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디지털광고 전문기업 이엠넷소프트뱅크 와 자본제휴를 맺는다는 소식에 장 초반 급등세를 보이며 상한가로 급등했습니다.

24일 오전 11시 8분 현재 이엠넷은 전 거래일보다 29.90% 상승한 상한가 7천69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엠넷은 지난 21일 장 마감 후 공시를 통해 소프트뱅크와 184억원 규모의 일본법인 이엠넷재팬 의 주식 78만5천주를 매각한다고 밝혔는데 이엠넷은 지분매각 대금을 전액 현금으로 수령할 예정입니다.

이엠넷은 "자본제휴를 통해 이엠넷재팬의 지속적인 성장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는데 양 사는 이번 자본제휴 과정에서 글로벌 시장 진출에 있어서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는 내용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습니다.

김영원 이엠넷 대표이사는 "이엠넷재팬은 해외사업 경험이 전무한 상황에서도 그동안 꾸준히 성장해왔으며, 향후에도 무한한 성장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소프트뱅크와의 자본제휴를 결정하게 됐다"며 "추가적으로 이엠넷과 소프트뱅크의 지속적인 협력 관계도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자본제휴가 완료되면 소프트뱅크가 지분율 41.75%로 이엠넷의 1대주주가 되고, 이엠넷(21.02%)은 2대주주가 됩니다.

디지털광고 전문기업 이엠넷이 자회사 ‘더브록스’를 통해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사업에 진출하며 사업다각화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이엠넷은 지난 달 21일 자본금 50억원 규모의 자회사 ‘ 더브록스 ’를 출범, 이커머스 사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준비절차에 나섰다고 밝혔는데 이를 통해 최근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이커머스 사업을 추가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이엠넷과 더브록스는 이커머스 사업을 통해, 디지털마케팅을 활용한 새로운 유통망을 만들 수 있도록 다양한 카테고리의 브랜드들과 파트너십을 추진할 예정으로 이를 위해 더브록스는 새로운 브랜드와 상품 론칭을 맡고, 이엠넷은 20년 이상 디지털마케팅사업에서 축적된 경험을 활용해 새로운 패러다임의 디지털 유통모델 확립으로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특히 더브록스는 이엠넷의 고객사를 비롯한 우수한 상품력과 높은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브랜드를 발굴해 파트너십을 맺고, 판매 증대에 필요한 디지털광고를 비롯해 브랜딩과 마케팅, 세일즈를 포함한 이커머스 전 영역을 수행해 나갈 계획입니다.

더브록스의 이커머스 사업 첫번째 파트너는 프리미엄 디자이너 네일뷰티 브랜드 ‘미스터바우어’로 국내 브랜드 중 유일하게 화장품 매장인 세포라 및 일본 잡화매점 로프트 등의 오프라인 매점에 입점한 만큼 경쟁력을 갖춘 브랜드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 국내 스티커 네일 시장은 성장 진입 단계로, 현재 2~3개의 업체가 시장을 이끌고 있지만 아직 ‘절대 강자’라 할만한 브랜드는 없는 상황입니다.

더브록스는 ‘미스터바우어’의 상품 경쟁력과 이엠넷의 디지털마케팅 전문역량을 결합해 소비자에겐 충실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고, 브랜드는 확실한 소비자를 만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통해 국내 프리미엄 스티커 젤네일 브랜드로 성장시키겠다는 전략입니다.

인주호 더브록스 대표이사는 “브랜드(BRand)와 소비자(AUdience)의 연결과 경험(eXperience)을 제공하겠다는 더브록스(The BRAUX)의 사명처럼 브랜드와 소비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이커머스 사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이엠넷은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22억3200만원, 영업이익 36억5200만원을 기록해 회사 창립 이래 분기 실적 역대 최대 기록을 달성했다고 11일 밝혔습니다.

이엠넷의 올해 1분기실적 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32.7%, 122% 증가했으며, 최대 실적을 기록했던 지난 4분기보다도 각각 7%, 12.9% 증가했고 당기순이익 역시 31억95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습니다.

이엠넷은 회사가 보유한 차별화된 각종 광고분석 솔루션과 고도화된 전략을 통해 큰 폭의 광고주 성장을 이끌어 낸 것과 지난해 영입된 대형광고주들의 광고집행이 호실적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여행관련 업종 광고주는 심각한 영향을 받았으나, 상대적으로 플랫폼기업 중 스타트업·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 광고주는 2배 이상의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이에 회사는 대형 플랫폼 광고주 영입 후 고도화된 광고 전략을 통해 광고주와 동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했고, 이를 토대로 안정적인 실적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엠넷은 올해에도 애드테크·크리에이티브 전문인력 확장에 지속적 투자를 진행해 차별화된 애드테크·크리에이티브 역량을 키울 계획이고 또 커머스·플랫폼 광고 고도화 전략에 꼭 필요한 차별화된 조직역량 확장으로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전략입니다.

이엠넷 관계자는 " 디지털광고시장 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코로나19로 인해, 플랫폼기업 들의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2021년 회사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1분기 실적만 놓고 봐도 현재 주가는 저평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데 일본법인인 이엠넷재팬 지분을 소프트뱅크에 184억원 규모로 매각하여 재무적으로도 큰 수익이 발생해 기업가치가 확실하게 급등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일본 소프트뱅크와의 자본협력은 든든한 우군을 얻게 된 것으로 우리 제품의 일본시장 접근과 일본제품의 우리 시장 소개에 있어 긍정적인 파트너가 생긴 것으로 생각됩니다

주가는 실적에 선행한다고 하는데 이엠넷은 꺼꾸로 소외주가 되어 왔는데 1분기 실적과 소프트뱅크 자본유치가 재평가의 모멘텀이 되어 준 모습입니다

이렇기 때문에 실적이 좋은 종목은 주가반영을 예상하고 과감하게 선투자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요약연결재무정보

주식회사 이엠넷과 그 종속회사 (단위: 원)
과 목 제 22 기 제 21 기 제 20 기
  (2021년3월말) (2020년12월말) (2019년12월말)
자 산      
Ⅰ. 유동자산 85,939,895,557 83,522,850,305 69,625,674,511
1. 현금및현금성자산 20,008,448,283 18,963,619,246 16,334,597,502
2. 단기금융상품 19,974,958,085 19,881,348,633 17,426,561,100
3.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378,234,859 1,011,390,000
4. 매출채권 6,497,874,235 7,231,051,352 4,823,075,904
5. 대행미수금 34,371,488,240 32,203,682,242 25,804,818,921
6. 당기법인세자산 2,518,380 2,113,210 2,820,350
7. 기타유동금융자산 3,374,175,798 3,429,936,701 2,111,842,458
8. 기타유동자산 1,710,432,536 1,432,864,062 2,110,568,276
Ⅱ. 비유동자산 30,043,045,210 30,213,123,711 27,660,309,889
1.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2,410,189,320 2,352,070,695 1,954,876,189
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837,024,309 858,965,715 902,886,030
3. 투자부동산 8,076,528,569 9,370,775,148 9,559,471,205
4. 유형자산 12,525,607,538 11,473,667,309 10,899,533,855
5. 무형자산 492,476,519 421,614,218 187,554,100
6. 기타비유동금융자산 1,881,525,407 1,914,943,882 1,995,340,794
7. 이연법인세자산 3,819,693,548 3,821,086,744 2,160,647,716
자 산 총 계 115,982,940,767 113,735,974,016 97,285,984,400
부 채      
Ⅰ. 유동부채 36,954,904,597 36,476,261,426 28,425,700,733
Ⅱ. 비유동부채 10,022,669,391 9,932,694,479 6,539,636,876
부 채 총 계 46,977,573,988 46,408,955,905 34,965,337,609
자 본      
Ⅰ.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64,136,612,173 62,532,827,142 58,297,280,783
1. 자본금 11,138,039,000 11,138,039,000 11,138,039,000
2. 주식발행초과금 4,412,203,431 4,412,203,431 4,412,203,431
3. 기타자본항목 1,307,104,239 1,516,385,616 3,232,906,020
4. 이익잉여금 47,279,265,503 45,466,199,095 39,514,132,332
Ⅱ. 비지배지분 4,868,754,606 4,794,190,969 4,023,366,008
자 본 총 계 69,005,366,779 67,327,018,111 62,320,646,791
  (2021.01.01 ~
2021.03.31)
(2020.01.01 ~
2020.12.31)
(2019.01.01 ~
2019.12.31)
Ⅰ. 영업수익 12,232,005,463 39,016,624,512 36,701,873,787
Ⅱ. 영업이익 3,652,885,934 7,254,298,332 7,714,682,537
Ⅲ.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4,250,340,801 9,014,420,910 9,626,664,110
Ⅳ. 계속영업순이익 3,200,640,877 7,911,533,734 7,987,140,745
Ⅴ. 중단영업순이익(손실) (4,786,563) (23,220,871) 108,367,155
Ⅵ. 당기순이익 3,195,854,314 7,888,312,863 8,095,507,900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계속영업이익 2,910,528,921 7,078,176,244 7,076,366,806
중단영업이익(손실) (4,786,563) (23,220,871) 108,367,155
비지배지분 290,111,956 833,357,490 910,773,939
Ⅶ. 총포괄이익 2,862,130,608 7,256,971,906 7,731,410,814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2,696,540,422 6,494,755,517 6,688,852,106
비지배지분 165,590,186 762,216,389 1,042,558,708
Ⅷ.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에대한 주당순이익      
기본주당순이익      
계속영업 기본주당순이익 133 321 317
중단영업 기본주당순이익 (0.22) (1) 5
희석주당순이익      
계속영업 희석주당순이익 132 318 312
중단영업 희석주당순이익 (0.22) (1) 5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3개 3개 3개

주1) 상기 요약연결재무제표는 K-IFRS작성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비교표시된 제21기, 제20기 요약연결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은 자료이며, 제22기 당분기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검토)를 받지 않은 자료입니다.

주2) 당분기에 중단영업손익에 포함되었던 종속회사 손익이 계속영업손익으로 재분류되어 비교표시된 제21기, 제 20기 요약연결재무제표는 재작성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