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두산IR_DoosanCorp_21년+1Q+실적_홈페이지.pdf
2.19MB

안녕하세요

두산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 두산밥캣 등 두산 계열사들이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거뒀고 이에 따라 ㈜두산의 지난 1분기 당기순이익(연결 기준)은 흑자 전환했는데 당기순이익 흑자는 2019년 4분기 이후 다섯 분기만입니다.

㈜두산은 지난 1분기 매출(연결 기준) 4조5203억원, 영업이익 3980억원을 기록했다고 27일 공시했는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 403% 늘었습니다.

㈜두산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4023억원으로, 전년 동기 3799억원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는데 11분기 만에 당기순이익 흑자로 전환한 두산중공업 등 계열사 실적이 ‘어닝서프라이즈’를 거둔 영향으로 두산인프라코어와 두산밥캣은 분기 실적으로 10년 내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달성했습니다.

두산중공업의 지난 1분기 매출은 4조47억원, 영업이익은 3721억원을 기록했고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 558% 늘었으며 당기순이익은 2481억원으로, 전년 동기 3714억원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는데 지난해 구조조정을 통해 재무 구조를 개선한 영향인데 회사 측은 올해 매출 목표를 5조8976억원으로 제시했습니다.

해외 자회사를 포함한 자체 사업의 영업이익은 585억원을 기록했는데 지난해 1분기보다 1937억원 늘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970억원으로 11분기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향후 전망도 좋습니다.

1분기 수주는 1조3218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84% 급증했고 약 2년 5개월치 일감을 확보한 셈인데 두산중공업의 올해 수주 목표는 전년보다 50% 증가한 8조6500억원입니다.

두산중공업의 계열사 두산인프라코어와 두산밥캣은 글로벌 인프라 투자 확대에 힘입어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는데 두산인프라코어는 세계 시장에서 고르게 성장하며 매출 2조4869억원, 영업이익 2954억원을 달성했는데 2011년 1분기(2조2118억원) 이후 최대입니다.

각각 전년 대비 매출은 24%, 영업이익은 63% 증가했는데 중국을 비롯해 신흥국 건설 경기가 활성화하면서 수요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회사 측은 전망했는데 가장 큰 시장인 중국에서 이들 기업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8% 늘었습니다.

중국 정부가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고 있고 노후 장비 교체 수요가 맞물려 매출이 늘었고 지난달엔 중국과 한국에서 창사이래 최대 월 판매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두산밥캣은 매출 10억9900만달러(약 1조2248억원), 영업이익 1억5400만달러(약 1713억원)를 기록했는데 2012년 이후 최대 실적으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 영업이익은 111% 늘었습니다.

북미 지역은 콤팩트 로더, 미니 굴착기와 농업·조경용 장비 판매가 증가하며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26% 증가했는데 유럽 중동 아프리카에선 미니 굴착기가 선전하면서 매출이 9% 늘었고 아시아 남미 오세아니아 등에선 중국 수요가 크게 늘며 42% 급증했습니다.

㈜두산의 자체 사업 매출과 영업이익도 개선됐는데 자체사업 기준(해외자회사 포함) 1분기 매출은 5410억원, 영업이익은 438억원이었고 영업이익률 8%를 기록했습니다.

㈜두산의 실적은 2분기에도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전자BG의 실적이 호조를 보이는 데다 산업차량BG의 전방시장이 회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두산퓨얼셀은 1분기 매출 720억원, 영업이익 3억원을 기록했는데 지난해 상반기 수주가 매출로 인식된 영향입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59%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습니다.

두산퓨얼셀의 실적은 ㈜두산 연결재무제표에는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두산그룹 구조조정이 성과를 내고 있는 모습인데 문제는 두산건설의 실적으로 두산그룹 구조조정에 빠뜨린 장본인이 두산건설의 대규모 미분양 사태에 기인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두산건설을 두산중공업 100% 자회사로 편입시켜 두산중공업의 수익을 두산건설의 부실을 메꾸는 상황인데 지금까지 두산중공업이 두산건설 부실을 메꾸는데 들어간 자금이 2조원을 넘고 있어 두산건설 우량자산과 부실자산을 분리해 먼저 팔 수 있는 우량자산만 먼저 매각하고 남는 두산건설 부실자산은 M&A를 통해 헐값으로라도 매각하던지 파산시키는 것이 두산중공업에 부담을 줄이는 방법이 될 것입니다

1분기 실적발표 속에 두산그룹은 주요 계열사들의 어닝 서프라이즈에 힘 입어 구조조정의 마침표를 찍을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게 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두산밥캣2021_1Q_kr.pdf
1.06MB

안녕하세요

소형건설기계장비 업체 두산밥캣은 1분기 영업이익이 1713억원(1억5400만달러)으로 집계됐다고 27일 공시했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7.3%증가한 수치로 10년 내 최대 분기 실적입니다.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5.1% 증가한 1조 2248억원(10억9900만달러)원, 순 이익은 244.3% 증가한 1154억(1억400만달러)를 각각 나타냈습니다.

두산밥캣은 이번 분기 지역별로 고른 성장을 보였습니다.

북미 지역은 경기부양책 및 저금리로 인한 수요 증가로 콤팩트 로더, 미니 굴착기 등 핵심 제품과 농업·조경용 장비(GME) 판매가 모두 증가하며 전년대비 매출이 26% 성장했습니다.

EMEA(유럽 및 중동·아프리카) 지역은 시장 회복이 지연되는 상황에서도 주요 제품인 미니 굴착기 판매 호조로 전년대비 매출이 9.4% 증가했습니다.

1분기 미니 굴착기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말 대비 0.7%p 증가한 9.3%를 기록하면서 2017년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유지했습니다.

신흥시장(아시아·남미·오세아니아) 매출은 오세아니아와 중국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국가에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전년동기대비 42.5% 증가했습니다.

두산밥캣은 "2019년부터 콤팩트 트랙터, 제로턴모어(탑승식 제초장비), 소형 굴절식 로더 등 신제품을 출시하며 제품 라인업을 선제적으로 확충해 왔다"며 "이후 팬데믹 상황 속에 해당 제품군 수요가 급증하며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두산밥캣 관계자는 "미국 시장에서 건설 관련 장비 수요가 증가하고 농업 및 조경 장비 수요도 꾸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남은 분기에도 영업 실적 호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최근 발표한 ㈜두산 지게차 사업부 인수가 완료되면 외형 성장에도 한층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두산밥캣은 조 바이든 미국대통령의 대규모 SoC 투자의 수혜주로 거론되고 있는데 1분기 실적발표에서 이를 숫자로 확인시켜 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코로나19사태로 작년실적과 비교하면 기조효과가 있어 착시를 일으키기 쉬운데 두산밥캣은 실제로 실적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어닝서프라이즈라고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거래소 코스닥 실적이 좋은 주요 종목들 주가가 이미 52주 신고가를 넘어서고 있어 5월 공매도가 재개되면 공매도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적이 뒷받침되는 종목은 바로 저가매수세가 따라 들어오기 때문에 기관투자자라도 공매도를 잘못해서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지금은 실적을 보고 투자종목을 골라야 할 때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두산인프라코어가 분할·합병 결정을 단행한 후 한 주 만에 주가가 26.4%나 올랐는데 지난 19일 8110원이었던 주가는 26일 1만250원에 마감했고 29일 장중 12.2%나 급등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투자가의 대규모 순매수가 이어지며 주가를 끌어올렸는데 한 주간 외국인은 242만여 주, 기관투자가는 772만여 주를 순매수했고 특히 연기금은 5거래일 연속 순매수하며 197만여 주를 사들였습니다.

19일 정규장 마감 이후 두산인프라코어는 사업부문(존속법인)과 투자부문(신설법인)으로 분할한 뒤 투자부문을 두산중공업과 합병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고 사업부문은 현대중공업그룹에 매각될 예정입니다.

사업부문과 투자부문의 분할비율은 0.3104대0.6895, 투자부문과 두산중공업의 합병비율은 1대0.6866입니다.

주주확정 기준일은 다음달 5일이고, 주주총회(5월 13일)와 매매거래 정지(6월 29일~7월 20일)를 거쳐 오는 7월 21일 신주가 상장될 예정입니다.

주가가 크게 오른 것은 분할·합병 일정이 공개되며 불확실성이 줄어들었고 기업가치가 재평가를 받을 것이란 의견이 힘을 얻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삼성증권은 사업부문은 현대중공업그룹 편입 효과가 기대되며, 투자부문은 보유 지분인 두산밥캣 지분(51%)이 두산중공업 주식으로 전환되는 효과가 생길 것으로 전망했고 이런 이유로 목표주가를 1만2000원으로 올렸습니다.

두산인프라코어의 분할 된 주식은 두산중공업에 합병되어 두산중공업 주식을 받게 되고 일부는 두산인프라코어 사업부문으로 그대로 남아 현대건설기계에 인수되어 장기적으로 합병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분할 과정이 불확실성이 제거되고 향후 일정에 대한 예상이 가능하게 되면서 외국인투자자와 국내 기관투자자들이 장기투자를 목적으로 매수해 들어오고 있는 것입니다

지금 두산인프라코어에 투자하는 것은 두산중공업과 현대건설기계에 한꺼번에 투자하는 효과를 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M&A는 기업가치를 순시간에 업그레이 시켜주는 것으로 기존에 기업가치를 판단하는 잣대로는 제대로 평가할 수 없습니다

지금 두산인프라코어에 대한 매수는 현재의 주가가 아닌 미래주가를 상상하며 기대감으로 매수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기관투자자와 외국인투자자들 중 장기투자가 가능한 자금이 지금 매수해 들어오는 것으로 길게 보면 지금의 주가로 다시 살 수 없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두산인프라코어 2020년 실적공시

※ 동 정보는 동사가 작성한 결산자료로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수치가 변경 될 수 있으므로 추후 「감사보고서 제출」공시를 반드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재무제표의 종류 연결
2.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변동내용(단위:천원) 당해사업연도 직전사업연도 증감금액 증감비율(%)
- 매출액(재화의 판매 및 용역의 제공에 따른 수익액에 한함) 7,934,104,968 8,185,839,945 -251,734,978 -3.1%
- 영업이익 658,598,615 840,397,060 -181,798,446 -21.6%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448,255,002 603,009,126 -154,754,124 -25.7%
- 당기순이익 285,073,683 395,698,171 -110,624,488 -28.0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두산중공업의 재무구조 개선이 가시화되고 있는데 올해부턴 두산인프라코어 투자부문을 흡수하고 두산퓨얼셀을 자회사로 편입시키는 등 지배구조도 대폭 개선되어 두산중공업은 풍력, 수소사업 등 신사업 위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수익을 낼 방침입니다.

22일 두산중공업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부채비율이 222.1%로 2019년 230.1% 대비 약 8%의 감소세를 기록했고 부채비율은 부채총계를 자본총계로 나눈 비율을 뜻합니다.

총 차입금은 4조7414억원으로 2019년 4조7441억원과 비슷했지만 회사채 규모가 줄면서 채무불이행 위험도 줄었고 지난해 말 1조3017억원이었던 회사채를 상환하거나 단기차입금으로 전환하면서 회사채 규모는 1048억원으로 줄었습니다.

특히 이달부턴 두산중공업이 ㈜두산이 보유 중인 두산퓨얼셀 지분 전량을 현물출자 받게 되면서 올 상반기 이후 부채비율은 200% 밑으로 떨어지게 될 전망인데 두산중공업은 지난 19일 공시를 통해 보통주와 우선주를 포함해 총 5442억원 규모의 두산퓨얼셀 주식을 보유하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현대중공업그룹에 매각한 두산인프라코어 영업부문의 매각대금 8500억원까지 들어오면 올해부턴 재무구조가 눈에 띄게 좋아질 전망인데 기업결합 심사를 고려하면 올해 하반기 중 매각대금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지난해 8월 클럽모우CC를 매각해 첫 상환에 성공했고 두산그룹에서도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등 자구안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며 "다음 분기부턴 두산퓨얼셀 지분이 자본으로 집계되기 때문에 부채비율이 크게 좋아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두산중공업은 흡수합병되는 두산밥캣을 캐시카우로 실적도 개선해나갈 방침인데 두산중공업은 두산밥캣 지분 등이 포함된 두산인프라코어 투자부문을 흡수합병하기로 했는데 두산밥캣은 올해 영업이익이 4600억원대를 기록할 전망입니다.

두산중공업 자체 사업 중에선 올해 상용화가 목표인 대형 가스터빈 사업에 집중하는데 글로벌 복합화력 시장이 확대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노후 복합화력 폐지와 이를 대체하기 위한 한국형 표준 복합화력 사업이 진행 중이기 때문입니다.

두산중공업은 사업보고서를 통해 "고수익 H급 OEM GT 생산 및 서비스 사업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자회사로 편입된 두산퓨얼셀은 아직 영업이익이 크진 않지만 두산중공업의 수소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두산중공업은 창원 본사에 국내 첫 수소액화플랜트를 건설 중이고 제주도와 동해에선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과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두산중공업은 수소 및 탄소 자원화 시장에서 신규 사업 추진을 검토 중입니다.

두산중공업만 놓고보면 두산그룹구조조정은 마무리된 것으로 보이지만 두산건설 부실이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고 두산그룹 오너일가가 산업은행의 경영간섭을 받지 않을 경우 그 동안 그룹에 내놓은 사재를 다시 찾아가려 할 수 있어 위험은 항상 상존하는 것 같습니다

두산중공업과 두산밥캣, 두산퓨어셀 같은 회사들은 좋은데 오너일가가 끼어들면 빨대 꽂아 빼먹으려고만 하는 것 같아 불안감이 있습니다

경영능력이 검증되지 않은 오너일가의 경영은 지금까지 계속 실패해 오다 산업은행이 경영간섭하면서 이렇게 좋아진 것인데 산업은행이 손을 떼면 불확실성이 커 질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두산중공업 2020년 실적공시

※ 동 정보는 동사가 작성한 결산자료로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수치가 변경 될 수 있으므로 추후 「감사보고서 제출」공시를 반드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재무제표의 종류

연결

2.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변동내용(단위:천원)

당해사업연도

직전사업연도

증감금액

증감비율(%)

- 매출액(재화의 판매 및 용역의 제공에 따른 수익액에 한함)

15,132,406,696

15,659,674,141

-527,267,445

-3.4

- 영업이익

154,091,200

1,076,886,810

-922,795,610

-85.7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863,908,891

95,189,651

-959,098,542

적자전환

- 당기순이익

-838,445,773

-104,367,151

-734,078,622

-703.4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소형 건설기계 사업을 하는 두산밥캣이 지게차 사업에 전격 진출합니다.

두산밥캣은 11일 이사회를 열고 그룹 지주사 ㈜두산의 지게차 사업부 산업차량BG 지분 100%를 인수하기로 결정했고 인수 금액은 7500억 원으로 오는 7월경 계약을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두산밥캣은 이번 지게차 사업 진출을 통해 성장성 높은 사업으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게 되며 세계 소형건설장비 시장 1위의 브랜드 파워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입니다.

㈜두산 산업차량BG는 지난 2019년 기준 매출 9127억 원, 영업이익 616억 원을 기록했고 최근 5년 간 연평균 6.8%대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는데 특히 대표 제품 지게차는 국내 시장점유율 54%로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두산밥캣은 지난해 농경·조경용 제품을 새롭게 선보이며 시장 안착에 성공하는 등 신성장동력 강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두산밥캣 관계자는 “국내외 유통망 공동 활용, 무인자동화 기술을 비롯한 연구개발(R&D) 협업 등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다양한 시너지가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두산밥캣이 갖고 있던 현금 7500억원이 모기업인 두산으로 흘러들어가는 계약으로 두산 산업차량BG에 대한 적정가치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어 보입니다

이번 딜에 대해 모기업 지원이라는 말들이 나오고 있는데 증권사들은 미국 인프라투자와 블루웨이브 투자 등을 감안하면 나쁘지 않은 딜이라고 보고서가 나오고 있습니다

모기업에 자금을 몰아주고 있어 새로운 M&A나 지배구조 개선에 나서는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