 될 경우 경쟁력이 배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건설에는 철강제품도 필요하기에 포스코강판(5.69%)과 POSCO(0.71%) 등 철강업종도 상승 중입니다.

또 전기차 인프라가 확산되고 보조금이 확대될 것이란 기대에 전기차 배터리를 만드는 LG화학(1.32%)과 삼성SDI(0.58%)도 오르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공화당과 민주당의 초당파 상원 의원 10명과 백악관에서 회동한 뒤 인프라 투자 예산 확보에 대해 "우리는 합의했다"고 언론 앞에서 발표했습니다.

미국에서 인프라 예산 확보는 정치권의 오랜 숙제였는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에도 여야 간 2조달러 규모에 합의했지만 재원 조달 문제로 협상이 지지부진했습니다.

다만 예산안의 규모는 기존 바이든 행정부가 제안한 2조5000억달러 수준보다 줄어든 1조달러 수준으로 알려졌는데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 정부는 인프라에 5790억달러를 새롭게 지출하는데 이중 3120억달러를 교통에 2660억달러는 다른 인프라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는 이어 “(미 증시에서도) 인프라 투자 합의 소식이 전해지자 인프라, 기계, 철강, 태양광 등의 강세가 뚜렷했다”며 “반도체, 5G 반도체 장비 업종 등도 인프라 투자 수혜로 상승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이 중앙은행인 미FRB의 기준금리 인상 우려감에 위축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이번에 조 바이든 정부에서 의회를 통과한 인프라투자예산으로 대규모 인프라투자가 가능해져 또 다시 유동성이 시장에 쏟아져 들어오는 효과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미중무역전쟁으로 미국이 더 이상 저가의 저질중국산 원자재를 수입하지 못하기 때문에 비싸지만 우리나라 원자재들을 수입할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라 HMM와 국내 해운사들의 태평양 물동량이 증가할 수 있어 보입니다

아울러 미국이 한국산 철강에 부과하고 있는 상계관세들도 점차 철회될 수 있어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

이번 미국 의회를 통과한 인프라투자 계획은 애초 기대했던 2조 달러보다 규머가 반으로 축소되었지만 시장내 신규 유동성이 유입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 생각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미국인프라투자 수혜주

HMM

팬오션

대한해운

POSCO

포스코강판

현대건설기계

두산인프라코어

두산밥캣

KCC

대원전선

삼아알미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