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LG헬로비전 이 연간 400억 원을 투자해 ‘ #로컬테인먼트 ’ 채널로 변신합니다.

글로벌 콘텐츠 홍수 속에서 지역을 소재로한 콘텐츠로 차별화해 승부수를 띄우는 것으로 LG헬로비전은 2일 지역채널 콘텐츠 투자를 확대해 이달부터 신규 콘텐츠 4편을 선보이는 등 ‘로컬 필수채널’ 전략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로컬필수채널전략 은 로컬 스토리를 #지식재산(IP)화해 필수 채널로서 지역채널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LG헬로비전은 이를 위해 출범 이후 최대 규모 제작비인 연간 약 400억 원의 투자를 단행했는데 로컬을 기반으로 하는 #케이블TV 사업자의 투자규모로는 대규모로 높은 수준의 콘텐츠 제작을 위해 국내 최정상급 출연진 라인업을 완성하고 스타 CP(총괄 PD)도 영입했습니다.

SBS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tvN ‘렛미인’ 등을 선보였던 #CJENM 출신 박현우 CP가 콘텐츠 제작 총괄에 나서고 여기에 #LG유플러스 와 더라이프 채널 등 LG그룹 계열사와의 공동 제작으로 지역채널에서 기존에 볼 수 없었던 대형 콘텐츠도 선보입니다.

채널 디스커버리, 얼반웍스, 컨텐츠랩 비보 등 전문 제작 역량을 갖춘 국내 유수 제작사와도 협력하는데 신규 콘텐츠는 LG유플러스 ‘U+ 모바일tv’, 미디어로그 ‘더라이프’ 채널에서도 접할 수 있는데 해외 채널 사업자,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사업자를 통한 수출도 모색합니다.

하반기에도 새로운 로컬엔터테인먼트 콘텐츠 4편을 공개하는데 △송은이의 인생책 소재 나눔 토크쇼 ‘북유럽 with 캐리어’ △강호동의 이색 캠핑 버라이어티 ‘골라자봐’’ △김수로, 이수근의 지역 핫플 만들기 프로젝트 ‘우리동네 클라쓰’ △장윤정의 지역 트로트 실력자 발굴 프로젝트 ‘도장깨기’ 등입니다.

강명신 LG헬로비전커뮤니티사업그룹장은 “케이블TV 지역채널과 로컬 기반 콘텐츠 기획·제작 역량은 다른 미디어 사업자들이 갖지 못한 우리만의 무기”라며 “오리지널 콘텐츠를 플랫폼 경쟁력을 이끄는 킬러 콘텐츠로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LG헬로비전의 과감한 투자는 장기적으로 컨텐츠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자기만의 특화된 실력과 기업가치를 키우겠다는 것으로 기존의 지역정보와 지역소식 위주에서 벗어나 재미와 감동을 주는 컨텐츠를 생산해 고객을 붙잡겠다는 전략입니다

케이블TV의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 글로벌 시장으로 도약하는 과감한 투자인데 소비자의 높아진 눈 높이를 맞출 수 있을 지 자못 흥미진진해 보입니다

CJ ENM에서 2020년 LG유플러스로 경영권이 매각된 이후 공격적인 투자가 이뤄지며 생존을 위한 몸부림을 계속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LG헬로비전은 지난해 연간 실적으로 매출 1조579억원, 영업이익 342억원을 기록했는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9%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16.8% 늘었습니다.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672억원과 79억원이었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8% 줄었지만,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05.3% 증가했는데 부문별로는 홈수익이 1723억원(케이블TV 1408억원, 인터넷 268억원, 인터넷전화 47억원)으로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이었고 알뜰폰(MVNO) 수익은 424억원(서비스수익 381억원, 단말기수익 43억원)을 기록해 전분기 대비 0.3% 감소했으며 기타수익은 525억원을 나타내며 전분기 대비 11.6% 증가했습니다.

4분기 당기순이익은 #영업권손상 으로 #적자전환 한 -3287억원이었는데 연간으로는 -3128억원을 기록했고 과거 개별 SO 인수 시 계상된 영업권에 코로나19로 인한 리스크 증가 등 시장상황으로 손상이 발생했다고 회사는 설명했으며 또한 영업권 손상은 현금지출이 없는 장부상 감액으로 향후 영업이익과 현금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1분기 효율중심 경영을 펼친 LG헬로비전이 #흑자전환 에 성공했는데 LG헬로비전은 올해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2572억원, 영업이익 101억원, 순이익 63억원을 거뒀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액은 0.6% 줄은 수치인 반면 이 기간 영업이익은 35.7%, 순이익은 47.5% 크게 뛰었습니다.

LG헬로비전은 올 1분기 호실적의 요인으로 LG유플러스와의 시너지를 뽑았는데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기가인터넷을 확대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도입한 효과란 설명입니다.

신사업을 강화하며 효율중심 경영을 펼친 것도 주효했는데 특히 화질 개선, 채널 수 증가, 인터넷 속도 개선 등 서비스의 본원적 경쟁력을 높여온 것이 가입자 증가로 이어지며 실적 개선에 힘을 보탰습니다.

LG헬로비전 관계자는 " #헬로렌탈 은 OEM(주문자 상표부착 생산) 방식을 도입하고 트렌디한 상품군을 지속 발굴하고 있다"며 "알뜰폰(MVNO) 역시 지난해 4분기 가입자 수가 순증 전환한 이후 1분기 LTE 비중이 80%를 돌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올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7억원 감소했는데 부문별로 보면 홈 부문 매출이 1701억원(TV 1385억원·인터넷 274억원·인터넷전화 42억원), MVNO 수익이 426억원(서비스수익 378억원·단말기수익 48억원)이며 기타수익은 446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올 해 실적이 진짜 LG유플러스에 인수된 이후 실적으로 LG그룹의 경영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헬로비전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 동 정보는 잠정치로서 향후 확정치와는 다를 수 있음.
1. 연결실적내용 단위 : 백만원, %
구분 당기실적 전기실적 전기대비증감율(%) 전년동기실적 전년동기대비증감율(%)
('21.1Q) ('20.4Q ) ('20.1Q)
매출액 당해실적 257,226 267,221 -3.7 258,909 -0.6
누계실적 257,226 1,057,935 - 258,909 -0.6
영업이익 당해실적 10,127 7,941 27.5 7,464 35.7
누계실적 10,127 34,150 - 7,464 35.7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당해실적 8,041 -330,654 흑자전환 5,272 52.5
누계실적 8,041 -309,968 - 5,272 52.5
당기순이익 당해실적 6,286 -328,711 흑자전환 4,261 47.5
누계실적 6,286 -312,794 - 4,261 47.5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순이익 당해실적 6,286 -328,711 흑자전환 4,261 47.5
누계실적 6,286 -312,794 - 4,261 47.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