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네이버의 독자적인 인공지능 AI 개발과 관련 서비스에 있어 미국 빅테크들의 고비용 저효율 인공지능AI 기술을 뛰어넘을 수 있는 기회의 포착이 중국 AI스타트업 '딥시크'쇼크에서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중국발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의 등장으로 미국 증시 분 아니라 국내 증시도 큰 충격을 받는 모습이지만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는 종목들도 있어 희비가 엊갈리는 모습입니다

 

중국 AI스타트업 '딥시크' 가성비 있는 AI모델 개발에 성공하면서 미국 주도의 AI 시장 주도권이 하루 아침에 고비용 저효율로 낙인 찍히면서 국내 AI 개발에 있어 투자비용은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 모습입니다

 

딥시크의 방법론을 제대로 따라할 수 있다면, 그동안 인프라 비용 투자가 어려워 진행되지 못했던 국내외의 AI 개발이 더 활발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입니다

 

NAVER는 독자적인 AI 개발에 매년 약 5000억원 정도의 R&D 투자금을 쏟아 부었는데 미국의 빅테크 기업보다 상대가 되지 않는 수준의 투자비로 AI 기술 개발을 해 왔기에 경쟁에서 뒤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컸는데 중국 AI스타트업 '딥시크'의 사례에서 투자자들의 우려가 기우였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외국인투자자들의 러브콜을 받고 있습니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네이버는 전 거래일 대비 1만2500원, 6.13% 오른 21만6500원에 거래를 마쳤는데 장 중 21만8500원까지 상승해 52주 신고가인 22만1500원 근처에 이르기도 했고 무엇보다 외국인이 966억원을 사들이면서 '순매수 1위'를 차지했습니다

 

네이버 주가가 급등한 것은 중국 딥시크가 출시한 대형언어모델(LLM) R1 때문인데 R1은 챗GPT 등 미국 경쟁업체가 개발한 AI 모델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제작돼 중국의 가성비 AI의 실력을 보여주었는데 하루아침에 미국의 AI기술은 고비용 저효율의 상장이 되어 버린 꼴입니다

 

오픈소스인 중국 '딥시크'의 AI 모델이 NAVER에게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어 미국 빅테크가 개발한 LLM 보다 경쟁력 있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국내 인터넷 시장에서 NAVER가 누리고 있는 기득권을 인공지능 AI 시장에서도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섣부른 기대감이 외국인투자자들의 순매수를 보르고 있습니다

 

이미 주요주주인 블랙록은 지분비율을 높이는 쪽으로 투자방향을 바꾼 모습이기도 해 시장의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NAVER의 지난 해 3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30만원이라 지금의 주가상승은 실적을 주가에 반영하는 흐름이라 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NAVER 3Q24_Naver_Earnings_Kor_vF.pdf
0.32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