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8IwO3rfHZE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LG이노텍의 애플에 대한 매출의존도가 올 해 약 80%대에 육박하면서 LG이노텍의 애플에 대한 종속이 심화되고 있어 사업다각화를 통해 애플에 대한 매출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이번에 LG이노텍 대표이사로 취임한 문혁수 CEO는 LG이노텍의 실적이 증가해도 주가가 흘러내리는 가장 큰 이유를 애플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사업다각화를 통한 고객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LG이노텍의 애플에 대한 매출의존도는 안정적인 거래처 확보 수준을 넘어서 애플의 실적에 LG이노텍의 실적이 연동되는 지경에 이르러 애플 정책 변경이 LG이노텍의 생산여탈권까지 거머쥐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최근 애플이 중국산 부품 비중을 높이자 LG이노텍이 당장 타격을 받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이런 취약한 매출구조가 LG이노텍의 주가 할인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신임 CEO(최고경영자)로 취임한 문혁수 LG이노텍 대표가 공식 데뷔 자리인 올해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반도체기판과 전장을 미래사업 전략으로 선정한 것도 이런 애플에 대한 매출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정책변화 때문입니다

 

최근 전기차 캐즘 현상으로 전장부문이 성장둔화한 것도 사실이지만 전기차 대중화를 위한 성장통으로 보이기 때문에 LG이노텍이 전장부문을 늘리기로 한 것은 합리적인 판단으로 보입니다

 

지난 상반기 애플이 중국시장에서 가격인하에도 판매량이 줄면서 애플이 중국산 부품을 더 늘려 친중국화 정책으로 대응하면서 LG이노텍은 장기적으로 애플 물량이 줄어들 위기에 놓여 있기 때문에 포스트 애플에 대한 플랜을 LG이노텍이 내놓을 차례가 된 것입니다

 

애플이 중국 기업의 기술력이 향상되면서 고부가가치 부품도 중국 기업으로 공급망을 전환하고 있어 LG이노텍은 생존을 위해서라도 사업다각화에 성공해야 할 상황이 도래하고 있습니다

 

LG이노텍의 매출 중 애플의존도를 얼마나 빨리 어느 규모로 줄일 수 있느냐가  LG이노텍의 주가방향성을 결정하게 될 것입니다

 

국민연금도 LG이노텍의 이런 취약성을 주목하며 LG이노텍 지분을 줄이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이노텍 20240823 상상인증권.pdf
1.41MB
LG이노텍 실적발표_2Q24_PT(KR).pdf
0.58MB
LG이노텍_20240725 하나증권.pdf
0.60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4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개막한 국내 최대 반도체 기판 전시회인 ‘KPCA 쇼 2024’에서 PCB업체들이 대거 유리기판 시장에 진출했음을 알리면서 유리기판이 PCB시장의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엔디비아의 주가가 연일 급등세를 나타내면서 미국 시장에서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가 여전히 견조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반증이나오면서 유리기판의 상용화가 더 빨리 도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 "KPCA 쇼 2024"에서 삼성전기와 LG이노텍 등 PCB를 주로 다루는 대기업과 여기에 유리기판 제조장비를 대는 업체들이 부스를 갖고 나와 기술력을 뽑냈습니다

 

삼성전기는 시제품을 생산하는 파일럿 라인을 연내 세종사업장에 꾸린다는 계획으로 내년부터 시제품 생산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LG이노텍도 다층 빌드업 공정 등을 비롯해 유리 기판 관련 기술을 소개했는데 지난 주총에서 CEO가 유리기판 시장 진출을 선언한지 반년만에 시제품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였습니다

 

대덕전자와 심텍 등 중견 기판 기업도 ‘글래스 코어 서브스트레이트’라는 유리 기판 핵심 기술을 공개했습니다

 

반도체가 고성능화되면서 신호 체계와 방열 등에 안정적인 유리가 각광받고 있고 특히 최근 데이터센터, 서버, 통신들이 중요해지면서 기판 고객사들도 유리기판 설루션을 요구하는 추세라 인공지능AI 시장에서 유리기판이 기존 PCB를 빠르게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유리기판 관련주들은 삼성전기와 LG이노텍처럼 완성품을 만드는 곳도 있지만 유리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장비를 만드는 업체들도 본격적으로 시제품 발주를 받고 있어 관련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유리기판 관련주

삼성전기

LG이노텍

SKC

와이씨켐

제이앤티씨

필옵틱스

와이엠티

대덕전자

심텍

기가비스

씨앤지하이테크

태성

하스

제이앤티씨

HB테크놀로지

켐트로닉스

미래컴퍼니

램테크놀로지

로체시스템즈

LX세미콘

https://youtu.be/wt8Pz7q-e48?si=WewLCT-ImZJE4Jsw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gsyfG2SqhHQ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LG이노텍은 이번 '아이폰 16'에서도 폴디드줌 카메라모듈을 단독 공급하는데 특히 전작인 아이폰 15의 경우 최상위 모델에만 적용됐던 폴디드줌이 프로 모델까지 확대 적용되면서 평균판매단가(ASP)가 크게 상승할 전망입니다

 

LG이노텍은 애플 아이폰의 카메라모듈 공급회사로 독보적인 파트너쉽을 갖고 있는데 중국 카메라업체들의 기술수준이 낮고 국내 업체들의 양산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기술력과 양산능력 모두에서 애플 아이폰의 최적 파트너사가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애플아이폰의 판매율 제고에도 LG이노텍 카메라모듈의 성능이 주요 이유가 되고 있어 애플이 함부로 할 수 없는 부품사가 되고 있습니다

 

LG이노텍은 이런 시장지위를 이용해 향후 2년간 출하될 아이폰 5억대 가운데 2억9000만대에 LG이노텍 카메라모듈이 탑재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아이폰 카메라모듈 공급 점유율 58%로 1위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LG이노텍의 실적을 좌우하는 것은 애플 아이폰의 판매량이 되고 있는데 중국 시장 내 애플 아이폰의 시장점유율이 급감하고 있어 시장의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LG이노텍은 카메라모둘에 대한 매출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전장부품을 키우고 있는데 현재 LG이노텍의 전장부품 수주가 급증하고 있어 점차 매출비중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모회사인 LG전자가 전장사업을 키우고 있어 LG이노텍이 수혜를 보고 있는데 LG그룹은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다고 할 정도로 전장사업을 키우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LG이노텍이 갖고 있는 PCB기판 사업에서 유리기판 개발은 인공지능AI 시장 선점을 위해 투자를 늘리고 있는 분야인데 AI데이타센터의 투자급증에 유리기판의 양산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LG이노텍은 현재의 캐시카우 카메라모듈과 미래 먹거리 전장사업부문 그리고 차세대 먹거리 유리기판으로 안정적인 사업구조를 가져가고 있어 기업가치가 커지고 있습니다

 

LG이노텍의 2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 30만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저가매수세가 유입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이노텍 2024Q2 실적발표.pdf
0.58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수요가 급증하고 AI가속기와 AI데이타센터가 늘어나면서 '반도체 유리기판'의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유리기판은 기존 플라스틱 기판보다 방열에서 앞서 있어 집접도와 대규모 데이타의 처리로 열이 많이 나는 AI반도체에서는 '반도체 유리기판'의 경쟁력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국내 대기업들도 앞다퉈 '반도체 유리기판' 사업에 뛰어들고 있는데 제2의 2차전자와 같은 시장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SKC가 설립한 앱솔릭스는 '반도체 유리기판' 세계 첫 제품 상용화에 나서고 있는데 앱솔릭스는 최근 미국 조지아에 연 1만2000㎡ 생산 규모를 갖춘 1공장을 완공한 뒤 시운전을 진행 중으로, 샘플 테스트를 마치고 하반기부터 거래기업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며 7만2000㎡ 규모의 2공장 건설도 추진하고 있고 그 노력을 인정받아 5월 미국 정부로부터 7500만달러(약 1023억원)의 지원금도 확보했습니다

 

삼성은 삼성전기를 주축으로 세종사업장에 시제품 생산라인을 구축하는 한편, 내년엔 시제품을 만들어 시장의 문을 두드리기로 했는데 이르면 2026년에 양산이 가능한 수준으로 사업 가속화 시키고 있습니다

 

LG에선 이노텍이 담당하고 있는데 국내 주요 소재·부품·장비 기업과 협력 사항을 논의하며 전략을 수립하고 있고 올초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주주총회에서 북미 반도체 기업이 유리기판에 관심을 보이는 만큼 회사 차원에서도 사업을 준비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습니다.

 

유리기판 활용 시 두께가 25% 줄어들고 지금보다 8배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면서도 소비전력을 30% 이상 줄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 인공지능AI 시대에 적합한 소재이자 부품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대기업들의 참여로 시장 성장에 가속도가 붙고 있는데 관련주들도 성장을 이어가고 있ㅁ어 경기침체 속에서도 성장을 이어갈 종목들로인식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유리기판관련주

SKC

LG이노텍

삼성전기

HB테크놀로지

필옵틱스

와이씨켐

켐트로닉스

미래컴퍼니

제이앤티씨

탑엔지니어링

태성

유리기판 2023 하이투자증권.pdf
0.4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올 해 들어와 애플 아이폰 가격을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연속해 인하하면서 시장점유율을 지키려 노력하고 있지만 중국인들의 소비가 LG전자와 삼성전자를 떠나듯이 애플 아이폰을 떠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애플 아이폰 등 외국 브랜드 스마트폰 사용 금지령을 확대하고 있는데 사실상 아이폰을 겨냥한 조치로 보여지는데 아이폰을 중국 공산당원들과 중국 관료들이 공공기관 안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명령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지난 해 테슬라에 대해 중국 정부가 테슬라 전기차의 중국 관공서 출입 제한으로 테슬라 실적이 급락했던 과거 사례와 비슷한 양상입니다

 

애플이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을 지키기 위해 애플 아이폰15의 가격을 연속해서 2번이나 내렸지만 3월 한달 반짝했을 뿐 결국 2분기 애플의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2분기 출하량 기준 970만대로 6위를 기록하고 말았습니다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는데 애플을 추월해 화웨이, 샤오미, 오포와 비보 등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애플이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에서 지난 2분기 출하량 기준 6위를 기록했는데 1위였던 애플 아이폰이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5위 밖으로 밀린 것은 4년 만의 일입니다.

 

앞서 애플 팀쿡 회장은 중국의 아이폰 규제 소식에 단번에 중국 뻬이징으로 날라와 중국 공산당 수뇌부와 미팅을 갖고 규제움직임을 연기시키는데 성공했는데 결국 2분기에 애플 사용 규제령이 내려지면서 애플 아이폰의 중국시장 점유율이 급감하고 말았습니다

 

우리나라 LG전자도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과 경쟁에서 밀리면서 결국 스마트폰 사업 자체를 포기하였고 삼성전자도 중국 내 스마트폰 점유율이 0%를 기록하는 X망신을 당했는데 그나마 폴더블폰에서 체면을 유지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습니다

 

중국정부가 애플에 대해 규제카드를 꺼내든 것은 미국 대선에서 중국에 대한 견제와 규제가 선을 넘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애플에게 있어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글로벌 매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중요한 시장인데 코로나 팬데믹 기간 공급망이 꼬이면서 제대로 생산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고 이에 따라 중국 공장을 인도와 중국 이외 지역으로 이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중국 정부로써는 애플이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면서 대량실업이 발생하게 되고 애플 아이폰을 구매하여 국부가 유출되는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미국과 애플에 경고할 필요가 있어 보였습니다

 

중국인들은 애플이 대만의 칭하이정밀의 중국 공장인 폭스콘을 통해 애플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생산하면서 애플을 중국 기업과 동급으로 평가하며 소비해 주었지만 코로나 팬데믹 이후 공급망 재편과정에서 중국 공장의 해외이전으로 애플을 외국기업으로 인식하면서 중국인들의 애국소비의 대상에서 제외하게 된 것입니다

 

삼성전자는 중국사드보복에 중국에서 공장을 철수했지만 애플은 중국 소비가 애플 실적마져 견인하자 중국 매출 의존도를 높인 것이 결정적인 패착으로 돌아왔습니다

 

8월 1일 있을 애플의 2분기 실적발표에 중국 시장점유율 축소가 어떻게 다가올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애플 아이폰 부품주

LG이노텍

LG디스플레이

삼성전기

자화전자

파인엠텍

비에이치

심텍

아이티엠반도체

덕산네오룩스

덕우전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애플이 인공지능AI 전략을 뒤늦게 내놓으면서 AI를 탑재한 아이폰 신모델의 발매를 예고하고 있어 아이폰의 교체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애플 주가는 11일(현지시간) 7.3% 급등한 207.15달러로 마감하며 사상최고치를 경신했고 이 같은 하루 상승률은 2022년 이후 처음이며 애플 주가가 하루에 7% 이상 오르기는 지난 3년 동안 이번이 3번째입니다

 

이로써 애플의 시가총액은 3조1760억달러로 엔비디아(2조9790억달러)를 다시 앞서고 마이크로소프트(3조2160억달러)와의 차이도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애플은 전날 연례 세계개발자회의(WWDC) 개막식에서 AI 전략을 발표했으나 당일 주가는 하락했는데 하지만 애널리스트들의 호평이 이어지며 분위기가 반전돼 이날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애플의 인공지능AI 전략이 이전 모델이 아니라 앞으로 모델에서만 AI 기능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알려지면서 아이폰 교체의 슈퍼 사이클이 도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애플에 대한 묻지마 매수세를 유입시킨 것입니다

 

이에 따라 애플 아이폰의 부품업체들의 주가도 급등하고 있는데 이는 애플 아이폰 판매량 둔화에 부품수요도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슈퍼사이클이 도래할 것이라는 뉴스는 부품수요의 증가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애플 아이폰15 때 5G 기능을 넣으면서 이전 아이폰 모델들과 차별화를 가져가며 판매수량의 급증을 가져온 전례가 있기 때문에 이번 AI 기능을 탑재한 아이폰16모델의 글로벌 흥행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애플아이폰부품주

삼성전기

LG이노텍

LG디스플레이

자화전자

비에이치

덕우전자

모다이노칩

아이티엠반도체

하이비젼시스템

액트로

제이엠티

덕산테코피아

피엔에이치테크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애플이 드디어 폴더블폰을 내놓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폴더블폰 부품사들의 몸값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독주 무대라 폴더블폰 성장의 한계를 드러내고있을 때 애플이 폴더블폰 시장에 뛰어들어 판이 커지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애플 부품사들은 폴더블폰에도 그대로 사용될 수 있어 시장 외연이 커지는 게기가 될 것으로 보여 애플 부품사들에게는 성장의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애플의 폴더블 아이패드가 2026년 상반기, 폴더블 아이폰은 2027년 출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이해되고 있어 애플 부품사들에게는 성장의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애플이 폴더블폰 시장으로 외연을 확장할 경우 삼성전자가 노력해 왔던 폴더블폰 대중화에 한발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재 애플에서 개발 중인 폴더블 디바이스는 아이패드와 아이폰 형태로 2종으로 알려져 있는데 아이패드가 먼저 런칭되고 여기에 디스플레이는 삼성디스플레이가 공급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폴더블 아이폰의 경우 지난해 10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6.8인치(플립형)와 8인치(폴드형) 두 타입으로 샘플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경쟁이 치열한 것 같습니다

 

애플 아이폰 부품사들은 애플이 폴더블폰 시장 진출을 미루면서 성장이 둔화된다고 우려해 왔는데 삼성전자가 키워놓은 폴더블폰 시장에 애플은 단번에 시장의 주요 마켓플레이어로 등장할 것 같아 실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애플은 중국시장 점유율이 급감하면서 가격인하라는 카드를 내놓고 점유율 증가를 가져왔는데 폴더블폰 아이폰의 런칭도 삼성전자가 만들어 놓은 폴더블폰 시장에 무임승차할 만큼 애플도 실적이 아쉬운 상태입니다

 

애플의 폴더블폰 런칭은 LG디스플레이와 LG이노텍에게도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애플 폴더블폰 부품사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세경하이테크

파인엠텍

유티아이

KH바텍

디케이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D22mJRywJTw?si=6wxhoGCOYPkuuB4H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덕우전자는 카메라모듈부품과 전장부품 제조사업을 영위하는 부품사로 LG이노텍을 통해 애플에 카메라모듈 부품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부품업체로써 한계 때문에 주요 고객사인 LG이노텍의 실적에 연동될 수 밖에 없고 LG이노텍은 주력 공급사인 애플의 실적에 연동될 수 밖에 없습니다

 

최근 애플 아이폰의 중국시장 점유율이 급감하면서 LG이노텍의 주가도 상당기간 하락했는데 덕우전자도 적자를 기록하며 주가하락세를 면치 못하였습니다

 

덕우전자는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99억원으로 적자전환했고 같은 기간 매출액은 1651억원으로 21% 감소했으며 당기순손실은 83억원으로 적자전환했습니다.

 

최근들어 애플이 신제품인 비전프로를 내놓고 가정용 로봇 시장 진출을 검토하면서 덕우전자의 카메라모듈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애플은 내부에 팀을 두고 가정용 로봇이 차세대 성장 동력이 될지를 검토하고 있는데 애플 엔지니어들은 집에서 사용자들을 따라다닐 수 있는 이동형 로봇을 검토 중이며 애플은 로보틱스 기술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를 옮길 수 있는 탁상용 가정용 기기도 개발했습니다.

 

가정내 로봇의 자율주행을 위해 카메라가 반드시 필요한데 애플 아이폰에 들어가는 카메라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전장용 카메라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덕우전자는 핸드폰 카메라 모듈 부품을 생산 하고 있어 애플 협력사로 수혜를 입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덕우전자는 8,286원 전환가격에 241만여주가 주식전환을 대기하고 있어 주가 발목을 잡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덕우전자 20230607_하나증권.pdf
0.59MB
덕우전자 IR Book 2017.pdf
2.38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CKHsZI9fZmo?si=AKCgWAD7QbO9-dYp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LG이노텍의 주가가 급락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주고객사인 애플의 실적에 대한 우려가 주가에 선반영되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LG이노텍의 주력사업은 카메라모듈로 애플 아이폰에 들어가는 카메라모듈이 주요 납품처가 되고 있는데 애플의 생산량이 줄어들 경우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미국 증시에서 애플의 주가도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는 데 최근들어 약 12%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애플이 하락한 이유는 연초 이후 중국 내 아이폰 판매가 부진했다는 소식 때문인데 미국 경제매체 CNBC는 아이폰의 판매량이 올해 들어 첫 6주 동안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했다고 공개했습니다.

 

애플이 중국 시장에서 고전하는 것은 화웨이와 오포, 비보, 샤오미 등 중국 토종업체들의 점유율이 확장되고 있기 때문인데 같은 기간 화웨이는 스마트폰 판매량이 65% 증가해 애국소비가 애플 실적의 발목을 잡고 있는 모습입니다

 

애플 아이폰에 대해 "마데인 차이나"라는 자부심으로 미국과 중국의 무역마찰 속에서도 애플 아이폰의 중국 판매량은 줄지 않았지만 지난 하반기 중국 정부가 공무원들에게 아이폰의 사용중지 명령을 내렸다는 소식이 알려진 이후 애플 아이폰의 중국내 판매량이 급감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여기다 애플이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유럽연합으로부터 2조6000억원 규모의 과징금 폭탄을 맞으며 2.54% 급락한 바 있습니다.

 

애플에 연이은 악재가 발생하면서 올 해 애플의 아이폰 생산수량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 중국시장에서 삼성전자 갤럭시가 애플 아이폰의 시장을 잠식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는 모습입니다

 

LG아이폰은 애플에 주로 납품하고 있는데 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에서 철수하면서 이런 경향이 더욱 심화되고 있어 애플의 실적이 곧바로 LG이노텍에 영향을 미치는 모습입니다

 

여기다 고객사의 제품 고급화 영향으로 카메라모듈 성능 상향을 위한 생산설비 투자는 계속 이어지고 있어 실적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이노텍 20240108 하이투자증권.pdf
0.48MB
LG이노텍_4Q23_PT(KR).pdf
0.62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이엘사이언스는 LG이노텍과 자동차 라이트에 실리콘 LED 렌즈를 적용하기 위한 투자합의서를 체결했습니다.




이는 LG이노텍이 출시한 ‘넥슬라이드-M’을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관련 생산설비를 아이엘사이언스 생산기지에 구축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데 LG이노텍은 아이엘사이언스에 램프 몰딩 생산을 위한 장비를, 아이엘사이언스는 관련 인프라 시설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아이엘사이언스는 LG이노텍과의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본격적으로 44조원 규모의 세계 자동차 조명시장을 겨냥할 계획인데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프리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자동차 조명 시장은 지난해 330억4000만달러(약 44조원)였으며, 2032년에는 561억7000만달러(약 72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이엘사이언스는 전방산업 수주에 따라 생산시설을 확장하는 상황인데 제2공장 증축이 마무리 되면 생산시설 연면적은 기존 7020㎡에서 1만400㎡로 늘어나게 되고 생산량도 크게 확대됩니다.




이번 시설 증축은 상반기 미국 경제사절단 초청 때 논의된 미국 및 멕시코 공장에 접목할 ‘모듈형 스마트팩토리 모델구축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이 프로젝트는 전 공정이 자동화 라인으로 구축되는데 협력사의 해외공장 구축 진행에 맞춰 단계적으로 모듈을 국가별로 이식해 준공 후 바로 제품 생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입니다.




아이엘사이언스 관계자는 “본격적으로 자동차 전장사업 매출이 일어나고 있고, 납기를 준수하기 위해 생산 캐파에 대한 정보를 밸류체인 내의 기업들과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다”며 “실리콘 LED 렌즈를 적용하는 자동차 모델 확대와 고객사 확대 효과가 예상되므로 발 빠르게 생산규모 증설에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아이엘사이언스는 자동차 전장시장의 성장에 수혜를 받고 있고 LG이노텍과의 사업협력은 실적호전의 단초가되고 있어 향후 실적호전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아이엘사이언스 20220519.pdf
1.79MB
아이엘사이언스 20230720 IBK증권.pdf
0.85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테슬라가 전기픽업트럭을 모델 소개 후 4년여 만에 양산에 나서면서 테슬라에 카메라모듈을 납품하는 LG이노텍과 여기에 센서를 납품하는 오디텍이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외신 등에 따르면 테슬라는 트위터를 통해 “기가(팩토리) 텍사스에서 첫 번째 사이버트럭이 만들어졌다”고 공개했는데 공장에서 완성된 사이버트럭 1대를 중심으로 작업복을 입고 있는 직원들 수백명이 둘러싸고 축하하는 모습을 찍은 기념사진도 함께 게시해 이번에는 진짜 라는 사실을 확인시켜주었습니다.



테슬라가 사이버트럭을 생산한 것은 2019년 11월 시제품을 처음 공개한 이후 약 4년 만으로 미국 픽업 트럭 시장은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크라이슬러 등이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어 다른 완성차 업체들이 좀처럼 진입하지 못하는 시장인데 포드의 전기픽업트럭 F-150의 족주무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는데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이 가세하면서 픽업트럭 시장도 본격적인 전기트럭시대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테슬라는 사이버트럭의 생산량을 50만대까지 장담하고 있는데 초기 생산물량은 몇 천대 수준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양산초기라 수율을 잡는데 어려움이 클 것으로 보이고 기존 시장을 선점하고있는 포드와 리비안이 전기픽업특럭에 대한 가격인하 정책으로 시장수성에 나서고 있어 4년전 모델로 과연 테슬라가 어느 정도 시장진입에 성공할 수 있능 지 의문이기는 합니다

 

전기 픽업트럭은 기존 픽업트럭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승자가 테슬라가 될지 포드가 될지 아직은 불확실한 측면이 있습니다



한편 오디텍은 빛을 감지해 전기신호로 변환해주는 전자부품인 제너다이오드를 생산하고 있는데 오디텍은 이 제품을 LG이노텍에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디텍은 LG이노텍의 핵심협력사로 광소자 및 광센서모듈, 시스템, LED 응용제품 등을 생산하는 센서 부문과 LED의 핵심부품인 제너다이오드를 영위하고 있고 제너다이오드 국내시장점유율 90%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LG이노텍은 올 초 테슬라 사이버트럭에 탑재되는 카메라모듈 수주에 성공했는데 수주 규모는 최대 약 1조5000억원, 공급 기간은 3년 이상으로 알려져 있어 오디텍도 새로운 시장이 생긴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시장참여자들은 미국 테슬라가 사이버트럭을 시장에 내놓으면서 수혜주 찾기에 본격 나선 모습입니다

 

오디텍의 지난 1분기 실적 기준 적정주가 9천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사이버트럭 판매개시가 모멘텀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오디텍 2021.pdf
1.40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OjHssZNXifc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애플이 그 동안 공들여 개발해왔던 MR헤드셋 "애플비전프로"를 공개했습니다

 

아이폰만큼 혁신적인 제품이라는 찬사와 함께 너무 비싸다는 말도 나와 부잣집 도련님의 장난감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지만 향후 삼성전자도 MR헤드셋을 신제품으로 시장에 내놓을 것으로 알려져 있고 기존 시장의 강자인 메타도 애플비전프로에 대항하는 신제품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져 있어 MR헤드셋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게 될 것 같습니다

 

LG이노텍은 애플의 광학부품 협력사로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에 광학부품을 공급하고있는데 이번에도애플비전프로에 협력사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애플은 협력사들과 기술협력을 강화하여 애플비전프로의 가격을 낮추려는 작업에 들어갔는데 이는 MR헤드셋의 대중화를 위해 높은 가격을 낮춰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애플비전프로에 대해 얼리어답터들은 기꺼이 지갑을 열고 구매에 나서겠지만 일반인들은 500만원에 육박하는 가격으로쉽게 손이 나가지 않는게 사실입니다

 

비전 프로에 들어가는 최첨단·고가 부품을 소프트웨어와의 최적화를 통해 사양을 낮추고 최대한 적은 비용으로 양산이 가능하도록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국내 대형 부품사 관계자는 “애플의 비전 프로에 탑재되는 센서 제품의 경우 20여개가 넘고 특히 심도와 거리를 파악하는 뎁스 센서나 이미지를 인식하는 비전 센서는 애플이 직접 맞춤형으로 개발한 제품들”이라며 “대량 양산을 담당하게 될 LG이노텍 등의 부품사들이 양질의 부품을 낮은 가격에 납품하게 하도록 만들기 위해 양산 과정, 장비 등 모든 분야에서 애플의 입김이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애플은 국내에선 LG이노텍, LG디스플레이를 비롯해 중국 입신정밀(기기 조립)과 코웨(카메라), 고어텍(마이크 및 섭모듈), 대만 라간(렌즈)과 GIS(팬케이크 렌즈 모듈), 유니마이크론(기판), 일본 무라타(MLCC, LCP 커넥터), 히로세(커넥터), TDK(RF부품) 등과 기술 제휴에 나서고 있습니다.

 

LG이노텍의 경우 지난 2017년부터 3D 센싱모듈을 개발·생산해왔으며 애플 아이폰 시리즈에 ToF(Time of Flight) 방식의 3D 센싱모듈을 납품한 만큼 파트너십 수준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애플비전프로와 더해 LG이노텍은 전장쪽 사업도 강화하고 있는데 성장성이 높은 전장부품은 LG그룹이 애플전기차 위탁생산을 받기 위해 투자를 늘리고 있는 사업분야입니다

 

모회사인 LG전자의 전장사업부가 흑자전환하고 매출 외형과 영업이익을 늘려가면서 LG이노텍의 전장부품 사업도 본격화되고 있는데 애플의 광학부품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사업다각화를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평가됩니다

 

LG이노텍의 광학부품사업은 자율주행기술의 발전과 함께 동반 성장하고 있고 고객사인 애플의 주요 제품에 협력업체로 참여하면서 글로벌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규모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LG이노텍의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35만원으로 평가할 수 있어 현 주가는 실적을 주가에 반영하는 흐름으로 이해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이노텍_1Q23_PT(KR).pdf
0.5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y8DwFhpEpec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LG그룹의 대표적인 전자부품업체 LG이노텍이 주요 고객사인 미국 애플과 LG전자의 실적우려에 주가하락을 보이다 자동차전장쪽 사업성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바닥을 확인했다는 예상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국가전략기술에 편입된 전기차·자율주행차 등 미래형 운송수단에 있어 부품 경쟁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업계에서는 정부가 향후 발표할 지원계획에 이들 전자부품에 대한 지원책이 포함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LG이노텍은 올해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0.7%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60.4% 줄었는데 주요 고객사인 미국 애플과 LG전자의 수익성에 의존한 영업의 한계를 그대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라이다 모듈·레이더 모듈·차량용 통신모듈 등 최첨단 전장부품 기술을 보유한 LG이노텍은 전장부품을 중심으로 고부가·전략고객 중심 수주를 확보하고, 자율주행·전기차 시장에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전기차용 전장부품은 아직 시장이 성숙기 초입에 있어 부품사에 대한 마진이 어느 정도 보장되고 있기 때문에 관련 분야에 기술력을 갖고 있는 LG이노텍은 마진을 보장 받으며 납품처인 전기차 업체의 생산량 증가 수혜를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로 인해 전기차 보급율이 빠르게 높아지면서LG이노텍의 고객사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어 스마트폰과 가전의 부진을 커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고 수익성도 전장쪽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LG이노텍은 ‘미래차 핵심 부품’인 플립칩-볼그리드어레이(FC-BGA) 시장에 본격적으로 투자를 늘리고 있는데 FC-BGA는 미래차에 필수적인 대용량 정보를 처리하는 반도체 기판입니다.

 

LG이노텍은 지난해 2월부터 FC-BGA 사업을 본격 추진해왔는데 올해 하반기에는 본격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어 올 해안에 수익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지난 3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에 미래형 이동수단을 국가전략기술에 추가했고, 구체적인 기술 범위는 하위 법령에 위임한 상황인데 정부는 올해 상반기 중 미래차 산업을 ‘초격차’ 첨단산업 분야로 육성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내놓는다는 계획으로 전기차 부품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LG이노텍의 실적 바닥에 대한 기대감은 저가매수세를 유입시키고 있고 전기차 부품 시장 성장과 함께 실적바닥을 확인시켜 줄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이노텍_1Q23_PT(KR).pdf
0.57MB

https://youtu.be/OdUUqtpfGTE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NHjz8KcYLfQ

안녕하세요

국내 인쇄회로기판(PCB) 업체들의 실적이 2분기부터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PCB업체들에 선취매가 유입되고 있습니다

 

반도체 업계의 1분기 실적악화로 동반 실적둔화속에 빠져들 것으로 예상되는 PCB업체들의 주가도 이미 선반영되어 고점 대비 상당히 내려온 상태인데 2분기 실적회복 기대감에 선취매가 유입되고 있습니다

 

2022년 3분기 실적이 정점을 찍고 4분기부터 2023년 1분기까지 실적 역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PCB업체들의 실적이 2분기부터 점차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감은 삼성전자의 실적이 2분기에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기인하는 것입니다

 

반도체업계의 재고조정이 2023년 1분기때 피크를 치고 2분기부터 점차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PCB업계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애플이 아이패드에 OLED패널을 채용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련 PCB의 수주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Z폴드와 태블릿PC에 S펜을 적용하면서 FPCB의 수요증가가 예상되고 있어 챗GPT 4.0의 발표로 클라우드 서버에 대한 PCB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여러뭐로 PCB업체들은 하반기 실적호전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PCB관련주

이수페타시스

LG이노텍
삼성전기

인터플렉스

비에이치

티엘비

심텍홀딩스
심텍
코리아써키트
대덕전

PCB 20230328 대신증권.pdf
1.50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L4Vzhq3MkIQ

안녕하세요

애플이 자율주행을 포기하고 전기차 개발과 생산으로 전환하면서 LG그룹주들이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는데 이후 애플이 전기차 개발에 집중하면서 조만간 양산을 위한 위탁생산 파트너 선정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감이 LG그룹주에 희망이 되고 있습니다

 

애플이 LG그룹에 전기차인 애플카 협력을 위한 공동협의체(LG전자·LG이노텍·LG엔솔) 구성을 제안했다는 한 언론 보도가 나오기도 했는데 사실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LG그룹으로써는 스마트폰 사업에서 철수하면서 공을 들인 사업이라 결코 물러설 수 없는 신규 사업이 되고 있습니다

 

이미 전기차 부품사업에서 나름 성과를 내고 있고 자동차전장에서 흑자를 내고 있기 때문에 LG그룹주들이 맘만 먹으면 전기차를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애플이 양산오다를 바로 줄 수 있는 몇 안되는 기업 중에 한 곳입니다

 

대만 칭하이정밀이 중국 폭스콘을 통해 전기차 사업에 뛰어들었지만 애플로써는 중국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전기차위탁생산을 중국에 맡기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가 힘을 얻고 있습니다

 

애플은 이미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중국 외 생산에 착수하고 있어 탈 중국화는 LG그룹주에게 희망이 되고 있습니다

 

LG그룹주가 애플전기차 위탁생산을 수주할 경우 단번에 애플 브랜드를 단 전기차를 전 세계를 상대로 생산 수출할 수 있게 되는데 중국 폭스콘을 뛰어넘는 위탁생산 업체로 클 수 있을 겁니다

 

이는 구미시의 백색가전 공장을 빼고 빈 공간을 전기차 위탁생산 공장으로 전용할 수 있어 기존 산업공동화 지역에 신규 일자리를 갖다 줄수도 있을 겁니다

 

LG그룹이 애플전기차 위탁생산을 수주하기를 희망해 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 마그나 전기차 20201223 삼성증권.pdf
0.75MB
LG에너지솔루션 20220929_유진투자증권.pdf
2.69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