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1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현황’에 따르면 올해 공시대상기업집단(이하 공시집단)은 92개로 지난해보다 4개 늘어났는데 일반적으로 ‘대기업’이라 불리는 공시집단은 공정거래법에 따라 전년 말 기준 자산총액이 5조원 이상인 기업집단을 지정해 통지합니다.



92개 공시집단에 소속된 총 회사 수는 3301개로 지난해 보다 17개 줄어들었는데 공시집단 중 자산총액이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0.5% 이상(11조6000억원)인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상출집단)은 46개로 작년보다 2개 줄었고 상출집단은 ‘상위 대기업’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자산 상위 10대 그룹은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롯데 ▲포스코 ▲한화 ▲HD현대 ▲농협 ▲GS 순으로 집계됐는데 삼성은 자산 589조 원으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고 SK(363조 원), 현대자동차(307조 원), LG(186조 원)가 뒤를 이으며 4대 그룹을 형성했습니다

 

10대그룹 내에서 변동은 크지 않았지만 10대 이하 그룹들은 큰 지각변동을 보여주고 있는데 쿠팡과 네이버 카카오 같은 신기술기업들의 약진이 눈에 띄는데 효성그룹이 30위권 밖으로 밀려나는 모습은 아직은 우리 재계에 역동성이 살아 있다는 증거인 것 같습니다

 

항공사 인수합병(M&A)과 관련된 기업 순위가 크게 변하고 있는데 금호아시아나는 지난해 자산 총액 17조 3900억 원으로 상출집단으로 분류됐지만 2월 아시아나항공을 한진에 넘기면서 공시집단 목록에서 배제된 반면 티웨이항공을 인수 중인 소노인터내셔널은 기업 순위가 86위에서 64위로 대폭 상승했습니다.

 

방산 업계의 대표 주자인 한화의 경우 순위는 7위로 지난해와 같았지만 자산 총액은 112조 4600억 원에서 125조 7400억 원으로 크게 상승했고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자산도 9000억 원 가까이 늘었으며 LIG는 자산 총액 7조 1100억 원(69위)을 기록하며 공시집단으로 진입했습니다.

 

공시집단 기업은 공정거래법에 따라 대규모 내부거래 의결 등에 대한 공시 의무와 부당한 이익 제공 금지 의무 등이 적용되는데 상출집단은 이에 더해 상호출자·순환출자·채무보증 금지 등의 규제가 추가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250502(조간) 2025년도 공시대상기업집단 등 지정결과 발표.pdf
0.43MB
(별첨2)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현황_(최종).xlsx
0.02MB
(별첨3)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재무 현황_(최종).xlsx
0.02MB
(별첨4)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경영 성과_(최종).xlsx
0.02MB
(별첨5)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계열회사 현황_(최종).xlsx
0.18MB
(별첨6)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계열회사 변동 내역_(최종).xlsx
0.04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