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중국에서 생산한 차량 10만 대를 리콜할 계획입니다.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 총국은 테슬라 차량에 탑재된 터치스크린 문제로 리콜을 결정했다고 밝혔고 대상은 2021년 10월 19일부터 올해 4월 26일 사이 중국 상하이에서 생산한 모델3와 모델Y 10만 7923대입니다.
신랑차이징(新浪財經) 등 중국 현지 매체는 "고속충전 중이거나 또는 고속충전을 준비하는 도중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CPU)가 충분히 냉각되지 않아 CPU 처리 속도가 느려지거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이 발견됐다"고 보도했습니다.
매체는 이 같은 오류가 후방 카메라, 앞 유리 성에 제거 시스템 오작동 등을 불러일으켜 차량 충돌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리콜 사유를 밝혔습니다.
테슬라는 무선업데이트(OTA) 방식으로 리콜 수리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전했는데 테슬라의 OTA 리콜은 원격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하드웨어까지 통제가 가능해 소비자 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고, 리콜 비용도 거의 들지 않습니다.
앞서 테슬라는 4월 '트랙 모드'에서 속도 단위를 표시하지 않아 충돌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유로 중국에서 판매된 모델3 1만 4000여대를 리콜한 바 있습니다.
한편 테슬라 상하이 공장은 생산 정상화 계획을 일주일 연기했는데 로이터통신은 16일(현지시간) 테슬라 상하이 공장이 생산 능력을 코로나19 봉쇄 이전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는 계획을 최소 일주일 연기하기로 했습니다.
테슬라는 당초 16일부터 하루 생산량을 2600대로 늘릴 계획이었으나 이를 23일로 잠정 연기했는데 내부 문건에 따르면 테슬라 상하이 공장은 이번 주 1교대로 하루 1200대 생산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어 평소 생산량의 반밖에 생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2600대 생산을 위해서는 2교대로 운영해야 하는데 봉쇄가 계속돼 생산 인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데다 부품 공급에 대한 불확실성도 여전히 남아있다고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상하이봉쇄가 완전히 회복되는데 시간이 더 필요한 상황이라 테슬라 실적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모레퍼시픽 직원들 회삿돈 횡령 가상화폐와 불법 도박 사건 발생 (0) | 2022.05.17 |
---|---|
삼성전자 자회사 세메스 출신 전 연구원 반도체 제조장비 기술 유출 구속 재판 (0) | 2022.05.17 |
아바코 차세대 디스플레이 증착 양산장비 개발 착수 2차전지 장비사업 진출로 사업다각화 추진 (0) | 2022.05.17 |
에스엠 1분기 실적발표 이수만 리스크 탈피 기대감 (0) | 2022.05.17 |
대성산업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반도체 필수 소재 희귀가스 '네온' 가격폭등 수혜 기대감 (0) | 202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