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고점 부담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과 투자자들의 고용 지표 주시 속에 지수별로 엇갈린 모습을 보였습니다.
30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10.22포인트(0.61%) 오른 34,502.51로 장을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70포인트(0.13%) 오른 4,297.50으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4.38포인트(0.17%) 떨어진 14,503.95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S&P500지수는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고, 올해 상반기에만 14.49% 올랐고 배런스에 따르면 S&P500지수의 상반기 상승률은 1998년 이후 2019년 상반기(17.4%↑)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도 상반기에 각각 12.73%, 12.54% 상승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5개 분기 연속 오름세로 마감해 2017년까지 이어진 9개 분기 연속 상승 이후 가장 오랜 분기 상승세를 유지했습니다.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과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조기 긴축 우려에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주가는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주 후반 예정된 노동부의 고용 보고서를 앞두고 이날 발표된 민간 고용 지표에 주목했습니다.
ADP 전미고용보고서에 따르면 6월 민간부문 고용은 69만2천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날 수치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조사한 시장 예상치인 55만 명 증가를 웃도는 수준으로 전달 수치는 97만8천 명 증가에서 88만6천 명 증가로 하향 조정됐는데 전달보다 수치가 둔화하긴 했지만, 고용이 70만 명에 육박하면서 고용 회복세에 대한 기대는 유지됐습니다.
저널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이번 주 금요일 발표될 6월 비농업 고용이 70만6천 명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실업률은 5.6%로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 중서부 지방의 6월 제조업 활동은 확장세를 이어갔으나 전달보다 둔화했는데 공급관리협회(ISM)-시카고에 따르면 6월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PMI)는 66.1로 전달의 75.2에서 낮아졌습니다.
투자자들은 글로벌 코로나19 상황도 주시하고 있는데 로스앤젤레스(LA) 카운티는 델타 감염자 비중이 거의 절반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자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지침과 관계없이 독자적으로 마스크 의무화를 부활시켰습니다.
로셸 월렌스키 CDC 국장은 NBC 방송에 출연해 마스크 착용 지침 결정을 지역 보건 당국에 맡겨두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웰렌스키 국장의 발언은 미국에서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쓰라고 권고하면서 CDC가 마스크 지침을 재검토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각국이 델타 변이의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봉쇄 조치를 강화하는 가운데 미국은 전 세계 코로나19 확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증시는 경기 회복세에 대한 기대와 금리 하향 안정으로 계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데 10년물 국채금리는 1.45% 근방에서 거래됐다. 지난 25일 1.52%에서 거래되던 것보다 더 낮아진 것입니다.
금리 하락은 기술주와 성장주를 끌어올리는 데 일조하고 있습니다.
펀드스트랫의 톰 리 리서치 대표는 S&P500지수의 올해 연말 전망치를 기존 4,300에서 4,600으로 상향했다. 연말 전망치는 현 수준보다 7%가량 높은 수준입니다.
상반기 주가가 크게 오르면서 하반기에 대한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는 조언도 나오고 있습니다.
연준 내 대표적 매파(통화 긴축 선호)로 통하는 로버트 카플란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연말이 오기 전에 채권 매입을 단계적으로 줄이기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카플란 총재는 블룸버그 TV와의 인터뷰에서 카플란 총재는 연말에 테이퍼링(자산 매입 프로그램 단계적 축소)이 시작될 것이라는 시장 전망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좀 더 빨랐으면 한다"고 답했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특히 채권금리가 안정되면서 성장주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픽테트 에셋 매니지먼트의 샤니엘 람지 멀티에셋 펀드 매니저는 월스트리트저널에 "성장주들이 채권금리가 안정됨에 따라 더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라며 "성장주가 시장에서 대형주임을 고려할 때 전체 지수가 더 오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내년 3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9.7%로 반영했고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0.19포인트(1.19%) 하락한 15.83을 기록했습니다
유동성장세의 여운이 아직도 남아 기준금리 인상 까지 최대한의 수익을 노리는 모습입니다
지수가 랠리를 펼치면서 개인투자자들도 과감하게 매수에 동참하고 있는데 어느 순간에 기관투자자들이 고점에 차익실현에 나서면 개인투자자들이 고스란히 상투에 물리는 결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지금 주가는 유동성이 만든 주가버블로 결국은 터지게 되어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중국 화장품법 개정 수혜 상반기 실적 호전 기대감 (0) | 2021.07.01 |
---|---|
중국 차량공유업체 디디추싱 6월 30일(이하 현지시간) 뉴욕 주식시장 상장 성공 (0) | 2021.07.01 |
남양유업 매일유업에 온라인 비방 사건 공식 사과 M&A 이후 주가 회복 가속화 (0) | 2021.06.30 |
쌍용차 청산가치가 존속가치보다 약 2300억원 크다 산업은행의 선택은? (0) | 2021.06.30 |
범양건영 이재명 기본주택 관련주 편입 상한가 (0) | 2021.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