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V28Gh7TO6BI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삼화전자는 TV와 모니터, 통신기기 등 각종 전자기기의 핵심 부품인 페라이트 코어 전문 생산 업체로 1976년 설립된 오래된 업력을 갖고 있는 삼화콘덴서그룹의 일원입니다

 

국내 유일 페라이트 소재부터 완제품까지 자체 생산라인을 갖고 있는 페라이트 전문 업체로 최근들어 친환경 전기차용 배터리충전기 및 저전압 직류변환장치 등에 사용되는 페라이트코어를 현대모비스와 공동개발하기도 했습니다

 

현재 삼화전자의 고객사는 LG전자와 삼성전자, 현대모비스, 콘티넨탈, 덴소 등 전자회사에서 자동차 부품사까지 호가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의 전장화에 따른 전자파 차폐소재로 페라이트코어는 자동차 안전까지 책임지는 위치까지 올라가고 있고 전가차의 보급은 페라이트코어의 활용처를 늘려주고 있는 사안이 되고 있습니다

 

친환경 전기차의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할수록 고주파 소재 개발에도 나서고 있는데 이는 자율주행차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이외에도 전자파 차폐·측정을 위한 생활(주방) 가전용 흡수체(EMI·EMC)와 대형 전자기기나 전기충전소 부품에 쓰이는 MPC(자성 분말 코어) 소재 사업도 삼화전자가 경쟁력을 갖춘 영역으로 시장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최근의 미중관세전쟁으로 중국의 자석소재 희토류 무기화는 삼화전자의 페라이트 코어에 대한 희토류 대체재로서의 성능과 기술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현재 현대차와 기아의 친환경 차량 15종에 대해 삼화전자의 페라이트코어 부품이 사용되고 있어 현대차와 기아의 친환경차 판매가 증가할수록 실적호전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삼화전자는 2025년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여 흑자전환의 기회로 삼고 있는데 중국 희토류 무기화는 이를 현실화시키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삼화전자 IR 2023.pdf
1.34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gJAYe0-JtRM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미중관세전쟁의 격화로 가전제품의 수출이 줄어들위험이 높아지고 전기차와 자동차 분야 수출도 줄어들 위험이 커지고 있어 전자부품 분야 전체가 위기속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상신전자도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등 주로 가전제품에 적용되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필터를 주력 제품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는데 신규사업으로 리액터를 태양광과 자동차 분야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EMI 필터란 각종 전기ㆍ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유해 전자파(Noise)를 제거 또는 감쇄하여 제품의 전자파 장해(EMI)를 방지하고 전자파 적합성(EMC, 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을 유지시켜주는 제품을 말합니다.

 

상신전자는 가전제품 중심으로 EMI필터를 공급하고 있고 자동차와 태양광 분야에도 EMI필터를 공급하고 있는데 특히 자동차는 전장화 되어 가는 과정에서 전자파로 인한 전자부품 오작동이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차량안전을 위해서라도 EMI필터의 공급량을 늘리고 있습니다

 

전기차는 전자파가 차량 수명과도 연결되고 있어 EMI필터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최근 들어서 AI데이터센터의 건설이 증가하면서 대량의 EMI필터 수요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다만 상신전자의 공장이 중국가 베트남에 위치해 있어 트럼프 관세전쟁의 직접적인 피해자가 될 수 있는데 김해본사의 리액터 사업을 확대해 수익다각화에도 나서고 있는 상황입니다

 

김해본점에서 하고 있는 리액터는 태양광발전 뿐 아니라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에도 사용되고 있어 수익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상신전자의 2024년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4,000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지금의 주가는 저평가 구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상신전자-IR 20170912(최종).pdf
4.78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