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미국 현지시간) 첫 정상회담에서 한미 미사일지침 해제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20일 알려졌습니다.
두 정상이 미사일지침 해제에 합의할 경우 한국은 42년 만에 완전한 미사일 주권을 회복하게 됩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우리 외교안보팀은 문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기 전에 '미사일지침 해제' 문제를 어떻게든 해결하겠다는 의지와 구상을 갖고 있었다"며 "그 가능성에 대해 내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긍정적인 결론을 내놓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습니다.
두 정상의 논의 결과에 따라 전격적으로 한미 미사일지침 해제가 선언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 것입니다.
이 관계자는 "한미 미사일 지침은 42년 된 것이다. 당시 우리가 미사일 기술을 얻기 위해 '미국 통제하에 미사일을 들여오겠다'고 했는데, 오히려 족쇄가 됐다"며 "따라서 문재인 정부 출범부터 미사일 주권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지 숙제로 갖고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한미 미사일지침은 박정희 정부 말기인 1979년 10월에 만들어졌습니다.
당시 정부는 미국으로부터 미사일 기술을 이전받는 대가로 미사일 최대 사거리를 180㎞로 제한하기로 했는데 동북아 지역의 군비 경쟁을 우려한 미국의 전략적 판단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북한 핵·미사일 위협이 점증하면서 미사일지침에 따른 제한은 서서히 완화됐습니다.
김대중 정부 시절인 2001년 1월 한국이 최대 사거리 300㎞, 탄두 중량 500㎏인 미사일을 개발·보유할 수 있게 지침이 1차 개정됐고 이어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2년 10월 탄도미사일의 최대 사거리를 800㎞로 늘리는 2차 개정이 이뤄졌습니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는 두 차례의 개정이 이뤄졌는데 지난 2017년 11월 탄도미사일의 사거리를 800㎞로 하되 탄두 중량 제한을 완전히 없애는 내용의 3차 개정이 이뤄졌고, 지난해 7월에는 4차 개정을 통해 우주발사체에 대한 고체연료 사용 제한을 해제했습니다.
이제 한미정상회담에서 전격적으로 한미 미사일 지침이 해제되면 우리는 본격적으로 우주개발에 뛰어들 수 있고 울 군 독자적인 군사위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됩니다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에 대한 감시체계를 독자적으로 갖출 수 있어 일본과의 지소미아에 아쉬울 것이 없어 집니다
우주항공관련주들이 이런 기대감이 반영되며 주가가 들썩 거리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마블 북미 자회사 잼시티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스팩합병 우회상장 추진 (0) | 2021.05.21 |
---|---|
미국 전기차 테슬라 미중무역전쟁 한복판에 불매운동 타겟 분위기 (0) | 2021.05.21 |
GC녹십자그룹 지주사 GC녹십자홀딩스 진단기업 진스랩에 133억9600만원 투자 지분 54.87% 확보 (0) | 2021.05.21 |
옵트론텍 고기능성 필름 소재업체 제이월드 지분 32.3% 160억원에 인수 (0) | 2021.05.21 |
네오이뮨텍 'NT-I7(GX-I7)' 새로운 조혈모세포 가동화 촉진제 혈액암 분야 최고 저널 'Leukemia'에 논문 게재 (0) | 2021.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