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삼성전자는 지난달 30일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79조1405억원, 영업이익 6조6853억원의 확정 실적을 발표했는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 1.2% 증가하며 분기 기준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지만, 2분기 이후 트럼프 상호관세 영향으로 실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실적피크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1분기 실적은 AI스마트폰으로 흥행에 성공한 갤러시S25 시리즈의 글로벌 판매증가에 영향받은 바가 큰데 2분기에는 관세 증가 우려에 실적둔화 가능성이 커져 실적피크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삼성전자는 1분기 스마트폰과 태블릿 출하량이 각각 6100만대와 700만대를 기록했다고 컨퍼런스콜에서밝혔는데 오래간만에 스마트폰에서글로벌 히트작을 내놓은 것입니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부문에서 그 동안 경쟁사에 뒤쳐졌던 HBM3E 양산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 HBM시장에서 SK하이닉스에 완전히 밀리고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에게도 밀리고 있어 삼성전자는 더 이상 물러설 데도없는 상황입니다
삼성전자는 HBM4를 하반기 양산할 예정인데 HBM3E에서 밀린 시장을 HBM4에서 되찾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파운드리 부문은 2나노 GAA(게이트 올 어라운드) 공정의 신뢰성 평가를 완료하고, 2분기부터 양산을 시작하는데 삼성전자는 2나노 및 4나노, HPC·AI 고객 과제를 포함한 5나노 이하 선단 공정을 중심으로 수주 실적이 전분기 대비 확대됐다고 밝혔습니다
전반적으로 삼성전자는 트럼프 관세 영향으로 10% 기본관세에 품목관세 영향을 받아 추가적인 관세를 부담할 것으로 보여 판매량 감소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고 이는 실적둔화로 연결될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실적피크 우려에도증권사들은 목표주가를 높여잡고 있는데 1분기 실적을 견인한 스마트폰이 부진하더라도 반도체 부문에서 실적이 살아나주면 전체적으로 실적을 견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 1분기 잠정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83,000원 정도로 평가되는데 중국이 미국의 본격적인 관세전쟁 전에 삼성전자의 최신 반도체 재고를 쌓아두려는 선주문이 증가하고 있어 삼성전자 실적이 2분기에도 선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정거래위원회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현황’’ 발표 (6) | 2025.05.02 |
---|---|
CJ ENM 1분기 실적 바닥 가능성 하반기 실적회복 기대감 (4) | 2025.05.02 |
고영 뇌수술 의료로봇 4월 미국대형병원 첫 출하 기대감 (0) | 2025.04.30 |
롯데건설 유동성 시한폭탄 홈플러스 사태로 다시 작동 우려 (0) | 2025.04.30 |
에이스토리 최악의 2024년 실적을 지나 2025년 실적 개선 기대감 (4)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