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970년 서울 은평구 대조동에 싱크대 등 현대식 부엌가구를 파는 7평 규모의 매장으로 시작한 51년 전 조창걸 명예회장이 창업한 한샘은 주부가 행복한 부엌을 만든다는 신념은 1980년대 강남 아파트 개발 붐과 맞물리면서 현대식 입식 부엌 열풍을 타고 고도성장을 이어왔습니다.
한샘은 이 흐름을 타고 1986년 부엌 가구 업계 1위에 올라섰고 1997년 외환위기 당시에는 역발상으로 플래그십 스토어를 열어 성장했는데 2002년 리모델링 사업에 진출해 인테리어 시장으로 저변을 넓히며 2013년 국내 가구 업계 최초로 매출 1조 원, 2017년에는 매출 2조 원을 달성하면서 국내 인테리어·가구를 대표하는 업체로 자리 잡았습니다.
고도성장을 이어가던 한샘이 매물로 나왔는데 진행 중인 협상이 잘 마무리되면 한샘은 사모펀드(PEF)를 새 주인으로 맞아 새로운 도약에 나서게 되는데 여러 구설수에 휩싸이며 기업가치가 악화하고 승계 문제까지 겹치자 창업자가 전격적으로 결단을 내렸다는 소문인데 PEF가 국내 기업의 경영권승계 상황에 대한 해결책으로 다시 주목 받고 있습니다.
한샘이 인수합병(M&A) 시장에 매물로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닌데 2년 반 전 글로벌 PEF 칼라일, 국내 PEF MBK파트너스를 비롯해 CJ 등 대기업과 매각 논의를 진행했는데 당시 조 명예회장은 주당 20만 원에 기업이 평가받기를 원했고 ‘지나치게 비싸다’는 인식에 매각은 결국 결렬됐습니다.
하지만 2년 반이 지난 지금 한샘의 몸값은 주당 25만 원으로 껑충 뛰었는데 현재 주가 대비 2배 이상으로 업계에서는 “한샘의 성장성을 반영한 것”이라고 평가하는데 아파트 인테리어 시장의 폭발적 수요가 배경인데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서울을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이 급등했을 뿐 아니라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등으로 단순 투기목적이 아닌 거주목적으로 아파트를 구매하면서 인텔리어 고급화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 주택 소유자들도 자신이 장기간 거주할 주택에 대해 인테리어 개조에 대한 욕망을 키우면서 인테리어 붐이 한샘의 기업가치를 밀어올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30대는 소위 ‘영끌’로 낡고 오래된 저가 아파트라도 사서 인테리어를 해 입주했는데 여기에 코로나19까지 겹치며 재택근무 등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늘자 ‘집 꾸미기(홈퍼니싱)’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인테리어 등 유지 보수 시장 규모는 지난해 12조 7,950억 원에서 오는 2030년 14조 7,230억 원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이 같은 추세에 힘입어 한샘도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21.7% 급증한 2조 674억 원을 기록하며 3년 만에 2조 원 클럽에 복귀했는데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12.2% 뛰었습니다.
온라인 가구 시장의 폭발적 성장도 한샘의 몸값이 높게 평가되는 이유로 한샘 인수를 논의 중인 IMM은 단숨에 온·오프라인 가구 시장 지배자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IMM 계열 IMM인베스트먼트는 온라인 가구 판매 플랫폼 기업 오하임아이엔티의 대주주로 오하임아이엔티는 20~30대를 중심으로 온라인을 통해 가구를 구입하는 수요가 늘며 매출도 급증하고 있는데 지난해 매출은 278억 원으로 전년(193억 원) 대비 44% 증가했는데 다만 최근 삼익가구의 ‘스튜디오삼익’처럼 업력이 오래된 전통 강자들이 온라인 시장에 진입해 오하임아이엔티는 안정적으로 제품을 공급할 파트너가 필요하게 되었고 온라인으로 가구를 구입하는 흐름이 자리 잡으면 앞으로 e커머스 업체가 한샘의 새 주인으로 나설 수도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는데 한샘이 신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홈케어 서비스 역시 국내 주요 기업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입니다.
이번 거래는 승계가 막힌 창업자의 해결책으로 PEF가 또 다시 나서고 있는데 조 명예회장은 1939년생으로 올해 82세로 외아들은 2012년 사망했고 손자가 있지만 아직 10대로 적임자가 아니면 아들을 비롯해 누구에게도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겠다는 것이 조 회장의 지론인데 한샘을 1997년부터 25년간 이끌어온 전문 경영인 최양하 회장도 2019년 말 자진 사퇴해 강승수 회장 체제가 이어지고 있지만 불안한 부분이 많습니다.
한샘은 각종 구설수로 인해 기업가치 대비 주가가 약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데 2017년 직원이 여자 신입 사원을 성폭행한 사건을 회사 차원에서 덮으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 그 시작으로 2019년 2심에서 피의자가 모든 혐의를 인정하면서 종결됐지만 기업 이미지는 나락으로 떨어졌습니다.
2018년에는 대리점을 상대로 갑질을 한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가 이뤄졌는데 올해 초에는 경찰로부터 비자금 조성 의혹 수사를 받기도 했습니다.
과거 성장위주의 시대를 살아온 경영진들의 성과 중심, 일 중심으로 조직 문화를 만들다 보니 시대변화를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한샘 외에도 특수 상황에서 PEF가 경영권을 인수하는 경우는 많았는데 승계와 관련해서는 2017년 김준일 락앤락 회장이 어피너티에 락앤락 지분 63.56%를 6,300억 원에 매각한 것이 대표적으로 한 업계 관계자는 “한샘의 기업가치를 끌어올려줄 해결사로 PEF가 나선 모습”이라며 “향후 어떤 식으로 협상이 진행될지 주목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거래소도 한샘에 경영권 매각에 대해 조회공시를 해 오후 6시면 사실 여부가 판가름나게 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이스토리 전환사채 전환가 조정 주가가 쌀 이유가 사라졌다 (0) | 2021.07.14 |
---|---|
지주회사 효성 계열사 실적호전에 주가 급승세 (0) | 2021.07.14 |
소형냉방기기 관련주 조기 열대야에 판매 수혜 기대감 (0) | 2021.07.14 |
이해욱 DL그룹(옛 대림) 회장 개인 소유 회사 부당 지원 혐의 검찰실형 구형 (0) | 2021.07.13 |
현대차증권 주요주주 케이클라비스자산운용 액시트(차익시현) 진행 중 (0) | 2021.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