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뉴욕증시 는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가 큰 폭으로 올랐다는 소식에 하락했습니다.

12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 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는 전장보다 681.50포인트(1.99%) 하락한 33,587.66으로 장을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는 전장보다 89.06포인트(2.14%) 밀린 4,063.04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 는 전장보다 357.75포인트(2.67%) 떨어진 13,031.68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 의 낙폭은 1월 이후 최대로, S&P500지수의 낙폭은 2월 이후 최대로 특히 나스닥지수는 이번 주 들어 5% 이상 하락했으며 4월 29일 기록한 고점 대비로는 8.3% 하락했습니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날 개장 전 발표된 미국의 4월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가파르게 오르자 장 초반부터 매도에 나섰는데 매도세는 전날 저점을 하향 돌파하면서 더욱 강화됐습니다.

미 노동부는 #4월소비자물가지수 (CPI)가 전월보다 0.8%,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4.2% 올랐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월가 예상치인 0.2%, 3.6% 상승을 크게 웃돌고 있는 모습입니다.

전년 대비 상승률 4.2%는 2008년 9월 기록한 4.9%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는데 에너지와 음식료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9%, 전년 대비 3% 올랐고 월가의 예상치는 각각 0.3%, 2.3%였습니다.

물가가 시장의 예상보다 더 빠르게 오르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달러화 가치는 올랐고, #10년물국채금리 는 지표 발표 전 1.623%에서 이후 1.693%까지 올랐는데 하루 상승 폭으로는 3월 이후 최대치 입니다.

향후 5년간 시장이 기대하는 #인플레이션 인 5년물 BER(breakeven rate:명목 국채 금리-물가연동국채 금리)는 2.767%로,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습니다.

물가가 오르는 것이 수치적으로 확인되고 있어 #연방준비제도 (연준·Fed)가 이를 통제하기 위해 금리를 올릴 수 있는 명분이 생긴 것으로 언제든지 연준이 금리인상에 나서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물가상승과 #금리인상 은 소비자 수익에 타격을 주고 기업활동을 위축시켜 특히 밸류에이션이 높은 성장주나 기술주에 악영향을 주게 됩니다.

연준은 일시적인 인플레이션 급등에 대해서는 행동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왔는데 이번 소비자물가지수가 이벤트적으로 튄 것인지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지는 한 분기 더 지나보면 명확하게 알 수 있는 것입니다

물가 상승세가 예상보다 가파르고 지속적일 경우 연준이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압박은 커질 것이고 결국 #인플레이션파이터 로써 의무를 다하기 위해 금리인상에 나설 수 밖에 없습니다.

리처드 클라리다 연준 부의장은 이날 전미실물경제협회(NABE) 연설에서 올해 말 인플레이션이 완만해지기 전 향후 몇 개월 동안 더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클라리다 부의장은 "일회성 물가 상승은 기저 인플레이션에 일시적인 영향만 미칠 가능성이 높다"며 "인플레이션은 2022년과 2023년에 우리의 2% 장기 목표나 일부는 그 이상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는데 아직은 연준이 예상한 범위 안에 인플레이션이 머물고 있어 금리인상에 나서지 않고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이날 시장에서는 에너지를 제외한 10개 섹터가 모두 하락했는데 에너지주는 유가 상승에 힘입어 0.06% 올랐고 임의소비재 관련주가 3% 이상 하락했으며, 기술주도 2.86% 떨어졌습니다.

자재, 산업, 부동산, 유틸리티, 통신 관련주도 모두 2% 이상 하락했습니다.

대형 기술주 중에서는 구글 모기업 #알파벳 이 3% 떨어지고, #엔비디아 가 3%가량 하락했고 #테슬라 는 4% 이상 떨어졌습니다.

#애플#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도 2% 이상 하락했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시장이 인플레이션 우려를 차익실현의 빌미로 삼고 있다고 진단했는데 골드만삭스의 크리스 허시 매니징 디렉터는 CNBC에 "올해 들어 10% 이상 오른 주식시장에서 (포지션을) 줄일 빌미를 찾았던 투자자들이 바로 '인플레이션 상승'이라는 빌미를 찾았다"고 말했습니다.

씨티즌스의 토니 베디키안 글로벌 시장 담당 대표는 "주가가 여전히 사상 최고치 근방에서 거래되면서 투자자들이 약간 불안해하기 시작했다"고 말했습니다.

달도 차면 기운다고 과잉 유동성이 만든 #주가버블 이 한계에 도달했고 이제는 스마트머니들이 먼저 낙하산을 메고 뛰어내리고 있는 모습입니다

자산버블이 서서히 꺼진다면 소프트랜딩으로 모두가 안전하게 버블이 낀 시장에서 탈출할 수 있겠지만 금리인상 카드가 생각 밖으로 일찍 나온다면 하드랜딩으로 시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9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9%로 반영했고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5.75포인트(26.33%) 급등한 27.59를 기록했는데 이는 3월 초 이후 최고치입니다

시장은 인플레이션을 수치로 확인했고 스마트머니들은 여기에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모습으로 버블이 터질때까지 인내심을 갖고 기다린 투자자들이 충격을 뒤집어 쓸 것입니다

연준이 금리인상 카드를 꺼내들 때는 글로벌 자산시장에 퍼져 있는 달러 과잉 유동성을 빨아들이는 신호로 읽혀 우리 시장에도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원달러환율 이 주식과 채권을 팔고 달러로 환전하는 외국인투자자들에게 유리하게 돌아가는 것은 이들의 매도심리를 더 부추기게 될 것이 염려되는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