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이번 주 예정된 주요 기술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26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1.92포인트(0.18%) 하락한 33,981.57로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7.45포인트(0.18%) 상승한 4,187.62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21.97포인트(0.87%) 오른 14,138.78을 나타냈습니다.
나스닥 지수는 기술 기업들의 실적 기대에 2월 12일 이후 처음으로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기업 실적과 이번 주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와 조 바이든 대통령의 보육 및 교육 관련 지출안 및 증세안 등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에는 이날 테슬라를 시작으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알파벳 등 주요 IT 기업들의 실적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테슬라는 이날 장 마감 후 1분기 순익이 4억3천800만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밝혔는데 주당순이익은 93센트로 리피니티브가 조사한 애널리스트 예상치 79센트를 웃돌았고 매출은 103억9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74% 늘어났으며 애널리스트 예상치인 102억9천만 달러도 웃돌았습니다.
이번 주에는 이외에도 보잉, 포드, 캐터필러 등 경제 재개에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업들의 실적도 발표되는데 대다수 기업은 월가의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내놓고 있습니다.
CNBC에 따르면 S&P500지수 기업 중 현재까지 25%가량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84%의 기업은 주당순이익이 예상치를 웃돌았고 77%의 기업은 매출이 예상치를 웃돌았습니다.
만약 이후 기업들이 계속 이 같은 추세를 유지해준다면 84%는 2008년 이후 최대 규모가 될 전망입니다.
이번 주에는 미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선호하는 3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도 발표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나온 경제지표가 크게 개선되면서 시장의 기대는 높아진 상태입니다.
이날 발표된 3월 미국의 내구재(3년 이상 사용 가능 제품) 수주는 전달보다 늘었지만, 시장 예상에는 못 미쳤습니다.
미 상무부는 3월 내구재 수주 실적이 전월 대비 0.5%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 2월 팬데믹 위기가 시작됐던 지난해 4월 이후 열 달 만에 첫 감소를 기록한 데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2.2% 증가에는 미치지 못했습니다.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관할 지역 제조업체들의 활동 지수는 전달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댈러스 연은은 4월 제조업체들의 기업활동지수가 37.3으로 전월의 28.9에서 큰 폭 상승했다고 밝혔는데 지수는 제로(0)를 기준으로 확장과 위축을 가늠합니다.
투자자들은 최근 새로운 코로나19 진앙지로 부상한 인도의 코로나19 확산 상황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인도 정부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26일 기준 35만2천991명을 기록해 6일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밝혔는데 신규 사망자도 2천812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인도는 병상과 의료용 산소 부족으로 병원 시스템이 거의 마비 상태에 이르면서 상황이 날로 악화하고 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인도를 중심으로 전 세계 코로나19 재확산세가 가속화되자 연방 당국 차원의 안전성 검토를 마치는 대로 6천만 회분 분량의 아스트라제네카(AZ) 코로나19 백신을 다른 나라들에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미국에서는 백신 접종 가속화로 이르면 27일 바이든 행정부가 야외 마스크 착용과 관련해 연방 공중 보건 지침을 완화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으나 인도를 중심으로 코로나19가 확산할 경우 신흥국을 중심으로 경제 재개는 더욱 느려질 것으로 보입니다.
업종별로는 필수소비재가 1% 이상 하락했고, 유틸리티 관련주도 0.5%가량 떨어졌고 기술주는 0.5% 상승했으며 에너지 관련주와 임의소비재 관련주가 각각 0.6% 이상 올랐습니다.
아마존과 테슬라의 주가가 각각 2%, 1% 이상 올랐고, 페이팔이 2%, 엔비디아가 1%가량 상승했습니다.
뉴욕 증시 전문가들은 인도에서의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불확실성을 가중한다고 경고했습니다.
JP모건 에셋 매니지먼트의 휴 김버 전략가는 "이는 분명한 후퇴이며 상당한 불확실성을 가중한다"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올해 내내 투자자들이 코로나19 재확산이라는 엄청난 위험을 다뤄야 할 것이라는 점을 상기시킨다"라고 말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9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10.3% 반영했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0.31포인트(1.79%) 오른 17.64를 기록했습니다
인도에서 코로나19재확산을 미국 월가가 우려하는 것은 그들 월가가 밤에 자고 있을 때 데이타를 분석하고 정리하는 일을 인도인들이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도에서 밤사이 정리된 레포트가 뉴욕 월가의 뉴요커들이 출근했을 때 그들 책상 위에 올라와 있어야 하는데 인도가 코로나19재확산으로 제대로 일이 안되니 뉴욕 월가가 우려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미국기업들의 1분기 실적은 미 중앙은행인 FRB가 예상보다 빨리 통화긴축으로 선회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 것으로 시장이 혼조세를 나타낼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나스닥 기술주들은 코로나19 사태 속에 비대면 문화의 보급으로 새로운 기회를 잡게 된 것으로 더 이상 감염병이 기업의 발목을 잡지 않는다는 사실을 신기술을 통해 증명해 냈습니다
그럼에도 전통적인 방식의 유동성 공급으로 시장을 살려낸 미 중앙은행은 이제 인 플레이션을 걱정할 수 밖에 없는 수순으로 넘어가고 있습니다
미FRB가 통화긴축으로 선회하여 기준금리를 올린다면 예상보다 빠르게 시장내 유동성이 더 이상의 자산버블을 만들지 못하게 빨아들일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1분기 실적발표 어닝서프라이즈 but 중국시장이 위험하다 (0) | 2021.04.27 |
---|---|
애플 향후 5년 간 미국에 4300억달러(약 477조7300억원) 투자 삼성은 어디에 투자하고 있나? (0) | 2021.04.27 |
플리토 마이크로소프트(MS) 뉘앙스 커뮤니케이션스 160억 달러(약 18조원)에 인수 영향 기업가치 재평가 상한가 (0) | 2021.04.26 |
코로나19백신 노바백스 관련주 위탁생산 기대감에 급등세 (0) | 2021.04.26 |
팜젠사이언스 자회사 엑세스바이오 상한가 소식에 동반 급등세 (0) | 2021.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