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네이버가 올해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9.5% 증가한 330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는데 광고 매출 둔화에도 커머스와 콘텐츠 실적이 수익성을 방어하는데 성공하는 모습입니다.
4일 네이버는 1분기 매출액 2조2804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3.6% 늘었다고 밝혔고 영업이익은 9.5% 증가한 330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사업 부문별 매출액은 ▲서치플랫폼 8518억원 ▲커머스 6059억원 ▲핀테크 3182억원 ▲콘텐츠 4113억원 ▲클라우드 932억원입니다.
서치플랫폼은 전년 동기 대비 0.2% 증가한 8518억원을 기록했고 디스플레이 광고는 지난해 올림픽·대선에 따른 기저 효과 등으로 13.1% 감소한 반면 검색광고가 5.3% 성장하며 글로벌 검색 시장의 성장세를 상회하는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커머스는 포시마크의 편입 효과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보다 45.5% 늘어난 6059억원으로 1분기 네이버 커머스의 전체 거래액은 19.7% 성장한 11조6000억원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했습니다.
포시마크 편입 효과를 제외해도 13.2% 증가한 실적인데 포시마크는 마케팅 비용 최적화, 영업 비용 효율화 등의 노력으로 수익성을 빠르게 개선됐습니다.
기존 2024년 목표였던 법인세·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EBITDA) 흑자 전환을 이번 분기부터 조기 달성했는데 역성장 중인 미국의 동종 중고·개인 간 거래(C2C) 업계와는 대조적으로 견고한 거래액과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미국 경기가 침체로 들어가면서 포시마크의 실적에도 긍정적인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 경기침체에는 중고품 거래가 활발해 지기 때문에 포시마크의 외형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빠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핀테크는 31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8% 증가했는데 1분기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19.2% 성장한 13조4000억원을 달성했는데 외부 결제액은 31.5% 성장한 5조4000억원을 기록하며 전체적인 성장을 주도했고 오프라인 결제액은 현장 결제 가맹점 확대 노력으로 68.4% 증가한 81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콘텐츠는 전년 동기 대비 94.0% 늘어난 4113억원을 기록했는데 웹툰의 글로벌 통합 거래액은 마케팅 축소와 특정 지역 운영 감축에도 불구하고 이북재팬 편입 등으로 28.9% 성장한 4122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클라우드 및 기타는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한 932억원으로 이 중 기업 간 거래(B2B) 부문은 공공 부문 비수기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9.1%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습니다.
네이버는 R&D 투자 대비 수익에 전현 기여를 못하는 플렉스 투자를 하고 있는데 경기침체에 멍청한 짓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기 돈이 아니라 주주돈이라 흥청망청 쓰고 있는 것인데 모든 사업분야의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고 콘텐츠 분야의 성장성이 뛰어난데도 실적을 까먹고 있는 건 멍청한 R&D투자라는 생각이 듭니다
남들이 한다고 나도 해야 한다는 멍청한 경영권으로는 주주돈을 낭비하는 것으로 저런 경영진은 갈아치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편 네이버는 이날 3개년(회계연도 2022년~2024년) 주주환원계획을 밝혔는데 네이버는 새로운 주주환원계획에 따라 향후 3년간 최근 2개년 평균 연결 잉여현금흐름(FCF)의 15~30%를 전액 현금 배당하고 이와 별개로 현재 보유 중인 자사주 8% 중 3%를, 향후 3년간 매년 1%씩 특별 소각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최대주주 지분도 낮게 잘 분산되어 있지만 단일 최대주주는 국민연금으로 우리나라 국민들이 최대주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저렇게 방만하게 경영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경쟁력이 없는 인공지능AI같은 투자는 마이크로소프트처럼 오픈AI를 사다 쓰는 것이 더 이익일 수 있어 쓸데없는 투자를 줄인다면 수익성도 더 빠르게 개선되고주가도 회복되는 속도가 빨라질 것입니다
아무리 사업분야에서 사업을 잘 해도 쓸데없는 R&D로 수익성을 까먹는다면 말짱 도루묵이라는 것이 경영입니다
진짜 NAVER만이 할 수 있는 분야에 R&D를 집중해야지 경쟁력도 없고 개발 결과도 신통찮은 분야를 남들이 한다고 따라하며 돈낭비하는 어리석은 경영이 지금의 NAVER 주가를 만든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베이스전자 현대차 2분기 실적 증가 수혜 기대감 (0) | 2023.05.08 |
---|---|
LG이노텍 자동차 전장 부품 기술 부각 외국인매수세 유입 (0) | 2023.05.08 |
삼성바이오로직스 미국의 반도체 견제에 바이오투자 올인 (0) | 2023.05.08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대만에 5억달러 규모 무기 지원 동북아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코리아디스카운트 증가 우려 (0) | 2023.05.07 |
인성정보 총 1조 원 규모 미국 헬스케어 사업 수주 소식에 상한가 (0) | 2023.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