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전쟁여파가 D램 고정거래처 가격을 밀어올리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D램의 고정거래선 가격을 전격 인상했는데 중국 정부의 '이구환신' 정책으로 중국 내수 가전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전쟁으로 중국 가전업체들의 밀어내기 수출이 급증하면서 D램 가수요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는 이달 초 주요 고객사와 D램 공급 가격 인상안을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고객사마다 구체 내용은 상이하지만 평균 인상률은 DDR4 D램이 두 자릿수대, DDR5 D램은 한 자릿수대로 결정되어 DDR4는 20%, DDR5는 5% 안팎으로 알려졌습니다

 

D램 가격 인상을 주도한 것은 미국 마이크론으로 트럼프 정부으 관세인상을 이유로 들었지만 D램 가수요가 발생하며 D램 공급부족 사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관세 부담이 커지기 전에 미리 D램을 확보하려는 PC·모바일·서버 제조사들의 주문이 증가하고 있는데 삼성전자도 D램 고정거래선 가격인상에 나설 수 밖에 없을 정도로 수요가 가파르게 늘어난 모습입니다

 

삼성전자가 HBM3E 양산에 나설 경우 D램 공급이 더 줄어들 수 있다는 불안감이 가전과 PC업체들의 D램 가수요를 키운 측면이 있는데 이번 가격 인상은 2분기 공급제품부터 적용되기 때문에 삼성전자 실적호전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삼성전자 2025_1Q_실적발표.pdf
2.85MB
삼성전자 20250408 삼성증권.pdf
0.59MB
삼성전자 20250410 KB증권.pdf
0.66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