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우회상장'에 해당되는 글 30건

  1. 2021.06.16 세미시스코 에너지솔루션즈와 에디슨모터스 우회상장 기대감에 연일 급등세
  2. 2021.06.01 종합 건강기능식품 기업 주식회사 휴럼 엔에이치스팩16호와 합병 상장
  3. 2021.05.28 스팩(SPAC) 주식 광풍 개인투자자들 묻지마 매수 유입 우회상장 종목 확인 필요
  4. 2021.05.24 '메타버스' 서비스 회사 '엔피'(NP)' 삼성스팩2호와 합병 통해 우회상장
  5. 2021.05.21 넷마블 북미 자회사 잼시티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스팩합병 우회상장 추진
  6. 2021.04.07 오하임아이엔티 오는 6월 총주식 수의 약 24% 보호예수 해제 예정 주가 끌어올리기
  7. 2021.03.30 국전약품 신약개발 바이오 기업 샤페론 염증복합체 억제제 기술이전 계약 체결 그래서 뭐?
  8. 2021.03.13 미국 공매도 투자자 힌덴버그리서치 전기트럭 스타트업 로즈타운 저격
  9. 2021.03.12 현대무벡스 스팩합병 상장 첫날 시초가 대비 12.90% 하락 마감
  10. 2021.02.18 미국 전기차 루시드 스팩합병 우회상장 관련 부품주 동반 강세
  11. 2021.02.17 디지탈옵틱 최대주주 노블바이오 대상 200억원 규모 전환사채(CB) 납입 완료
  12. 2021.02.05 미래에셋대우스팩4호 환경 장비 전문 기업 일승 합병과 관련 상장 예비 심사 통과 상한가
  13. 2021.01.29 드래곤플라이 비비비 우회상장 기대감에 급등세
  14. 2021.01.14 스팩(SPAC) 합병 통해 코스닥 시장에 우회상장한 종목들 일제히 강세 반등
  15. 2020.12.21 원바이오젠 교보8호기업인수목적(SPAC·스팩)과 합병 우회상장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너지솔루션즈가 코스닥 상장사 세미시스코를 인수완료 했습니다

에너지솔루션즈는 전기버스 전문업체 에디슨모터스를 지배하고 있는데 이번 M&A를 발판 삼아 전기차 사업 시너지 확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의미가 있습니다.

쎄미시스코는 이달 15일 에너지솔루션즈가 69억6800만원 규모(112만7535주)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납입을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는데 오는 30일 쎄미시스코의 현 최대주주인 이순종 대표 외 5명이 보유 주식을 디엠에이치 외 5인으로 양도하면, 에너지솔루션즈가 쎄미시스코의 최대주주에 오르게 됩니다.

에너지솔루션즈는 이번 유상증자 외에 추가로 총 5회에 걸쳐 350억원을 더 출자해 지분율을 높일 계획인데 추가 출자 후 지분율은 50% 수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경영권 인수를 마무리 짓는 임시 주주총회는 다음달 21일 열리게 됩니다.

에너지솔루션즈는 이번 유증 참여로 잠재적인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한 만큼 쎄미시스코와 전기차 사업 시너지 확대에 주력할 방침으로 쎄미시스코는 스마트 EV 제타(SMART EV Z) 브랜드를 앞세워 경형 전기차 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2015년 10월 설립된 에디슨모터스는 CNG버스, 저상버스 및 전기버스를 제조·판매하고 있는데 지난해 서울시 전기버스 점유율 1위를 기록했고 지난해 매출액은 897억8700만원입니다.

에디슨모터스는 전기차 핵심요소인 구동모터,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차체 경량화 기술 등을 갖고 있고 차체에 탄소섬유 소재를 적용해 무게를 크게 줄였고,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공동개발한 MSO 코일로 구동모터의 효율을 향상시켰습니다.

경형 전기차부터 전기요트, 소형 전기선박 등에 응용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추고 있고 이에 쎄미시스코의 스마트 EV 제타의 고도화 및 추가 전기차 포트폴리오 확대를 준비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매출을 올릴 계획입니다.

에너지솔루션즈 관계자는 "에디슨모터스는 전기 승용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자체 디자인 라인업을 마쳤다"며 "쎄미시스코와 협력해 올해가 전기차 사업의 실질적인 원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에너지솔루션이 장기적으로 쎄미시스코와 합병을 통해 우회상장할 수 있고 에디슨모터스도 합병할 경우 전기차 업체로 변신에 성공하게 됩니다

지금 쎄미시스코의 주가는 이런 완성된 모습의 미래가치를 선반영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전기버스를 주로 생산하는 에디슨모터스 실적도 그리 좋은 편이 아닌데 전기차 사업 자체가 보조금에 기반한 사업이라는 한계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전기승용차 시장은 빠른 속도로 내연기관 완성처 시장을 잠식하며 성장하고 있어 어너지솔루션즈가 쎄미시스코를 인수한 것은 경형전기승용차 시장에 진출한 의미를 가질 뿐 아니라 에디슨모터스와 함께 전기차 시장의 완성된 형태로 모든 분야에 진출한 의미가 있습니다

M&A를 통해 기업가치가 획기적으로 바뀔 수 있다는 사례를 나타내주는 것이지만 기대감만으로 오른 주가는 실제 실적으로 보고 자기 가치를 찾아 움직이게 됩니다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칠 경우 상당한 주가 하락을 장기간에 걸쳐 경험하게 되는 최악의 상황이 나올 수도 있고 실적이 기대감을 뛰어넘으면 주가 상승은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주가는 실적을 선반영하는 바로미터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종합 #건강기능식품 기업 주식회사 #휴럼 이 1일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엔에이치스팩16호 와의 #합병상장 에 따른 향후 성장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김진석 휴럼 대표는 "휴럼은 바이오 기능성 소재의 특성과 효능을 극대화하는 천연물 연구 기술과 엄격한 품질관리시스템을 통해 건강기능식품의 연구에서부터 생산, 판매까지 원스톱 솔루션을 갖춘 기업"이라며 "시장 트렌드를 선도해온 핵심 경쟁력에 이번 #스팩합병상장 을 계기로 글로벌 #헬스케어 전문 기업으로 성장해 가겠다"고 말했습니다.

휴럼은 지난 2005년 설립된 요거트 전문기업인 주식회사 후스타일로 사업 기반을 다졌고 2015년 사세 확장을 위해 연구 중심의 발효 전문 건강식품 기업을 인수했으며 이후 2017년 후스타일과 휴럼을 합병해 종합 건강기능식품 전문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휴럼은 위생적이고 안정성 확보가 필수적인 건강기능식품 생산을 위한 품질관리 능력을 갖췄다고 강조하는데 #GMP ( #우수식품제조관리기준 )와 #HACCP (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 인증기업으로 원료의 입고에서부터 배합, 생산, 출하에 이르는 전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췄습니다.

휴럼은 지난해 매출액 767억6000만원, 영업이익 74억4000만원을 달성했는데 이는 전년대비 매출액은 15.1%, 영업이익은 47.0% 증가한 양호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주요 제품으로는 시서스 추출물로 만든 #다이어트건강기능식품 인 '시서스스피드다이어트', 엔테락 코팅 형태의 유산균 분말 제품인 '트루락' 시리즈, '아이편안 루테인지아잔틴' 등이 있습니다.

휴럼은 #기능성바이오소재 를 확보해 미래 사업을 준비 중인데 ▲개별 인정형 소재인 수면 건강에 좋은 감태추출물 ▲관절 건강 제품인 까마귀쪽나무열매 주정추출물 ▲여성 갱년기 건강 제품인 석류 추출물 ▲알레르기 증상 개선 제품인 쑥부쟁이 추출물이 있습니다.

또 바이오 식품 소재엔 항바이러스 기능이 있는 식물성복합추출물과 ▲귤나무속열매 발효물 ▲간 기능 개선 효과가 뛰어난 오가피추출물 ▲관절 건강에 좋은 우슬등복합추출물 ▲미세먼지를 방어하고 호흡기에 좋은 손바닥선인장추출물 등이 있는데 이 회사는 기능성 바이오 소재 관련 특허만 국내외 34건을 보유 중에 있으며, 지난 2017년 이후 누적 매출액은 100억 원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휴럼은 국내에서 경쟁력을 갖춘 바이오 소재 및 히트 제품을 중심으로 동남아, 중화권, 일본, 미주권 등 해외 시장도 적극 공략해 나간다는 전략입니다.

동남아에선 TV홈쇼핑, 큐텐, 라자다, 쇼피 입점을 통해 기존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의 파트너링을 견고히 하면서 브랜드K선정 제품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쳐 나갈 계획인데 중화권은 위챗마켓, 왕홍, 콰징(직구) 등의 마케팅을 통해 온라인 정착 후 오프라인 파트너링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대만 거래처의 B2B 영업망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고 일본에선 국내 기술로 만든 기능성 소재와 제품을 수출 진행 중으로 국내 자생 천연 원료 제품의 차별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휴럼은 글로벌 바이오 전문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성장성과 고수익성 사업 비중을 지속적으로 늘려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현재 9개에 이르는 기능성 신소재 아이템을 추가 개발하고 고객 맞춤형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며 국내를 넘어 해외시장 진출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데 이를 통해 오는 2025년엔 약 1800억원에 이르는 매출을 달성한다는 전략을 수립했습니다.

한편 합병을 통해 유입되는 자금은 공장 및 창고 건축, 캡슐충전기, 동결건조기 등의 신규 설비 투자와 기존 오창 공장의 설비 교체, 신규 인력 채용 등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양사의 합병 승인을 위한 주주총회 예정일은 오는 10일이며, 합병기일은 다음달 13일이며 합병 후 총 발행 주식 수는 3164만2536주로 합병 신주 상장 예정일은 7월27일입니다.

휴럼의 실적을 보면 굳이 스팩합병을 통해 상장을 하지 않아도 가능할 수준인데 아무래도 일반적인 상장수순은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최단 시간안에 상장하는 방법으로 스팩합병을 선택한 모양새입니다

엔에이치스팩16호는 휴럼과 합병상장 소식이 알려지면서 기대감이 뉴스가 되어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고 있는 모습입니다

다음 달 합병상장까지 지루한 움직임이 예상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인수합병이 목적인 스팩들의 주가가 합병 여부와 무관하게 일제히 급등하고 있는데 메타버스 기업과 합병하는 삼성스팩 2호의 급등이 투자자들을 스팩에 불나방처럼 불러모으고 있습니 다.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량 회전률 기준 상위 20종목 가운데 12개가 스팩 종목으로 거의 묻지마 매수와 같은 광풍이 되고 있습니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진스팩6호는 27일 코스닥 시장에서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날 주가는 29.9% 상승한 3715원으로 마감했고 뒤를 이어 하이제5호스팩, 키움제5호스팩, 하이제6호스팩, 삼성스팩4호 등도 상장주식수를 뛰어 넘는 거래량을 보였습니다.

27일 주식시장에서 코스닥 종목의 거래량 회전율 기준 상위 종목은 다음과 같은데 표기순서는 거래량 회전율 순위, 종목명, 거래량 회전율, 27일 종가, 주가 등락율 순입니다.

1위 유진스팩6호 476.87%, 3715원 (29.9%), 2위 하이제5호스팩 470.42%, 2720원 (25.64%), 3위 키움제5호스팩 291.77%, 2530원 (15%), 4위 하이제6호스팩 275.35%, 2910원 (29.91%), 5위 삼성스팩4호 251.71%, 6000원 (29.87%), 6위 신영스팩5호 220.07%, 2510원 (14.09%), 7위 케이사인 199.79%, 3145원 (19.13%), 8위 삼성스팩2호 189.88%, 5800원 (1.75%), 9위 케이프이에스제4호 187.5%, 2560원 (3.85%), 10위 한일단조 186.11%, 2975원 (0.17%), 11위 카스 180.29%, 5110원 (15.35%), 12위 애니플러스 155.66%, 4655원 (7.26%), 13위 한국제8호스팩 138.46%, 2405원 (3.44%), 14위 이화전기 109.95%, 2665원 (8.33%), 15위 토박스코리아 93.48%, 1730원 (0.29%), 16위 IBKS제12호스팩 90.78%, 2405원 (7.13%), 17위 일진파워 90.66%, 8120원 (12.31%), 18위 옵티시스 81.04%, 14500원 (7.81%), 19위 한국9호스팩 75.37%, 2335원 (7.36%), 20위 유안타제6호스팩 73.87%, 3310원 (2.8%) 입니다

최근의 스팩주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은 삼성스팩2호가 메타버스 종목과 합병상장을 추진하고 엔에이치스팩 18호가 포토프린트 업체 프리닉스와 합병상장을 결정하면서 주가 재평가를 받는 모습에서 투자자들이 스팩에 환호성을 지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스팩은 사전에 공모를 통해 공모자금을 모아 갖고 있어 합병하는 대상에 따라 기업가치가 다르게 평가되는 종목이라 우회상장하는 종목이 무엇이냐에 따라 기업가치가 확연히 달라집니다

예전 시장에 A&D라고 인수 후 개발이라는 제목으로 유행했던 투자방식을 스팩이라는 이름으로 제도화한 것인데 유동성장세에서 큰 시세분출을 보이곤하고 이미 미국시장에선 작년에 유동성의 힘으로 광풍이 지나친 다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미국시장에서 유행한 것은 반드시 시차를 갖고 우리 시장에서 유행한다는 사실을 기업하는 투자자들이라면 이미 남들이 관심이 없을 거래량이 없고 주가 흐름도 별로 없을 때 미리 들어가 선취매하고 지금의 시세분출을 즐기고 있을 겁니다

이렇듯 시장을 길게 보는 투자자가 수익을 가져가게 되어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대표적인 '메타버스 ' 서비스 회사 ' 엔피 '(NP)'가 삼성스팩2호 와 합병을 통해 우회상장 을 추진하고 있어 장중 삼성스팩 2호가 상한가 직전까지 급등하기도 했습니다

'메타버스'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서비스 확산과 함께 성장성에 대한 기대치가 커지고 있어 관련 기술을 갖고 있는 회사에 대해 투자자들으 고나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24일 오후 2시 6분 현재 삼성스팩2호는 코스닥시장에서 전일대비 23.13% 상승한 4160원에 거래되고 있는데 장중 한때 상한가 직전인 4,400원까지 급등하기도 했습니다

메타버스는 가공·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을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가상과 현실이 융합된 세계를 의미합니다.

최근 글로벌 컨설팅기업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PwC)에 따르면 메타버스 VR·AR 시장은 오는 2030년 경 1조5429억 달러(약 1741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미국에서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블록스가 최근 화려하게 뉴욕증시에 입성한 바가 있으며, 국내의 경우 통신 3사를 비롯해, 현대자동차, CJ ENM 등 자동차·콘텐츠 업체, 정부, 협회까지 국내 '메타버스' 산업 지형도를 만들기 위해 '메타버스' 선도를 위한 동맹을 맺은 바 있습니다.

최근에는 #XR스테이지 행사에서 국내 굴지 대기업들이 참여해 사업에 대한 기대감을 한 껏 부풀리기도 했는데 XR은 기존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과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 MR(Mixed Reality, 혼합현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디지털 세계와 물리적 세계를 연결하는 구조를 뜻합니다.

한편, 삼성스팩2호가 합병을 앞두고 있는 엔피는 브랜드 익스피리언스 뉴미디어 콘텐츠 기획 및 제작 전문기업으로 지난 6일 코스닥시장본부로부터 상장 예비심사결과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합병 상장을 승인받으며, 삼성스팩2와 합병을 앞두고 있습니다.

코로나19사태로 비대면 문화가 뉴코먼으로 받아들여지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비대면 문화가 지속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메타버스가 마케팅의 중요한 수단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최근 연예기획사들이 Kpop 스타들의 오프라인 공연이 사라졌는데도 불구하고 메타버스 기술을 통한 온라인 공연으로 코로나19 사태 이전보다 실적이 더 좋아진 것은 포스트 코로나시대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하는 요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수익성에 대한 검증이 완전히 끝났다고 보기어려운 측면이 있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지금 같은 수익성을 보여줄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하는 전문가들도 많은 상황입니다

삼성스팩 2호와 합병상장으로 우회상장에 나서는 엔피(NP)는 위지윅 스튜디오의 자회사로 본격적인 메타버스 시대를 이끌어갈 기업으로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는 회사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넷마블 의 북미 자회사인 #모바일게임 개발 및 판매사 #잼시티 가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NYSE) 상장을 추진합니다.

넷마블은 잼시티가 #기업인수목적회사 ( #SPAC ·스팩) #DPCM 과 합병 계약을 맺었다고 21일 밝혔는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심사와 주주총회 승인 등을 거쳐 오는 10월께 합병을 통해 상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잼시티는 모바일 게임 ‘쿠키잼’ ‘해리포터: 호그와트 미스터리’ ‘디즈니 이모지 블리츠’ 등을 개발했으며 북미 지역에 게임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애플과 구글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미국 10대 게임 배급사로 선정되기도 했고 매출액은 지난 2015년 1,469억 원에서 지난해 5,742억 원을 기록할 정도로 매년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고 특히 공격적인 인수합병(M&A)을 통해 덩치를 키우고 있습니다.

실제 2016년 미국 ‘타이니코’, 2018년 콜롬비아의 ‘브레인즈’, 2018년 캐나다의 ‘유켄스튜디오’ 등을 잇달아 인수했습니다.

현재는 캐나다 모바일 게임 개발사 ‘ #루디아 ’ 인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넷마블은 2015년 잼시티를 인수해 현재 지분 58.69%를 보유하고 있으며 잼시티 덕분에 지난해 전체 매출의 약 70%를 해외에서 거둬들였습니다.

크리스 디울프 잼시티 공동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잼시티는 세계 최고 수준의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을 구축해 꾸준히 확장하고 있다”며 “이번 합병을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성장을 가속화하고 훌륭한 개발진과 함께 이용자 친화형 게임을 선보이겠다”고 말했습니다.

잼시티는 이번 상장으로 약 4억 달러(약 4,500억 원)의 자금을 조달할 것으로 보이는데 회사 측은 우선 이 자금을 루디아 인수에 투입할 계획입니다.

루디아는 ‘쥬라기 월드: 얼라이브’ ‘드래곤즈: 타이탄 업라이징’ 등 유명 #지식재산권 (IP)에 기반한 모바일 게임을 개발·배급했고 나머지 자금은 신작 게임 개발과 독점 기술력 강화에 투자하고 추가 M&A에도 활용할 예정입니다.

이승원 넷마블 대표는 “잼시티가 NYSE에 스팩 상장하게 되면 넷마블의 글로벌 게임 사업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스팩합병이 한풀 꺽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을 때 스팩 합병을 통한 우회상장을 추진해서 상장 후에 주가에 대해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쿠팡이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하면서 국내 기업의 미국 증시 상장이 러쉬를 이룰 것 같은데 미주 지역의 자회사들부터 상장을 시킬 것 같습니다

미국 증시가 유동성 장세 끝물이라 지금 타이밍을 놓치면 상장이 어려워 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DB금융투자는 7일 온라인 가구 유통사 오하임아이엔티에 대한 분석보고서를 냈는데 지난해 실적이 크게 상승한 가운데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판단했지만 투자의견은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오하임아이엔티는 지난해 12월 스팩 합병을 통해 코스닥에 상장한 온라인 가구 유통업체로 ‘레이디가구’, ‘상일리베’ 등의 브랜드로 유명한데 최대주주는 IMM 인베스트먼트(산하 벤처펀드 합산 지분율 41.7%)입니다.

유경하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지난해 매출액 757억 원, 영업이익 40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34.7%, 86.8% 오르면서 외형과 수익성이 모두 크게 신장됐다”면서 “재택근무 확산으로 홈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소비자들이 가격 메리트가 있는 온라인 채널로 가구를 구매하는 빈도가 높아졌다”면서 “오하임아이엔티는 대형 브랜드사와 중소 비브랜드사가 제공하기 어려운 ‘가격과 품질을 모두 잡은’ 상품으로 온라인 가구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회사가 목표하는 2021년 매출액은 988억 원, 영업이익은 60억 원으로 오프라인 쇼룸을 늘리고, 물류를 보강해 성장을 도모한다는 계획입니다.

유 연구원은 “고스펙 상품을 팔기 어려운 온라인 유통기업의 한계를 넘기 위해 고객이 직접 상품을 체험할 수 있는 오프라인 쇼룸을 늘려나갈 계획”이라면서 “또, 자체물류센터와 통합물류서비스를 완비해 상대적으로 열위한 물류 부문 보강에 나선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그는 “오는 6월 총주식 수의 약 24%에 달하는 보호예수 물량이 풀리지만, 오버행 이슈에도 계속 주목할 필요가 있는 기업”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보호예수가 풀리는 주식들은 시장에서 즉시 매도가 가능한 주식일텐데 주가를 끌어올려 수익 극대화를 위해 회사가 본격적으로 IR을 하고 있습니다

작년에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늘었다고는 하지만 회사측이 주장하듯이 홈인테리어가 늘어 매출 외형은 늘었지만 지난 해 삼성머스트스팩3호와 합병에 들어간 비용이 23.5억원에 달해 순익은 급감한 상황입니다

하지만 이벤트적인 순익 둔화라 이를 반영하면 올해는 실적이 크게 좋아질 가능성이 크고 주가도 이를 반영하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대주주가 IMM 인베스트먼트라 최대수익을 내기 위해 주가를 끌어올릴려고 혈안이 된 모습입니다

올 해 6월 이후 보호예수가 풀리면 즉시 매도를 위해 주가를 주기적으로 끌어올릴 가능성이 커 등락폭을 이용한 매매에서 꽤 재미를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합병전후 최대주주]

성명(법인명,조합명,기타단체명)

관계

변경전

변경후

비고

주식수(주)

지분율(%)

주식수(주)

지분율(%)

(주)머스트홀딩스

변경전 최대주주

800,000

17.43

800,000

4.05

최근 주주명부 폐쇄일 기준 주식수

2015 IMM Design 벤처펀드

변경후 최대주주

-

-

7,156,754

36.24

-

2014 IMM ICT 벤처펀드

변경후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

-

538,062

2.72

-

2014 성장사다리 IMM 벤처펀드

변경후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

-

538,062

2.72

-

서정일

변경후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

-

1,441,798

7.30

-

이원기

변경후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

-

720,899

3.65

-

[변경 후 최대주주(조합인 경우)에 관한 사항]

1. 조합의 기본정보

- 결성(설립) 근거 법률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른 한국벤처투자조합

- 명칭

2015 IMM Design 벤처펀드

- 등록번호

309-80-00291

- 출자자 수(명)

35

- 조합재산 총액(원)

13,798,487,905

- 대표조합원

성명

아이엠엠

인베스트먼트㈜

출자지분(%)

1.86

- 업무집행조합원

성명

아이엠엠

인베스트먼트㈜

출자지분(%)

1.86

- 최다출자자

성명

과학기술인

공제회

출자지분(%)

37.24

- 주요 출자자(10% 이상) 현황 및 지분정보

구분

성명

지분율(%)

주요출자자

2019 얼머스 세컨더리 투자조합

15.15

주요출자자

네오플럭스 Market-Frontier 세컨더리펀드

14.90

- 대표조합원ㆍ업무집행조합원ㆍ최다출자자ㆍ주요 출자자의 임원 경력

성명

회사명

상장여부

상장폐지일 (상장폐지된 법인의 경우)

직위

입사연월일

퇴사연월일

비고

-

-

-

-

-

-

-

-

- 대표조합원ㆍ업무집행조합원ㆍ최다출자자ㆍ주요 출자자의 상장법인 최대주주 이력

성명

회사명

상장여부

상장폐지일 (상장폐지된 법인의 경우)

최대주주에 해당하는 기간

비고

시작일

종료일

-

-

-

-

-

-

-

2. 주요 재무사항 등(단위 : 백만원)

해당 회계연도

2019년

결산기

12월

자산총계

13,798

자본금

20,550

부채총계

2

매출액

4,132

자본총계

13,796

당기순손익

2,913

외부감사인

삼화회계법인

감사의견

적정

3. 당해 상장법인과의 관계

- 상장법인과 최대주주(조합)와의 관계

-

- 상장법인의 임원 등과 최대주주(조합)와의 관계

성명

최대주주(조합)와의 관계

대표이사

서정일

-

이사

윤원기

계열회사 임원(비등기)

사외이사

김태우

-

감사

송해연

-

오하임아이엔티 2020년 실적공시

1. 재무제표의 종류

개별

2.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변동내용(단위: 원)

당해사업연도

직전사업연도

증감금액

증감비율(%)

- 매출액(재화의 판매 및 용역의 제공에 따른 수익액에 한함)

27,805,576,553

19,364,406,520

8,441,170,033

43.5

- 영업이익

4,009,396,211

2,161,423,842

1,847,972,369

85.4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1,027,390,489

2,183,115,771

-1,155,725,282

-52.9

- 당기순이익

176,058,788

1,722,715,422

-1,546,656,634

-89.7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신약개발 바이오 기업 샤페론은 원료의약품 전문 제조사 국전약품과 염증복합체 억제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계약으로 국전약품은 경구용 치매치료제의 국내 독점 개발권을 확보하고 샤페론은 정액 기술료와 향후 판매실적에 따른 추가 로열티를 받게 됩니다

국전약품의 신약 합성 연구개발 기술, GMP 및 허가 관리역량과 샤페론의 면역전문 신약개발 기술의 시너지 극대화를 위해 양사는 기술이전 계약과 투자를 병행해 전략적 협업 관계를 구축했다는 설명입니다.

홍종호 국전약품 대표이사는 “국전약품은 샤페론과 치매치료제 기술 도입 외에도 유상증자 3자 배정 지분 투자를 통해 전략적 파트너로서 함께 한다”며 “샤페론과 협업을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 아토피 피부염, 치매 질환 등 난치성 질환으로부터 인류를 위한 치료제를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샤페론의 치매용 신약 후보물질인 뉴세린(NuCerin)은 염증복합체 활성화 억제를 기반으로 하는데 개시·증폭 단계에서 염증복합체 활성화를 모두 차단해 경쟁 업체 대비 효능이 우수하고, 다양한 염증인자까지 함께 억제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뉴세린은 알츠하이머 치매의 주요 원인으로 연구되고 있는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IL-1β와 TNF-α 생성을 동시에 강하게 억제해 신경염증을 질환 초기단계부터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식세포 작용을 증대시켜 치매유발인자를 감소시킵니다.

현재 염증복합체 억제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벤처는 전 세계적으로 10여개 미만이며, 노바티스, BMS, 로슈, 제넨텍 등 글로벌 제약사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샤페론 성승용 대표이사는 “올해 상반기 임상 1상에 진입하면 전 세계 염증복합체 억제제 개발 기업 중 치매 용도로는 가장 빠른 임상 진입”이라며 “국전약품과의 협업을 통해 해당 업계 선도 기업으로 입지를 굳혀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국전약품은 스팩합병으로 우회상장한 제약사로 상장 후 코로나19치료제나 여러 호재성 재료를 내놓아 다른 스팩합병 히사들고 다르게 상당한 주가 상승을 보이기도 했는데 실적은 영 신통찮은 회사로 주가를 끌어올리는 호재성 재료를 잘 내놓는 회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약장사가 약을 만들어 팔아 돈을 벌기 보다는 주식 갖고 장난 치는 걸 더 좋아하는 것 같다는 소릴 듣는 회사이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2020년 실적 만 봐도 매출외형과 영업이익이 늘었지만 당기순손실을 크게 봐서 과거 부실을 한꺼번에 떨어버린 것이 아닌가 의구심이 들 정도입니다

국전약품은 이제 과거 스팩합병 되었을 때 투자자들은 다 빠져 나가고 국전약품 회사로 재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지금같은 적자 규모로는 지금의 주가도 지켜내기 어려워 보이기도 합니다

실적 호전에 대한 신뢰를 투자자들에게 주어야 만 다시 주가도 회복될 수 있을 겁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국전약품 2020년 실적공시

1. 재무제표의 종류 개별
2.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변동내용(단위: 원) 당해사업연도 직전사업연도 증감금액 증감비율(%)
- 매출액(재화의 판매 및 용역의 제공에 따른 수익액에 한함) 80,623,075,680 73,417,267,600 7,205,808,080 9.8
- 영업이익 5,821,115,077 5,648,258,313 172,856,764 3.1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2,315,219,395 4,627,256,701 -6,942,476,096 적자 전환
- 당기순이익 -3,040,064,325 3,907,782,199 -6,947,846,524 적자 전환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미국 공매도 투자자인 힌덴버그 리서치가 이번엔 전기트럭 스타트업인 로즈타운 저격에 나섰습니다.

힌덴버그는 지난해 그 자체가 '사기'라는 보고서로 승승장구하던 수소·전기트럭 스타트업 니콜라를 침몰시킨 바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힌덴버그는 12일(이하 현지시간) 전기트럭 스타트업인 로즈타운 모터스를 겨냥한 보고서에서 로즈타운이 투자자들을 오도하고 있다고 공격했습니다.

로즈타운은 지난해 8월 상장을 위한 특수목적합병법인(SPAC) 다이아몬드피크 홀딩스와 합병을 통해 우회상장했는데 기업가치는 16억달러에 달했고 이후 주가가 77% 상승했지만 이날 힌덴버그의 공격으로 주가가 폭락했습니다.

힌덴버그는 로즈타운의 선주문을 '신기루'라고 표현하고 로즈타운이 지난해 상장 합의 전 외부 컨설팅업체에 돈을 주고 전기 픽업트럭 사전주문서를 만들어냈다고 주장했습니다.

힌덴버그는 로즈타운에서 퇴사한 직원들과 협력업체 인터뷰, 심층적인 문서 분석 등을 통해 로즈타운이 회사 전망을 조작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습니다.

스티브 번스 로즈타운 최고경영자(CEO)는 힌덴버그의 주장이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고 반박했습니다.

번스는 로즈타운이 수요 예측을 위해 컨설팅업체를 고용해 주문규모를 예측한 것은 맞다면서 그러나 이를 통해 투자자들을 오도하려 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로즈타운이 "결코 이를 주문이라고 표현한 적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로즈타운은 11일 현재 시가총액이 29억달러에 이르지만 아직 단 한대도 매출이 없는데 이날 주가 폭락으로 시총은 24억달러 수준으로 쪼그라들었습니다.

로즈타운은 개인이 아닌 기업이나 정부의 대규모 운송단을 위주로 한 상용 트럭시장을 겨냥하고 있습니다.

번스는 힌덴버그 주장처럼 그동안 계속해서 사전주문서를 자사의 상용 전기 픽업트럭인 '인듀어런스'의 수요측면 강점을 보여주는 증거로 제시해왔고 또 이를 통해 투자자들에게 회사 가치가 높다는 점도 강조해왔습니다.

번스는 지난해 11월 CNBC와 인터뷰에서 "사전주문 대부분은 이 대기업 CEO들이 서명한 것"이라면서 "매우 진지한 주문들"이라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한 달 뒤인 지난해 12월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공시서류에서는 말을 바꿨습니다.

로즈타운은 현재 어떤 고객도, 구속력 있는 주문도 없다면서 선주문이 판매로 전환된다는 어떤 보장 역시 없다고 밝혔습니다.

로즈타운은 올 1월 보도자료에서 인듀어런스 선주문 10만여대는 구매를 강제하는 구속력이 없는 주문이라고 확인했습니다.

힌덴버그는 그러나 선주문이 구속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허구'라면서 '진짜 수요'를 나타내지도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힌덴버그는 로즈타운이 선주문에 포함시킨 다수 업체, 시청에 문의한 결과 낸 결론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힌덴버그는 또 1000대 이상 대량 선주문한 것으로 나오는 업체들의 경우 이같은 상업용 배송망을 운용하지 않는 곳도 있었다고 밝혔고 또 다른 업체들은 자사의 선주문이 구매 의사를 나타내거나 예약하는 것이 아님을 확실히 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습니다.

번스는 회사 경영진이 선주문에 서명하는 것은 법적 구속력이 없는 주문의향서 정도에 그치는 것이라면서 그저 구매 의향이 있다는 것으로 해석하면 된다고 반박했습니다.

시제품에 관한 폭로도 나왔는데 힌덴버그는 경찰 사건 보고서를 인용해 로즈타운이 1월 만들어낸 신형 전기트럭이 첫 도로 주행에서 주행시험 10분만에 불이났다고 밝혔습니다.

번스는 이에 대해 화재 사고는 조립 중 기술자의 실수로 발생한 것으로 판명났다고 반박했습니다.

로즈타운이 제대로 생산 일정을 맞추지 못할 것이란 주장도 나왔습니다.

힌덴버그는 퇴사한 직원들을 인용해 로즈타운의 생산계획이 지연되고 있다면서 최소 3년 이상 계획이 지연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번스는 이달 중 시제품을 만들고, 올 후반 생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에는 차질이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한편 로즈타운은 계속해서 생산 계획을 연기해왔는데 당초 지난해말 생산을 개시한다는 계획이었지만 이를 올 1월로 연기했고, 이후 다시 9월로 늦췄습니다.

로즈타운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생산 연기 이유로 댔습니다.

이날 로즈타운 주가는 장중 20%가 넘는 폭락세 끝에 결국 2.93달러(16.54%) 폭락한 14.78달러에 마감했습니다.

공매도 투자자가 내놓는 보고서는 최악의 상황만을 강조해 내놓는 것으로 스타트업의 경우 아직 시스템적으로 대량생산에 대한 경험이 부족해 시장 예상보다 늦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시제품에서부터 화재가 날 정도라면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낮을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미국 시장도 투자자들을 속여 투자금을 챙기려는 사기꾼들이 상장까지 성공하는데 속일려고 작정한 놈에게 속지 않기는 쉽지 않아 보이기 는 합니다

힌덴버그 리서치의 문제 제기는 나름 귀담아 들을 구석이 있는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현대그룹 계열사인 현대무벡스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상장 기념식을 통해 코스닥 상장을 알렸습니다.

상장 기념식에는 현기봉 현대무벡스 대표이사, 정운수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장, 윤병운 NH투자증권 IB1사업부 대표 등 다수 관계자들이 참석했습니다.

현대무벡스는 물류자동화시스템, 승강장안전문(PSD), IT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지난 2017년 현대엘리베이터의 물류자동화사업부를 분리해 IT서비스를 제공하던 현대유엔아이와 합병해 출범했습니다.

현대무벡스 관계자는 "현대무벡스의 시장잠재력이 커지고 있다"며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이커머스시장 활성화에 따라 △유통·택배 △식품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에서 무인 물류자동화 설비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소개했습니다.

현대무벡스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매출액 연평균 성장률은 30%, 영업이익률은 6~9%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대무벡스 관계자는 "코스닥 상장으로 시장 신뢰도를 높이고 차별화된 기술개발과 적용을 통해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며 "공간이나 시간 제약을 뛰어넘는 글로벌 미래산업 플랫폼 개척자로 도약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한편, 이날 현대무벡스는 코스닥 시장에서 시초가대비 770원(-12.90%) 하락한 5230원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상장 후 최대주주는 현대엘리베이터로 바뀌는데 3748만 4442주를 보유하고 있고 지분율은 36.85%고 최대주주 특수관계인 현정은 회장은 26.15%, 장녀 정지이씨는 4.36%, 차녀 정영이씨는 0.14%, 외아들 정영선씨는 0.19%가 특수관계인으로 등재되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제 2의 테슬라로 불리는 루시드가 상장을 추진한다는 소식에 국내 파트너인 센트럴모텍과 세원이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18일 오전 9시 34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센트랄모텍은 전 거래일보다 18.44% 오른 3만 7,250원에 거래 중이고 코스닥 시장에서는 자동차 부품 업체 세원이 25.96% 오른 7,57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전일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전기차 회사 루시드 모터스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과의 합병을 통한 우회 상장을 추진 하는데 이르면 이달 중 합병을 공식 발표할 수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현재 루시드의 기업 가치는 약 120억 달러(한화 13조 3,000억 원)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컨트롤 암 기술을 보유한 센트럴모텍은 루시드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공조 시스템 부품을 공급 중에 있습니다.

또 세원도 지난해 12월 루시드 와 헤더콘덴서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기차가 올해를 기점으로 완성차 업체들에서도 대거 모델들을 쏟아내며 대중화 되는 시기가 도래한 것 같은데 제2의 테슬라라 불리는 루시드의 우회상장은 추가 투자를 이끌어 전기차 부품주들에게 실적호전의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디지탈옵틱이 200억원의 실탄을 확보하면서 수송키트 관련 바이오 신사업에 탄력이 붙을 전망입니다.

디지탈옵틱은 최대주주인 노블바이오를 대상으로 발행한 200억원 규모 전환사채(CB)가 납입 완료됐다고 17일 밝혔고 더불어 임시 주총을 통해 노블바이오의 백계승 대표와 안태수 부사장이 사내이사로 선임했습니다.

디지탈옵틱은 올해 기존사업과 바이오 신사업의 협업을 강화해 안정적인 성장과 재무건전성 확보에 주력할 계획입니다.

노블바이오는 코로나19 진단의 필수제품인 검체채취용 스왑의 세계 1위 생산업체로 스왑의 경우 국내에서 유일하게 의료기기 2등급 허가를 확보 하고 있는데 노블바이오는 전세계 60개국 80여개 거래처를 기반으로 지난해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30배 이상 성장한 1500억원을 시현했습니다.

최근 디지탈옵틱은 노블바이오와 코로나19 진단 수송키트 전세계 독점 총판권 계약 이후 1월에만 80억원 규모의 수주를 확보했는데 노블바이오는 해외 유입발 확진자 및 변이 바이러스 확대로 인한 폭발적인 진단키트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검체 수송키트 생산능력을 현 수준의 2배 규모로 증설을 진행중입니다.

또 두 회사는 진단 관련 바이오 사업에서 시너지 확대를 추진중인데 디지탈옵틱의 기존사업 광학기술과 바이오기술을 결합해 새로운 POCT 장비를 개발할 계획입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에 추가 확보된 자금으로 재무 안정성이 더 높아졌을뿐 아니라 납입된 자금을 통해 노블바이오와 협업해 바이오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노블바이오의 핵심 임원진들이 사내이사로 선임된 만큼 차세대 진단기기 개발 등 시너지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스마트 기기용 카메라 렌즈 전문기업 디지탈옵틱이 지난 1월 4일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의료용 기기 제조업체 노블바이오를 최대 주주로 맞으며 바이오 신사업에 박차를 가할 예정입니다.

디지탈옵틱은 1~2초 내 혈구와 혈장을 분리해 보다 정확한 질병을 분석할 수 있는 질병진단용 기기 개발 기술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데, 혈당측정 및 콜레스테롤 측정뿐 아니라 당뇨, 고지혈증, 간질환 등과 관련한 제품 개발 시에도 접목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입니다.

특히 이 기술을 혈당측정 바이오센서에 접목하면 모세혈로 측정하는 기존 방식보다 오차 발생률이 적어 결과의 정확도 및 재현성 부분을 상당히 개선했다는 평가입니다.

디지탈옵틱 관계자는 “이 기술과 노블바이오의 시너지를 통해 보다 다양한 질병진단용 관련 제품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노블바이오는 의료용 기기 제조업체로 바이러스 임상 검체를 담아 옮기는 데 꼭 필요한 수송배지 및 진단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전문 소모품들을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세계 최대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노블바이오가 생산하는 수송배지 안에 포함된 의료용 면봉은 코로나19 검사에 필수적으로 필요한데, 국내에서 생산능력이 있는 업체는 노블바이오가 유일하며, 뿐만 아니라 이탈리아를 제외한 유럽국가와 미국, 중동 등 해외 17개국에서 전적으로 노블바이오의 면봉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에 노블바이오의 매출은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으며 작년만도 1500억 이상의 매출을 달성한 것으로 파악, 올해 매출은 3000억 이상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전세계 60여개국에 수출, 80여개의 고객사를 보유한 노블바이오는 펜데믹 상황에서 빗발치는 주문량에 따라 생산량을 늘려 나가고 있으며, 글로벌 빅파마들 또한 수송배지를 만들어 달라며 꾸준히 노블바이오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한편, 디지탈옵틱 기존 모바일렌즈 사업부에서는 삼성전자 및 삼성전기에 제품을 납품하며, 프로젝터렌즈 사업부에서는 LG전자와의 전략적 개발 및 양산 대응체제 구축강화로 High End(100인치 이상)의 모델 채택을 지속 확대 중입니다.

디지탈옵틱의 안정적인 기존사업부와 최대주주로 등극한 노블바이오와의 바이오 신사업 추진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디지탈옵틱은 노블바이오 외 1인이 최대주주로 변경됐다고 1월 4일 공시했는데 노블바이오는 디지탈옵틱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참여를 통해 자기자금 약 50억원을 들여 총 736만3770주를 취득했고 노블바이오 외 1인이 소유한 주식은 954만670주로, 소유 비율은 7.55%입니다

회사가 좋아질 것 같으면 최대주주가 지분을 시장에서 더 사들여 지분을 늘릴텐데 제3자 배정 유상증자로 회사에 50억원을 넣어주고 최대주주가 된 것이라 주주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주식수도 1억 2672만여주라 주식합병이나 무상감자를 할 필요가 있지만 최대주주 지분이 적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신규사업도 주력사업 실적이 좋을 때 하는 것인데 지금 상황에서는 관리종목 지정 가능성이 높을만큼 실적도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지난 해 실적에 대해 감사보고서에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이 적정으로 나올지도 의문이기는 한데 회사 경영이 불투명해 보이는 점이 많아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미래에셋대우스팩4호가 환경 장비 전문 기업 일승 합병과 관련해 상장 예비 심사를 통과했다는 소식에 장 초반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5일 오전 11시 33분 현재 미래에셋대우스팩4호는 전 거래일보다 725원(29.96%) 오른 3,145원 상한가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지난 4일 장 마감 후 미래에셋대우스팩4호는 한국거래소로부터 일승 합병에 대해 상장 예비 심사 결과 승인 통지를 받았다고 공시했고 이에 따라 지난해 9월 18일부터 지난 4일까지 거래가 정지된 바 있습니다.

일승은 환경 장비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2017년 세진중공업 계열사로 편입됐는데 세진중공업은 일승의 지분 60.82%롤 보유한 최대주주입니다.

분뇨처리장비·조수기·연료청정기·스크러버 등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는데 최근엔 분뇨 처리 장비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인 진공 펌프의 국산화에 성공하기도 했습니다.

올 해 최초 합병상장하는 스팩이 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드래곤플라이가 비비비와 뇌질환 극복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양해각서 MOU를 체결 했습니다.

드래곤플라이가 20년 넘게 쌓아온 게임 업계 노하우를 바탕으로 의료기기 전문 업체 비비비와 손을 잡고 뇌질환 완화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하겠다는 출사표를 던진 것입니다.

드래곤플라이의 관계사인 비비비는 정신 질환 및 뇌 질환 치료용 의료기기 뉴로기어를 개발 중인데 비비비는 뉴로기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우울증, 강박증, 치매, 파킨슨 등의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임상 연구를 계획하고 있고 뉴로기어의 동작 원리는 안전하고 비침습적인 전자기장으로 뇌 심부의 특정 부위를 자극하여 원래의 기능 회복을 돕는데 있습니다.

드래곤플라이는 대표작 '스페셜포스'를 비롯한 모바일 게임, AR 게임 출시 경험과 VR, AI, 머신러닝 등 게임 업계에서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VR 솔루션과 접목한 중독 치료 솔루션을 개발하는 등 의료기기 및 헬스케어 분야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왔습니다.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기술력은 모두 보유하고 있는 드래곤플라이가 의료기기 전문기업 비비비와 손을 잡았을 때 시너지가 기대되는 이유입니다.

김재식 드래곤플라이 대표는 “정신 질환 및 뇌 질환 치료용 의료기기는 사용자 경험의 피드백과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능력이 요구되는 분야"라며 “비비비와의 공동 R&D를 통해 아직 초창기 분야라고 할 수 있는 디지털 치료제에서 의미있는 성과를 얻고자 한다”고 말했습니다.

시스웍은 관계사 드래곤플라이와 함께 서울시 송파구에 R&D(연구개발) 및 생산 시설을 구축한다고 29일 밝혔습니다.

시스웍은 비비비와 손을 잡고 헬스케어 사업 분야로 진출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는데 코로나19 진단키트를 개발한 비비비로부터 생산 기술을 이전 받고 시스웍이 위탁 생산을 하기로 한 것으로 시스웍은 설비 투자를 선행하고 관련 인허가를 조기에 달성하는 이른바 패스트트랙 전략을 쓰며 대량 생산을 위해 준비해왔습니다.

시스웍 관계자 "이번에 구축하는 생산 시설이 3월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하고, 내년 상반기에 2차 생산 시설 투자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 오는 2021년 하반기에는 진단키트 5000만개의 생산 시설 확보를 완료하는 것이 목표습니다.

또 본 시설에서 시스웍, 비비비, 드래곤플라이 3개의 회사가 헬스케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공동 R&D 센터를 운영하게 되는데 코로나19 진단 키트 상용화 일회성 프로젝트 외에도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전상현 시스웍 대표이사는 "관계사들의 끈끈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헬스케어 분야의 선두기업이 되기를 희망한다"며 "빠르게 변화하는 헬스케어 시장의 기술 및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해 11월 드래곤플라이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시스윅이 최대주주로 올라서면서 투자조합들도 대거 주주로 이름을 올렸는데 비비비의 코로나19진단키트 사업에 기대감을 갖고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지난 연말 비비비 부사장이 드래곤플라이 신임 대표이사에 올라 비비비의 우회상장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팩(SPAC) 합병을 통해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TS트릴리온 등 3개사가 합병 상장 이후 조정 마무리 일제히 반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후 12시 12분 현재 TS트릴리온은 전 거래일 대비 15.10% 상승한 2935원, 국전약품은 21.07% 상승한 8560원에 거래 중이고 엠에프엠코리아도 3.379% 오르고 있습니다.

TS트릴리온은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판매하는 기업으로 탈모샴푸인 TS 샴푸 등으로 알려져 있는데 하이제4호스팩과 합병을 통해 우회상장했습니다.

국전약품은 원료의약품 생산 및 판매하는 기업으로 급성췌장염 치료제 및 혈액 항응고제로 쓰이는 ‘나파모스타트’ 등의 생산하는데 종근당의 코로나19치료제에 원료의약품이라고 알려지면서 급등세를 타고 있는데 대신밸런스제6호스팩과의 합병을 통해 상장했습니다.

엠에프앰코리아는 글로벌 의류 브랜드의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신한제5호스팩과 합병을 통해 코스닥 시장에 입성했습니다.

엠에프엠코리아는 자체개발 프로그램인 MPS를 통해 트렌드 분석, 상품개발, 생산, 공급, 물류 및 재고 리스크 관리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 합니다

이들 3종목은 우회상장 후 시장에서 소외된 모습으로 매물이 쏟아져 나왔지만 우회상장 후 매물이 소화되고 가격조정 후에 반등에 성공하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교보8호기업인수목적(SPAC·스팩)은 21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원바이오젠과의 합병 안건을 승인했습니다.

교보8호스팩과 원바이오젠의 합병 가액은 주당 각각 2천원, 2만321원으로 합병 비율은 약 1대 10.1605입니다.

주식매수 청구권 행사 기간은 내년 1월 11일까지로 합병 기일은 내년 1월 22일로 합병 신주는 내년 2월 9일 상장될 예정입니다.

2006년 설립된 원바이오젠은 습윤드레싱 창상피복재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생체친화성 의료용 바이오 소재 기업으로 국내 유일의 보더 폼 자체 생산 설비를 구축함으로써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지난 9월, ‘자가 점착성 보더 폼드레싱제'로 '제21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에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습니다.

독보적인 창상피복재 기술을 기반으로 의료기기 화장품과 스마트 패치, 유착방지막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나가고 있습니다.

습윤드레싱재 대부분의 제품 라인업을 보유한 국내 유일 기업으로 흉터용 드레싱재부터 의료기기용 화장품까지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성장하고 있는 창상피복재 시장과 코스메슈티컬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습니다.

지난해 경영실적은 115억원, 영업이익 31억원으로 영업이익률 27%를 기록했는데 최근 3개년 연 평균 매출 성장률은 20%로 이 회사는 앞으로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을 거쳐 창상피복재 주요 시장인 미국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인데 아마존, 이베이 등 해외 이커머스 플랫폼 진출을 통해 글로벌 시장도 공략합니다.

이 회사는 내년 5월 무선 전자식 스마트 체온패치 ‘템패치’를 출시할 예정인데 세계 최초 나노섬유시트 형태의 유착방지막도 개발 중이며 현재 2공장 설립을 위한 기반 시설 투자가 완료된 상태입니다.

김원일 원바이오젠 대표이사는 “상장 이후에도 의료용 바이오 소재 기술을 바탕으로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하는 한편 창상피복재 및 유착방지막 국산화로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