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삼성전자'에 해당되는 글 358건

  1. 2022.06.10 삼성전자 2022년형 스마트TV와 스마트 모니터 마이크로소프트(MS) 엑스박스(Xbox) 게임 패스(Xbox Game Pass) 제공
  2. 2022.06.10 삼성전자 프리미엄 폴더블폰 갤럭시Z폴드4·갤럭시Z플립4 동영상 유출 출시 임박
  3. 2022.05.20 3S 삼성 3나노 웨이퍼 사인 소식 수혜 기대감
  4. 2022.05.20 알에스오토메이션 삼성전자 웨어러블 로봇 ‘GEMS-H’ 미국 FDA 시판전 승인 소식에 강세
  5. 2022.05.17 삼성전자 자회사 세메스 출신 전 연구원 반도체 제조장비 기술 유출 구속 재판
  6. 2022.05.14 넥스틴 반도체검사장비 역대급 매출 넘어 1000억 원 달성 기대감
  7. 2022.05.14 삼성전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부문 칩 가격 최대 20% 인상 고객사와 협의 중
  8. 2022.05.13 지니틱스 삼성전자 오는 8월 웨어러블로봇 해외 출시 수혜 기대감
  9. 2022.05.10 삼성생명 보유 삼성전자 지분 일부 매도
  10. 2022.05.10 이동통신 3사 삼성전자 하반기 플래그쉽 프리미엄 스마트폰 발매 대비 재고떨이 착수
  11. 2022.05.06 가온칩스 수요예측 결과 최종 공모가 1만 4000원 확정 공모가 범위(밴드) 상단 1만 3000원 7.7% 웃도는 가격
  12. 2022.05.05 통신장비주 삼성전자 미국 이동통신사 1조원 규모 장비 공급 계약 체결 소식에 동반 강세
  13. 2022.05.02 애플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부동의 1위 등극 삼성전자 스마트폰 미래가 안 보인다
  14. 2022.04.29 삼성전자 외국인 지분율 50%대 하락추세 언제까지 팔 것인가?
  15. 2022.04.28 삼성전자 올 1분기 실적발표 어닝서프라이즈에 52주 신저가 기록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17z_WcPCtvY

안녕하세요

이달 말부터 삼성전자 2022년형 스마트TV와 스마트 모니터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 엑스박스(Xbox)의 인기 클라우드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9일(미국 현지시간 기준) MS와 클라우드 게임에 관한 협약을 맺고 TV 업계 최초로 구독형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엑스박스 게임 패스(Xbox Game Pass)'를 제공합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TV에서 제공 중인 '스마트허브'에 스트리밍 게임 플랫폼 연동 서비스인 '게이밍 허브'를 신설하는데 이를 통해 삼성전자 TV와 모니터 사용자는 엑스박스를 구매하지 않고도, 매월 구독료를 내면 온라인을 통해 100여 종의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이원진 사장은 "하드웨어 개선은 물론, 편의성과 사용성을 대폭 개선한 2022년형 스마트TV로 스포츠 생중계를 보거나 스트리밍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과 같이 보다 자연스럽고 쾌적한 환경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게이밍 허브는 6월30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인데 엑스박스 뿐 아니라 엔비디아 지포스나우(NVIDIA GeForce NOW), 구글 스타디아(Stadia), 유토믹(Utomik) 등 다양한 파트너사들의 클라우드 게임도 제공하는데 제공되는 게입 서비스는 국가별로 상이합니다.

 

 

삼성전자의 스마트TV에서 인터넷이 연결되면서 대화면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고 이는 대화면TV로 가정내 오락을 즐길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MS XBox도 클라우드 게임밍으로 사업영역을 넓히면서 삼성전자와 파트너쉽을 가져가는 것은 현명한 선택으로 생각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com/shorts/1Te5TfRossI?feature=share 

 

안녕하세요

삼성전자 프리미엄 폴더블폰(접이식 휴대폰) 갤럭시Z폴드4·갤럭시Z플립4의 실물 동영상이 유출된 것으로 알려져 가까운 시일 내에 공개된다는 분석이 나왔는데 폴더블폰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삼성전자가 애플의 폴더블폰이 나오기 전에 시장점유율을 최대한 높여 놓기 위해 이른 시일에 내놓을 것 같습니다

 

전작과 비교해 향상된 기능과 함께 다양한 색상으로 출시된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갤럭시 팬들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10일 정보기술(IT)매체 기즈모차이나 등 외신을 종합하면 유명 IT 팁스터(정보 유출자) 존 프로서는 자신의 트위터에서 "갤럭시Z폴드4, 갤럭시Z플립4가 오는 8월 10일 발표되고 같은달 26일 출시된다"고 지난 9일(현지시각) 전했습니다.

 

존 프로서는 스마트워치 갤럭시워치5도 이날 함께 공개될 예정이며 26일에는 갤럭시S22 라벤더 색상도 출시될 것이라고 덧붙였는데 그는 갤럭시Z폴드4의 경우 팬텀 블랙, 그린, 베이지 색상이 제공되며 갤럭시Z플립4는 그라파이트, 보라 퍼플, 핑크 골드, 블루 색상이 제공될 것이라고 내다봤고 갤럭시워치5는 40밀리미터(mm)와 44mm 모델, 46mm의 갤럭시워치5 프로가 함께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갤럭시Z폴드4와 갤럭시Z플립4 양 제품 모두 퀄컴의 스냅드래곤 8 젠 1 플러스 칩에 더 큰 배터리와 향상된 카메라가 탑재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유튜브에는 다양한 유출 동영상이 떠돌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공식 런칭 전에 입소문을 내기 위해 유출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삼성전자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에 밀리고 중저가폰에서 중국에 따라집힌 상태라 시장점유율과 판매량 절대수에서 밀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프리미엄 폴더블폰은 아직 애플이 출시하지 않고 있지만 시장 자체가 아직은 작은 규모라 성장성만 크다고 하는 시장으로 중국업체들이 프리미엄폰 시장에서 입지를 늘리기 위해 삼성전자를 추격하고 있는 시장입니다

 

애플은 아직 시장 규모가 작기 때문에 삼성전자가 시장을 키워놓으면 그때 들어가기 위해 아끼고 있는 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데 위탁생산하는 중국업체들의 기술수준이 아직 삼성전자와 경쟁할 수준이 못되기 때문에 애플 블랜드를 붙이기 부담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2024년에 애플 폴더블폰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어 올 해와 내년이 삼성전자의 독주가 이뤄지는 마지막 시기일 수 있는데 삼성전자는 폴더블폰 대중화를 위해 갤럭시노트 모델을 단종하는 우를 범하면서 대형 프리미엄폰시장에서 애플 아이폰울트라 모델에 고객을 대거 빼앗기는 우를 범하고 말았습니다

 

삼성전자 경영진들이 독과점 시장인 우리나라 내수시장 다루듯 해외시장을 다루다 사고를 친 것으로 갤럭시노트 팬들이 대거 애플아이폰울트라 모델로 떠나가거나 가성비 좋은 중국산 대형폰으로 옮겨가면서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 고객층만 빼앗긴 결과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삼성전자에서는 이런 결과에 대해 기존 경영진에게 책임을 묻지 못하고 있는데 이건희 전 회장 살아계셨다면 이렇게까지 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어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능력과 조직장악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8WRy7838Nhw

안녕하세요

3S가 한미 정상이 첫 식순으로 삼성의 3나노 웨이퍼에 사인한다는 소식에 강세로 그 만큼 향후 첨단 반도체 시장에서 양국이 긴밀한 협업 체제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20일 오후 1시 44분 현재 3S는 전 거래일 대비 690원(22.36%) 오른 384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날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에서 양국 대통령이 삼성의 3나노 웨이퍼에 사인 후, 반도체 공정 라인 투어 및 경제안보 동맹 비전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해당 웨이퍼는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양산 예정인 3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공정 웨이퍼로 향후 양국의 ‘반도체 동맹’에서 핵심 역할을 할 전망입니다.




한편 3S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웨이퍼캐리어를 공급하고 있는데 3S는 웨이퍼 생산업체에서 완성된 웨이퍼를 반도체 생산업체로 출하·수송하는데 이용되는 클린진공박스인 FOSB를 생산 판매합니다.




FOSB는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해 미국의 인테그리스(Entegris), 일본의 미라이얼, 신에츠(Shinetsu), 한국의 3S 정도만이 생산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후 시간으로 갈수록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면서 주가는 밀리는 양상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3OUXejpkkXw

안녕하세요

삼성전자의 웨어러블 로봇 ‘GEMS-H’가 미국 FDA에서 시판전 승인을 받았다는 소식에 알에스오토메이션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알에스오토메이션은 오후 12시 15분 전일 대비 900원(5.94%)상승한 1만605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웨어러블 로봇 ‘GEMS-H’은 지난 21일 미 FDA에서 시판전 승인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는데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웨어러블 로봇 GEMS는 발목을 보조하는 GEMS-Ankle, 무릎을 보조하는 GEMS-Knee, 고관절을 보조하는 GEMS-Hip 등 3가지로 나뉘는데 이번 FDA 승인을 받은 것은 고관절에 착용하는 제품입니다.

 



‘젬스 힙(GEMS-H)은 CES 2019에서 처음 공개됐고, 2020년 말 부터 삼성서울병원에서 보행에 어려움이 있는 노인 등 성인을 대상으로 훈련 성과 만족도를 확인하는 시범운영을 진행해왔는데 젬스 힙을 착용하면 걸을 때 24% 정도의 힘을 더해 보행속도를 14% 높여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노약자와 환자 등 걸음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재활로봇의 하나입니다.

 



젬스의 가격은 기존 수천만 원대의 웨어러블 로봇보다 훨씬 저렴한 수백만 원 수준에서 책정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초기 물량은 1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편, 알에스오토메이션은 삼성에서 분사한 기업으로 로봇모션 제어 전문 1위 기업으로써 세계 최초로 로봇모션 및 스마트팩토리 튜닝에 AI 기술을 적용하는 데 성공해 이번 삼성전자의 웨어러블 헬스케어로봇 시장 진출의 수혜를 기대하는 투자자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일본은 이전부터 노인인구가 많아지고 있는 지방의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력강화 웨어러블로봇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었는데 외국인 노동자 수입에 한계가 있어 웨어러블 로봇을 통해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도 로봇을 미래먹거리로 키우고 있는데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와 삼성그룹 지배구조 개선과 연계된 투자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현대차도 정의선 회장이 직접 보스턴다이내믹스에 투자해 상장을 통해 상당한 수익을 기대하고 있는 상황이라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 개편에도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9aRptC2N0TE

안녕하세요

삼성전자 자회사인 세메스가 개발한 반도체 기술을 빼내 장비를 만든 뒤 이를 중국에 납품한 세메스 전 연구원 등이 구속돼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검 방위사업·산업기술범죄형사부는 전날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등 혐의로 A 씨 등 세메스 전 연구원 2명과 부품 협력사 직원 2명을 구속 기소했습니다.



A 씨 등 연구원 2명은 세메스가 2018년 개발한 '초임계 세정 장비' 제조 기술을 빼낸 혐의를 받고 있는데 이 기술은 부정경쟁방지법상 기업의 영업 비밀에 해당합니다.

 

초임계 세정 장비는 초임계(액체와 기체를 구분할 수 없는 상태) 이산화탄소로 반도체 기판을 세정하는 설비로 기판 손상을 최소화하는 기술입니다.



이 장비는 삼성전자에만 납품됐는데 A 씨 등은 회사를 설립한 후 단가를 더 쳐주겠다며 협력사를 꼬드겨 부품을 납품받아 장비를 제조해 중국에 이를 납품했습니다.



앞서 올 초에는 삼성전자 DS반도체부문 파운드리사업부 직원이 재택근무 중에 전자문서 등 회사 보안자료에 무더기로 접근해 기술 유출을 시도한 일이 일어났는데 국가정보원은 정보보호 위반 여부와 함께 국가 핵심기술 유출 수사가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리고 검찰에 이첩 의견을 냈습니다.



반도체 패권 경쟁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핵심 반도체 기술 유출 시도는 국가적인 손실과 직결됩니다.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기술 유출 시도는 기업은 물론 국가 경쟁력에 치명타를 안길 수도 있다"며 "기업 내부 보안은 물론 법적 처벌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존에는 중국이 퇴직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연구원들을 고문으로 위촉해 기술전수를 받아왔는데 이럴 경우 몇년치 연봉을 한꺼번에 지급하는 등의 파격적인 대우로 사람을 빼가는 방식이었지만 이제는 아예 반도체제조장비를 만들어 납품하는 하청업체에서 동일한 반도체제조장비를 똑같은 공정라인으로 건설하는 방식으로 따라오고 있어 기술유출의 속도와 폭이 더 커진 것 같습니다

 

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책임도 있는 것으로 제조장비를 만드는 하청업체에 적정마진을 주지 않고 납품가격 후려치기만 하기 때문에 더 많은 마진을 남겨 손익분기점을 넘기기 위해 중국업체와 거래할 수 밖에 없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미 충분한 수익을 내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 제조장비를 납품하는 하청업체에 좀 더 납품가격을 높여줘도 수익성에 전혀 문제가 없는 상태입니다

 

터치패널에서 국산 업체가 하나도 남지 않게 된 것이 재벌대기업의 납품가 후려치기 때문인데 똑같은 잘못을 반도체 제조장비와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분야에서 저지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네델란드 반도체제조장비사인 ASML에는 삼성전자도 직접 투자를 하고 발주를 줘 회사 성장의 과실을 함께 공유하는데 국내 업체들은 이런 노력이 부족해 결국 중국 기업의 유혹에 넘어가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세메스 반도체장비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rcjsz5Swh3Q

안녕하세요

코스닥 상장사 넥스틴이 올해 초부터 수주 낭보가 잇따르면서 역대급 매출을 넘어 1000억 원 달성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고 40%에 육박하는 수익성(영업이익률)을 바탕으로 한 30%가량의 배당성향도 투자매력 포인트가 되고 있습니다.



넥스틴은 2010년 설립된 반도체 전 공정 패턴 결함 검사 장비 업체로 코스닥 시장에는 10년 만인 2020년 상장에 성공했는데 반도체 소자의 회로 제작 공정에서 발생하는 미소 패턴 결함을 검출하는 웨이퍼 미소 패턴 결함 검사 장비(AEGIS-DP 등)를 제조ㆍ판매하고 있고 거래 업체로 국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매그나칩 반도체 등이 있으며, 도이칠란트의 세계 최대의 반도체 연구소를 비롯해 중국 YMTC, JHICC 등 해외 반도체 회사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넥스틴은 코스닥 상장을 기점으로 급격한 외형 성장을 보였는데 넥스틴은 2020년 연결기준 494억 원의 매출과 181억 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고 전년 실적과 비교하면 매출은 5배,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해 11배가량 급증했고 호실적은 작년에도 이어져 매출 571억 원, 영업이익 221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넥스틴은 올해 다시 한번 급성장하는 모양새를 연출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증권가에서는 1000억 원 돌파에 대한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넥스틴은 4월까지 5건의 납품 계약을 체결했고 계약 상대방은 SK하이닉스와 중국 JHICC, SMIC, YMTC 등이며 각각의 계약금을 더한 금액만 635억 원으로 작년 매출을 훌쩍 웃도는 규모이고 또 기존 따낸 수주의 잔고도 작년 말 기준 275억 원 남아 있어 올해 반영될 가능성이 있는데 지난해의 경우 납품 계약이 하반기에 집중돼 올해 남은 기간 추가 계약에 대한 기대감도 남아 있습니다.



최근 3개월 이내 넥스틴에 대한 분석보고서를 낸 상상인증권, KB증권, 삼성증권에 따르면 넥스틴의 올해 매출 컨센서스는 전년 대비 91.2% 뛴 1092억 원으로 영업이익은 114.9% 증가한 475억 원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급격한 외형 성장 이외에 넥스틴의 배당성향도 투자 포인트로 꼽히는데 넥스틴은 2년간의 호실적으로 누적된 잉여금으로 작년 결산 처음으로 현금배당을 실시했는데, 현금배당성향은 26.8%에 달해 작년 벌어들인 순이익 181억 원 중 48억 원을 배당금으로 지급했습니다.



상상인증권 김장열 연구원은 “인텔 향 3D 반도체 검사장비(공동개발)의 채용 여부 최종 결정이 2분기 중 확인될 경우 인텔의 향후 공격적 투자 계획이 넥스틴에 바로 연결될 커다란 새로운 영역이 창출되는 것이기에 주목된다”며 “또 SK하이닉스 향 연간 매출 300억 원 수준 대비 삼성전자 메모리 향 수요는 더 클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삼성증권 배현기 연구원은 “중화권 매출이 작년 128억 원에서 올해 320억 원 수준으로 중화권 메모리사와 파운드리사 향 시장점유율 확장이 본격적으로 기대된다”며 “아울러 국내 고객사 향 시장점유율 확장과 신규 국내 고객사 진입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반도체 검사장비는 엔드유저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그리고 중국 반도체 회사들이 발주를 해야 실적이 생기는 천수답 형태라 이들의 투자가 반도체 부적상황에사 가격이 오르고 미세공정에 투자가 증가하고 있어 반도체 제조장비에 대한 투자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 당분간 실적호전이 이어질 가능성이 커버입니다

 

2021년 실적기준 75000원대 적정주가로 평가되어 지난 4월의 76,500원 주가는 이를 반영한 흐름으로 보이며 이번 1분기 실적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후 실적이 공개되면 이를 반영하는 흐름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넥스틴 20220111교보증권.pdf
0.76MB
넥스틴20220228 삼성증권.pdf
0.8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lQKbNRvb28Q

안녕하세요

삼성전자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부문에서 칩 가격 인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삼성은 파운드리 고객과 올해 반도체 제조비용을 최대 20% 인상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13일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사정에 정통한 소식통들에 따르면 반도체의 제조 수준에 따라 가격은 15~20% 인상될 가능성이 있는데 새로 책정되는 가격은 올해 하반기부터 적용될 예정으로 삼성은 일부 고객사와는 협상을 마쳤지만, 다른 업체들과는 논의 중에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이는 글로벌 반도체 품귀 현상 속에 업체들이 일제히 가격을 올렸던 지난해에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가격 정책을 취했던 삼성의 전략이 바뀌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블룸버그는 풀이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 인플레이션과 기준금리 인상 등 거시경제 리스크가 삼성을 압박한 것이 반도체 가격 인상 추진 배경으로 보이는데 반도체 제조 과정의 핵심인 일부 가스들은 우크라이나에서 많은 부분 조달해 왔기 때문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공급망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TSMC와 유나이티드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UMC) 등 삼성 경쟁사들은 몇 달 전 가격 인상 계획을 고객사에 통보했는데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TSMC는 지난해 제품 가격을 20% 인상한 데 이어 2023년까지 5~8%의 추가 인상을 계획하고 있다고 고객들에 전했고 UMC도 2분기 4%의 추가 인상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TSMC에 비해 후발주자로 아직 시장점유율이 낮기 때문에 가격인상을 유보하고 시장점유율 확대에 나섰지만 비용증가를 판가에 반영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내몰려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분야 납품가격 인상에 성공할 경우 실적이 빠르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편 조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맞아 삼성전자 평택반도체 공장을 이재용 부회장의 안내로 돌아볼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삼성전자 평택반도체 공장은 파운드리반도체 공장으로 삼성전자가 한참 투자를 늘리고 있는 미래먹거리로 대만 TSMC와 사활을 건 경쟁을 벌이고 있는 사업이기도 합니다



대만TSMC는 중국, 일본과 손잡고 타도 삼성전자에 나서고 있는데 파운드리반도체 분야가 대만 TSMC의 주력시장이기 때문에 이를 지키기 위한 움직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본은 반도체 분야 부활을 꿈꾸며 대만TSMC와 손잡고 함께 타도 삼성전자를 부르짖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9eqZAMCOom8

안녕하세요

지니틱스가 강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오는 8월 웨어러블로봇을 해외에 출시한다는 소식에 관련 테마주로 거론되는 지니틱스에 관심이 몰린 것으로 보입니다.

 


13일 오전 10시 8분 현재 지니틱스는 전일 대비 225원(+8.26%) 상승한 2945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날 한 매체는 삼성전자 고위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을 웨어러블 로봇 ‘GEMS-H’가 오는 8월 공식 출시되고, 초도물량은 3~5만대 수준이라고 보도했는데 이 로봇은 걷기 어려운 분들을 돕는 보행 보조 로봇인데 앞서 삼성전자는 작년 10월 26일 미국 FDA 물리 의학(Physical Medicine) 부문에 ‘젬스 힙(GEMS-H)’에 대한 허가신청을 제출했고, 지난달 21일 최종 승인(Substantially Equivalent, SESE)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삼성전자는 로봇 사업화를 위해 2021년 TF(태스크포스)를 상설조직인 로봇사업팀으로 격상하는 등 신사업으로 로봇사업 강화를 내세우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BIS에 따르면 세계 웨어러블 로봇 시장 규모는 2016년 9600만 달러(약 1077억 원)에서 2026년 46억5000만 달러(약 5조2150억 원)로 10년간 50배가량 성장할 전망인데 이같은 소식에 전세계 웨어러블 터치IC 시장점유율 1위 업체인 지니틱스에 기대 매수세가 몰린 것으로 보입니다.

 

지니틱스는 웨어러블 기기에 들어가는 전용 터치IC 제품을 공급 중인데 중국 모바일 제조사 오포, 비보를 계열사로 둔 중국 BBK에 칩을 공급한 지니틱스는 삼성 갤럭시 워치, 화웨이, 샤오미 등에 칩을 공급하고 있으며, 전 세계 스마트워치 시장의 탑5 제품 중 3개 제품에 지니틱스 IC가 들어갈 정도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지니틱스에 대한 기대감은 이미지스테크놀로지의 사례를 볼 때 경계해야 할 것으로 초기에는 삼성전자가 지니틱스 터치IC반도체를 구매해 사용하겠지만 햅틱이 그렇듯이 시장이 성숙하면 내재화에 나설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성장에는 한계를 갖고 있어 보입니다

 

웨어로블로봇은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특히 농어촌지역 노인인구의 노동력 저하를 보충하기 위해 웨어러블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지니틱스20210527유안타증권.pdf
0.5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jDczUu800NM

안녕하세요

삼성생명이 삼성전자의 지분을 또 다시 축소했는데 삼성생명은 삼성전자의 주식 약 2만7500주를 팔아, 18억원을 마련했다고 최근 공시했는데 삼성생명은 삼성전자의 지분 8.75%를 보유한 최대 주주로 2대주주는 국민연금으로 8.69%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삼성생명이 같은 그룹 계열사인 삼성전자의 지분을 추가로 매도했다는 의미는 삼성전자의 주가가 당분간 반등하기 어렵다고 풀이되는데 삼성전자는 반도체의 D램과 플래시메모리에서 1위 기업으로 현재 해당 분야에서 경쟁자로 꼽히는 미국 마이크론의 PER이 8.3이고 삼성전자의 PER은 9.4입니다.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개편에서 마지막 남은 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지분 매각이 시작된 느낌인데 보험업법 개정에 따라 삼성생명이 오너일가의 지배구조 강화를 위해 보유하고 있던 삼성전자 지분을 시가로 평가하 3% 초과분은 매각해야 할 상황입니다

 

보험업법 개정에 따라 삼성그룹은 금융사가 비금융사 보유 지분을 싯가기준 3%로 제한 당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럴 경우 상당량의 삼성전자 지분이 매각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이럴 경우 이재용 부회장의 그룹 지배력이 현저하게 약화될 수 있어 삼성생명이 매각하는 삼성전자 지분을 이재용 부회장 일가가 직접 사들일 필요가 있는 상황입니다

 

아직 삼성그룹은 지배구조를 지주회사 체계로 전환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건희 회장 상속세 부담이 남아 있고 삼성전자 지배력 문제가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매각된 물량은 겨우 18억 정도에 불과해 지배력에는 전혀 문제될 것이 없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2018년 매각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yPPyYOYzopk

안녕하세요

갤럭시 Z 플립4와 폴드4 등 삼성전자의 하반기 플래그십 신작 출시를 앞두고 이동통신 3사가 전작들의 '재고 밀어내기'에 나서고 있습니다.

 

지난 2020년 이후 출시된 플래그십 스마트폰들의 공시지원금이 대폭 상향되면서 단말기 판매가가 출고가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는데 이래도 소비를 하지 않겠냐는 듯이 보입니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지난 2020년 출시된 삼성전자의 마지막 노트 모델인 '갤럭시노트20 울트라'의 공시지원금(5G 요금제 기준)을 48만원~87만원 수준으로 책정했습니다.

 

가장 지원금이 높은 KT는 노트20 울트라에 공시지원금 87만원(월 13만원 요금제 기준)과 추가지원금(공시지원금 15%) 13만500원을 더해 최대 100만500원을 지원하고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공시지원금과 추가지원금을 합해 최대 55만2000원, 최대 74만7500원을 지급하고 있는데 노트20 울트라의 출고가가 125만4000원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약 20~56% 가격에 단말기를 구매할 수 있는 셈입니다.



또 다른 플래그십인 S시리즈도 비슷한 상황인데 노트20과 같은 해 출시된 갤럭시S20+(플러스)의 경우 SK텔레콤은 80만5000원, KT는 88만5500원, LG유플러스는 92만원을 지원하고 있고 출고가 124만8500원이었던 S20+를 30만~40만원 수준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출시된 지 약 3개월밖에 안된 갤럭시S22마저도 일반 모델(출고가 99만9900원)을 기준으로 '반값' 판매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통사별 S22 지원금을 보면 SK텔레콤 55만2000원, KT 57만5000원, LG유플러스 57만5000원으로 모두 출고가의 절반 이상을 지원 중에 있습니다.

 

노트 시리즈를 이어 삼성전자의 하반기 플래그십 라인업을 담당하고 있는 폴더블폰에도 막대한 지원금이 쏟아지고 있는데 갤럭시 Z 플립의 경우 출고가가 89만9800원(SKT)·99만9900원으로 지원금이 가장 적은 SKT에서도 80만5000원을 지급하고 LG유플러스는 지원금을 92만원으로 책정했고 KT에서 플립을 구매할 경우에는 공시지원금이 99만9900원에 달해 아예 '공짜폰'이 된 상황입니다.



지난해 출시된 플립3(출고가 125만4000원)로 눈을 돌려도 SKT에서 58만7000원, LG유플러스에서 69만원으로 지원금이 출고가의 절반에 달하고 KT는 플립3 지원금을 책정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삼성전자의 최고가 프리미엄폰인 폴드 시리즈는 다른 제품군들에 비해 비교적 지원이 많지 않지만, 일부 모델의 판매가가 3분의1 수준으로 인하했는데 LG유플러스에서는 폴드 시리즈 지원금이 아예 없고, SKT는 폴드2(출고가 145만2000원)에 78만2000원, 폴드3(출고가 199만8700원)에 69만원을 지원하고 있고 KT는 폴드2만 지원 중이며 지원금이 출고가의 약 70%인 100만500원에 달합니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삼성전자 스마트폰 지원금 확대 현상이 하반기 신제품 출시에 앞서 '재고 털이'에 나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는데 통신사들이 하반기 스마트폰 물량 공급에 앞서 그간 쌓인 갤럭시 단말기 재고를 소진하려 한다는 분석입니다.



실제로 삼성전자가 이르면 오는 8월 하반기 플래그십인 폴드4와 플립4를 선보일 것으로 전망되면서 신제품 색상·외형 등에 대한 추측이 연일 제기되고 있는데 업계에서는 플립4에는 골드, 폴드4에는 베이지 색상이 적용될 것으로 보고 있고 하반기 제품의 메인 색상으로 '골드'가 채택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다만 한 업계 관계자는 "단말기 지원금이라는 게 제조사와 통신사가 시장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책정하는 것이다 보니 이유를 명확히 확정하기는 어렵다"며 "지금처럼 신제품 출시를 눈 앞에 두고 있는 경우에는 재고를 처리한다는 이유도 아예 배제할 수 없고, 5~6월이 스마트폰 시장 비수기인 만큼 시장 활성화 의도도 있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에플 아이폰과 다르게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가격이 급속도로 폭락하는 것은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수명이 다해가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한데 그저 잘만드는 제조업자로써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닌 것 같습니다

 

너무 일찍 노트 모델을 단종한 것은 아직 폴더블폰 대중화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화면 고객을 애플 아이폰 울트라 고객에 빼앗기는 결과를 가져왔고 폴더블폰 모델 없이도 플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을 늘려간 애플에 비해 폴더블폰 시장을 먼저 개척하고도 지지부진한 실적을 보여주는 삼성전자로써 미래가 LG전자와 다를 바 없다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과연 삼성전자가 LG전자처럼 스마트폰 사업을 포기한다면 그만큼의 매출과 수익성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차세대 먹거리가 뭐가 있는지 궁금해 지는 시점입니다

 

삼성전자 경영진이 고민해야 할 것은 지금 당장 신작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어떻게 많이 팔아먹을까와 함께 이후 뭘 갖고 먹고 살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지난 주총에서 갤럭시S22 GOS논란에 대해 사과는 할지언정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모습에서 삼성경영진의 무책임함을 투자자들은 목도했습니다

 

삼성전자 신저가 행진은 이런 무책임한 경영진에 대한 투자자들은 응징이라 할 수 있는데 경기방어주로써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의 주가흐름이 삼성전자와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7LwpZjSK-so

안녕하세요

시스템반도체 디자인 솔루션 전문 업체인 가온칩스가 증시 부진을 넘어서 최종 공모가를 1만 4000원으로 확정했는데 희망 공모가 범위(밴드) 상단인 1만 3000원을 7.7% 웃도는 가격이라 최근 추세와 벗어난 좀 놀라운 가격인 것 같습니다.



가온칩스는 지난 2~3일 국내외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최종 공모가를 1만 4000원으로 결정했고 이에 따른 공모 금액은 280억 원, 상장 후 시가총액은 약 1608억 원입니다.



이번 수요예측에는 국내·외 기관 1903곳이 참여했으며 단순 경쟁률은 1847.12대 1을 나타냈는데 참여 기관 중 전체의 99.9%에 달하는 1901곳이 밴드 최상단인 1만 3000원을 웃도는 가격을 제시했습니다.



시스템반도체 시장의 성장이 가온칩스의 기업공개(IPO) 흥행으로 이어졌다는 해석인데 가온칩스는 반도체 팹리스(설계 기업)의 설계도를 받아 공정에 최적화된 형태로 가공한 후 이를 파운드리(위탁 생산 기업) 업체에 전달하는 디자인 솔루션 업체입니다.



28나노미터(㎚) 이하 공정과 차량·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용 반도체 제조에 특화돼 있다는 평가로 지난 2018~2021년 영업이익 성장률은 연평균 50.2%에 달하는데 이 같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와 영국 ARM의 최우수 디자인 솔루션 협력사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가온칩스는 이번 공모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연구개발(R&D)과 해외 시장 진출 등에 활용할 계획인데 차량·AI·IoT 등 신산업 분야에 필수적인 반도체 칩 개발에 투자하면서 일본 시장 진출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입니다.

 

가온칩스는 오는 11~12일 일반 투자자 청약을 거쳐 20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계획으로 대표 주관사는 대신증권입니다

 

최근 반도체 부족 사태에 수혜를 받고 있는 회사로 공모수량도 많지 않아 상장 초기에 품절주 가능성이 크고 장기적으로 M&A 가능성이 큰 회사라고 볼 수 있어 수요예측에 성공한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yCZ8qjD6X2M

안녕하세요

삼성전자가 미국 이동통신사와 1조 원 규모 장비공급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 영향입니다.

 

전날 삼성전자는 미국의 4위 이동통신사인 디시 네트워크(DISH Network)에 대규모 5세대 이동통신(5G) 장비를 공급하는데 계약 규모는 삼성전자가 따낸 미국 내 5G 통신장비 공급계약 중 두 번째로 큰 규모입니다.

 

삼성전자 수주 소식에 이날 통신장비 관련주는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였는데 기산텔레콤(14.32%), 텔레필드(11.25%), 다산네트웍스(10.89%), 피피아이(6.72%) 등의 주가가 일제히 올랐습니다.

 

같은 이유로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관련주도 급등했는데 투비소프트(29.53%)는 상한가를 기록했고 이루온(16.55%), 이미지스(14.17%) 등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들의 5G통신에 대한 투자가 본격화 되면서 삼성전자가 수주를 늘려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중국 화웨이와 TCl 같은 전통의 통신장비 강자들은 미국 정부의 견제에 미국과 EU에서 수주하는데 제한이 가고 있습니다

 

미중패권전쟁으로 삼성전자가 어부지리를 얻고 있는 것으로 원래 통신장비 분야에서 중국의 가성비를 앞세운 업체들에게 밀려 시장 퇴출 수모를 당하기도 했던 분야입니다

 

미국과 5아이스로 대변되는 중국 견제 서방국가들은 삼성전자에 5G통신장비를 발주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상당한 실적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2020년에 개시될 것으로 기대되었던 5G통신장비 투자는 2021년에서 다시 2022년으로 이연되어 통신장비업체들의 실적들이 신통찮은 상태라 주가도 상당히 하락한 상황이라 저가매수세가 유입되는 모습입니다

 

통신장비업체들은 삼성전자를 통해 납품이 이뤄지기 때문에 동반 실적성장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우리나라 통신장비업체들이 대부분 중국에서 통신장비를 만들어 오기 때문에 겉모양은 메이드인 코리아 지만 내용물은 마데인 차이나가 많아서 보안에 문제가 없을지 의문이 들기는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통신장비주

삼성전자

머큐리

다산네트웍스

알에프텍

알엔투테크놀로지

웨이브일렉트로

케이엠더블유

대한광통신

유비쿼스

유비쿼스홀딩스

이노와이어리스

오이솔루션

서진시스템

에프알텍

RFHIC

코위버

유엔젤

코다코

텔레필드

에이스테크

쏠리드

기산텔레콤

2019년
2020년

 

2020년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fK0UFAaMos

안녕하세요

애플은 스마트폰 시장의 유일한 프리미엄 제품 업체로 올라섰습니다.

 

판매량에서는 2위지만 매출 기준으론 ‘부동의 1위’로 애플과 삼성전자 간 스마트폰 매출 격차는 5년 새 1.9배(2017년)에서 2.7배(2021년)로 더 벌어지기만 하고 있는데 애플의 대당 판매가격(ASP·825달러)이 삼성전자(265달러)를 세 배 이상 웃돌고 있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 고위 관계자는 “한때 특허전쟁까지 치르며 경쟁했는데 이제 우리는 안중에도 없어 보인다”며 “애플은 ‘넘사벽’(넘을 수 없는 4차원의 벽)의 존재가 된 것 같다”고 프리미엄 시장에서 애플에게 확실하게 추월당한 것을 인정하는 분위기입니다.

 

2011년 스티브 잡스에 이어 팀 쿡이 최고경영자(CEO) 자리에 오를 때만 해도 시장은 애플의 미래에 대해 불안하게 생각했는데 새로운 제품을 내놓을 때면 “혁신적인 제품이 없다”는 비아냥을 듣기 일쑤였습니다.

 

하지만 애플은 팀쿡CEO체제를 갖추면서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는데 팀쿡 CEO가 취임할 당시 3490억달러이던 애플 시가총액은 지난 1월 장중 3조달러를 찍었고 지난달 29일 2조5728억달러(약 3258조원)로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삼성전자(약 401조원)의 여덟 배 이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쿡의 애플이 세계 최대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비결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애플만의 생태계’를 구축했기 때문인데 하나의 아이디로 아이폰, 맥북, 아이패드, 애플워치 등을 온오프라인으로 연결해 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구글 안드로이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등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쓰는 삼성전자를 비롯한 다른 업체들은 따라하기 힘든 전략으로 삼성전자가 그저 하드웨어 잘 만드는 제조업체에 머무는 수준인데 반해 애플은 생태계를 기반으로 애플뮤직, 애플TV+, 금융 등 서비스 분야에서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성장기업이 되고 있습니다.



부품 효율화를 통해 소품종 대량생산 체계도 갖췄는데 애플은 연간 219억달러에 달하는 대규모 연구개발(R&D) 투자로 스마트폰과 PC용 칩셋 및 부품을 자체 설계하고 있습니다.



한때는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를 통해 대화면을 선호하는 애플이 갖고 있지 못한 모델로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확실한 자기시장을 가지면 애플을 수량면에서 넘어서기도 했지만 이제는 애플이 대화면 아이폰을 내놓고 삼성전자는 갤럭시 노트 모델을 포기하면서 폴더블폰을 밀면서 완전히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수량에서도 수익성에서도 애플의 상대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삼성전자 경영진의 오판이 자리잡고 있는데 갤럭시노트 고개들의 의향을 무시하고 갤럭시노트 모델을 너무 일찍 포기하면서 프리미엄스마트폰 시장에서 아이폰 울트라 모델에 대거 고객을 빼앗기고 폴더블폰 모델은 가격을 낮춰도 판매량이 지지부진한 상태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다 구글이 자체 스마트폰 모델을 내놓으면서 삼성전자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는데 자체 OS를 갖고 있지 못하는 한계를 그대로 노출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지금의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부의 모습은 퇴출 직전 LG전자 스마트폰 사업부의 전철을 밟아가고 있는 모습으로 머지않아 사업부를 중국에 매각하거나 특허만 따로 관리하는 사업부로 존재감이 미미해 질 수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지금같은 추세라면 삼성전자 스마트폰을 볼 수 있는 시간도 얼마 남지 않은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39ey021TnzE

안녕하세요

최근 한 달간 외국인 투자자(이하 외국인)가 삼성전자 주식을 내다 팔면서 삼성전자에 대한 외국인 지분율이 지난 2016년 이후 6년만에 처음 50%대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외국인은 25거래일 연속 삼성전자를 순매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7일 기준 삼성전자의 외국인 지분율은 50.92%까지 하락했는데 삼성전자의 외국인 지분율이 51% 아래로 하락한 것은 지난 2016년 8월 24일(50.99%) 이후 5년 8개월여만입니다.



1개월 전인 3월 25일 외국인 지분율은 51.9%였는데 1%포인트(P) 가량 지분율이 낮아졌는데 1년 전인 2021년 4월 28일(54.69%)과 비교하면 외국인 지분율은 3.78%P 하락한 상황입니다.

 

외국인 지분율이 이렇게 줄고 있는 것은 외국인들이 삼성전자를 집중 매도하고 있기 때문인데 외국인은 3월 25일부터 지난 28일까지 25거래일 연속 삼성전자 주식을 순매도하고 있고 이 같은 연속 매도는 한국거래소가 외국인 지분율을 지난 1999년부터 집계한 후 최장 기간 순매도로 지난 2006년도 21거래일 연속 순매도(10월11일~11월8일)를 했지만 이번에 이보다도 더 긴 기간 순매도 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주가는 외국인의 매도세가 집중되면서 계속 하락하고 있는데 지난 28일에는 전일보다 200원(0.31%) 내린 6만4800원에 마감했고 주가는 이날 장중 6만4500원까지 떨어지면서 52주 신저가를 다시 한번 경신했는데 삼성전자 주가가 6만4000원대로 내려앉은 것은 지난 2020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삼성전자 주가는 최근 한 달 사이에만 7.03%(4900원) 떨어졌습니다.



이 기간 외국인이 삼성전자 주식을 판 액수를 모두 합하면 4조4216억원에 달하는데 이는 같은 기간 외국인이 유가증권시장 전체에서 순매도한 금액(5조7826억원)의 76%에 육박하는 것으로 외국인이 삼성전자를 손절하고 있는 셈입니다.



삼성전자가 어닝 서프라이즈의 1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도 외국인투자자들의 순매도가 이어지는 것은 실적에 따른 손절매가 아니라 미국 금리인상에 대응하기 위한 달러확보를 위한 매도로 볼 수 있는데 코로나19엔데믹으로 넘어가면서 삼성전자의 실적이 지금이 피크라는 인식이 외국인들 사이에 자리잡고 있는 모습입니다

 

특히 삼성전자 실적중 2번째로 큰 포지션을 차지하는 스마트폰사업이 애플과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사이에 끼어 점점 시장점유율을 읽고 있는 상황이라 LG전자의 뒤를 다를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증권가에서는 여전히 삼성전자에 대한 투자의견을 긍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어 개인투자자들이 물려가게 만들고 있는데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24개 기관이 추정한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는 9만8000원이고 투자의견은 ‘강력매수’를 권고했는데 다만 올해 들어 증권사 4곳(상상인증권, KB증권, 하이투자증권, 하나금융투자)은 지난 3월, 4월에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5.32%~10% 하향 조정했고 올해 들어 목표주가를 상향한 증권사는 없는 상황이라 강력매수를 부르짖는 모습과는 상반된 결과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오너일가인 홍라희 여사가 삼성전자 지분을 이건희 회장 상속세를 내기 위해 1조원이상 매도한 가격이 7만원대 초반이라는 점에서 외국인투자자들의 매도가 이해되는 측면이 있습니다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 28일 올해 1분기 매출액 77조7815억원, 영업이익 14조1214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는데 매출은 지난해 1분기와 비교했을 때 18.95% 증가해 분기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고 영업이익 역시 지난해 1분기보다 50.5% 증가해 어닝 서프라이즈라고 부를만 합니다.

 

하지만 외국인투자자들은 지금이 삼성전자의 실적피크라는 점에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외국인투자자들이 미국 금리인상에 달러가치 상승으로 환차손을 피할려는 목적도 있기 때문에 원달러환율이 1270원을 훌쩍 넘어버린 현재 외국인투자자들의 매도는 지속될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미국금리인상에 투자자들이 익숙해질때까지 외국인투자자들의 순매도는 이어질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삼성전자 2022_1Q_Green Solution Provider_KOR.pdf
0.82MB
삼성전자 2022_1Q_실적발표.pdf
0.6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OYmfvghr8rc

안녕하세요

삼성전자는 올 1분기 매출 77조7815억원, 영업이익 14조1214억원의 실적을 거뒀다고 28일 발표했는데 지난 7일 잠정 실적을 공개한데 이어 최종 확정 실적을 발표한 것입니다.



1분기 매출은 전분기 대비 1.6% 증가하며 3개 분기 연속으로 역대 최고 분기 매출을 경신했고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대비 18.9%, 50.5% 증가한 어닝 서프라이즈를 내놓았습니다.



호실적은 반도체와 스마트폰이 이끌었는데 삼성전자는 사업부별로 반도체는 8조4500억원, 스마트폰은 3조8200억, 디스플레이 1조900억, TV·가전 8000억원, 하만 1000억원 등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삼성전자는 주력 사업인 메모리 반도체에 대해 “메모리 가격 하락이 예상보다 완만했고, 서버용 반도체가 역대 최대 분기 판매를 기록하는 등 시장 전망을 상회하는 실적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는데 최근 수율 논란 등이 불거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에 대해선 “첨단공정 비중을 확대하고 수율도 안정 궤도에 진입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스마트폰 사업은 지난 2월 출시한 갤럭시S22 시리즈와 프리미엄 태블릿, 워치 등이 높은 수익률을 거두면서 매출과 영업익 모두 개선됐는데 디스플레이 사업도 네오 QLED, 초대형 등 고부가 전략제품 중심의 판매가 이뤄지면서 호실적을 뒷받침했고 생활가전 역시 비스포크를 중심으로 프리미엄 판매가 늘어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1분기 시설투자는 7조9000억원으로, 반도체(6조7000억원)와 디스플레이(7000억원) 중심의 투자가 이뤄졌습니다.



삼성전자는 2분기 전망에 대해 “거시경제 불확실성과 물류 이슈가 지속될 것”이라며 “반도체는 탄탄한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스마트폰·TV 신제품 확대와 프리미엄 리더십 강화를 통해 수익성 확보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고 이어 “파운드리 사업에선 2분기에 3나노 공정을 세계 최초로 양산해 기술 리더십을 제고하고 신규 수주 확대도 지속하겠다”고 했습니다.

 

삼성전자가 2022년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실적을 공개하고도 52주 신저가를 기록하고 있는 것은 외국인투자자들의 매도에 기인한 것으로 삼성전자의 최신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S22의 GoS논란을 보며 삼성전자가 중국 스마트폰 업체에 추월당하는 것은 시간 문제라는 인식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의 부문별 실적을 보면 반도체가 가장 크고 그 다음이 스마트폰 사업부인데 이 부분에 미래가 불확실하다는 점은 삼성전자의 실적이 앞으로 더 좋아지기 어렵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외국인투자자들과 기관투자자들도 이런 시장 변화를 감지하고 대응하고 있는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삼성전자 2022_1Q_실적발표.pdf
0.67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