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국이 중국의 인공지능 AI 개발을 방해할 목적으로 첨단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규제해 왔는데 중국 AI스타트업 "딥시크"가 미국 오픈AI를 뛰어넘는 생성형 AI모델을 내놓으면서 미국 증시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Ai가속기를 독과점하고 있는 엔비디아가 중국에 수출할 수 있는 Ai가속기는 한세대 전 모델인 H800으로 가격도 저렴하지만 능력은 첨단 AI가속기 H100S나 A100 모델보다 못한 것이라 미국도 안심하고 중국 수출을 허용해 왔는데 이번에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H800을 가지고 미국의 AI모델들을 뛰어넘고 있어 AI챗봇의 대중화 시대를 한 걸음 더 땡겨 온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미국 트럼프2기 정부는 안보문제를 이슈로 중국 Ai "딥시크" 이용 금지를 명하고 미국 기업들의 중국 '딥시크AI' 이용을 금지하도록 만들었는데 비용 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미국 기업들이 과연 가성비 좋은 중국 AI '딥시크'를 막는다고 이용하지 않을 지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중국 반도체 산업의 성장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고 중국 정부의 "반도체굴기" 지원도 증가하고 있어 중국 자체 반도체 시장의 성장은 미국의 견제에도 속도조절은 할 지언정 성장을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중국 반도체 시장에서 활동하는 국내 반도체 기업들에 대해 시장참여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성장성이 큰 시장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실적호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엠케이전자는 중국 반도체 밸류체인 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으로 알려져 있고 국내 상장한 중국기업인 피델릭스는 중국 최대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 플래시 메모리 부문에서 전략적 제휴를 맺고 있습니다.
GRT 또한 지난해 3월 딥시크과 연관이 있는 중국 AI 서버 제조업체인 낭조정보와 수주 계약을 맺으면서 관련 수혜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 최대 장비업체인 ‘나우라’는 에처 장비 분야의 차세대 장비를 전부 라온테크 것을 쓰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투자자들은 중국 반도체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국내 반도체 업체를 찾아 묻지마 매수에 나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널드 트럼프 무역전쟁 개시 캐나다와 멕시코 25% 관세 부과 중국 10% 추가 관세 부과 (4) | 2025.02.02 |
---|---|
삼성전자 갤럭시S25 런칭 2세대 AI스마트폰 출사표 글로벌시장점유율 확대 기대 (4) | 2025.02.02 |
블리츠웨이스튜디오 넷플릭스 시리즈 "중증외상센터" 히트 수혜 기대감 (9) | 2025.02.02 |
두산테스나 갤럭시S25 런칭 온디바이스AI 시장 성장 수혜주 (6) | 2025.02.01 |
레인보우로보틱스 AI 휴머노이드로봇 개발 가속화 삼성전자 AI기술 협력 (8)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