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예상보다 일찍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커지자 일제히 하락세를 나타냈습니다.

16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65.66포인트(0.77%) 하락한 34,033.67로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2.89포인트(0.54%) 떨어진 4,223.70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3.17포인트(0.24%) 밀린 14,039.68로 장을 마쳤습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장 초반부터 보합권에서 등락하다 FOMC 결과에 낙폭을 확대했습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이날 기준금리를 제로(0~0.25%) 수준으로 동결하고,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계속 완화적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는데 자산 매입 프로그램과 관련해서도 변화를 주지 않았습니다.

다만 많은 위원들이 연준의 첫 금리 인상이 2023년말까지는 이뤄질 것으로 예상해 이전보다 금리 인상 시점은 당겨질 것으로 봤습니다.

이날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 위원들의 금리 전망치를 담은 점도표를 주시해왔습니다.

올해는 18명의 위원들 중 아무도 금리 인상을 예상하지 않았으나 2022년말까지 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한 위원이 7명으로 지난 3월 회의 때의 4명에서 늘어났고 또한 2023년말까지 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한 위원은 13명으로 동결을 예상한 5명을 크게 웃돌았는데 지난 3월에는 2023년까지 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본 위원은 7명에 그쳤었습니다.

이에 따라 2023년 말까지 위원들의 금리 중간값은 0.6%로 현재의 0.1%에서 0.5%포인트 높아졌고 이는 두 차례 금리 인상을 예상한 것으로, 2023년 금리 인상을 점친 위원 중에서 11명이 최소 2차례의 금리 인상을 예상했기 때문입니다.

지난 4월과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각각 4.2%, 5% 오르면서 물가상승률 압박이 커졌으나 연준은 공급망 차질과 기저효과에 따른 일시적 현상일 것이라는 점을 재확인해줬습니다.

그럼에도 연준 내에서는 물가 상승 압력에 더 일찍 대응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자산 매입 축소와 관련해 연준이 사전에 이를 알릴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으며, 위원들의 금리 전망치는 가감해서 들어야할 필요가 있으며 먼 미래의 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경제 재개로 인해 다양한 요인들이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오래 더 지속적일 가능성을 야기한다고 지적했으나 연준의 전망대로 수그러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FOMC 회의 결과에 1.559%까지 올랐는데 이는 지난 6월 7일 이후 최고치입니다.

연준의 금리 인상 전망에 민감한 2년물 금리는 0.203%로 4bp 가까이 상승했고 이는 2020년 6월 16일 이후 최고치입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지수는 이날 90.30수준에서 거래되다 결과 발표 이후 91.365 수준까지 올랐는데 몇시간만에 1% 가까이 급등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은 긍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끝이났습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회담 분위기가 좋고 긍정적이었다고 평했으며,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양측의 이견에도 불구하고 미러 정상회담은 상당히 건설적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날 나온 경제 지표는 혼조세를 보였는데 5월 신규 주택 착공 실적은 전월 대비 3.6% 늘어난 연율 157만2천 채(계절 조정치)를 기록해 전문가들의 전망치인 163만 채를 하회했습니다.

주택착공 허가건수는 전월보다 3.0% 줄어든 연율 168만1천 건(계절 조정치)을 기록했고 미국의 5월 수입 물가는 석유제품 가격이 오르면서 예상치를 웃도는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미 노동부는 5월 수입 물가가 전월 대비 1.1% 상승했다고 발표했는데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0.7% 상승을 상회했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이날 결과는 시장이 예상한 것보다 더 매파적이었다고 진단했는데 통화정책에 있어 매파적이라는 말은 인플레이션에 대해 더욱 강경하게 대응해야한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푸르덴셜의 퀸시 크로스비 수석 시장 전략가는 월스트리트저널에 "이번 성명에 대한 증시 반응은 매도로 나타났으며 10년물 금리는 위쪽을 향했다"라며 "요지는 이날 성명은 시장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매파적이었다"라고 말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12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2.2%로 반영했고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1.13포인트(6.64%) 오른 18.15를 기록했습니다.

미국 FOMC회의 결과는 당장은 양적완화를 이어가겠지만 머지 않은 미래에 인플레이션을 방어하기 위한 금리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사실을 시장참여자들에게 분명히 밝히고 있습니다

이것은 유동성잔치가 끝났다는 것으로 자산버블에서 이제 빠져 나와야 한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집니다

이전부터 말해왔지만 미FRB는 인플레이션에 주목하고 테이퍼링에 대해 준비해 오고 있고 코로나19 사태가 진정국면에 들어가고 있어 이제는 과잉 유동성이 만든 자산버블이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것을 걱정해야 할 상황에 도달한 것입니다

모두가 알고 있지만 누군가는 아직 유동성장세를 즐기고 싶어하기 때문에 시장참여자 모두에게 똑같은 시간표가 주어진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마지막까지 미련을 못 버린 유동성 파티 참석자가 파티 끝에 고주망태가 되어 파티장 구석에 쓰러져 있는 것처럼 정신못차린 투자자들이 버블폭탄을 맞게 될 겁니다

시장의 큰 흐름을 잘 타야 수익도 제대로 챙길 수 있는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