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1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투자의 귀재'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가장 선호하는 지수가 미국 증시 과열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어 버블붕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보는 투자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버핏 지수(Buffett Indicator)'가 170%를 넘어섰다며 미국 증시 폭락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버핏 지수'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주식시장 시가총액 비율로, 국가 경제의 생산 능력에 비해 주식 가격이 얼마에 책정됐는지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워런 버핏 회장은 지난 2001년 경제전문지 포춘과의 인터뷰에서 해당 지수를 두고 "특정 시점의 밸류에이션을 가장 잘 측정할 수 있는 최고의 척도"라고 평가한 바 있는데 이 때이후로 '버핏 지수'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투자의 신 워런 버핏은 '버핏 지수'가 70~80% 수준을 유지하면 매력적인 진입 기회를 시사하지만 100%를 넘어서면 주식이 고평가되기 시작한다고 설명했고 또한 200% 부근에서 주식을 매수하는 것은 '불장난(Playing with Fire)'이나 다름없다며 "지난 2000년 닷컴 버블 당시에도 버핏 지수가 급등하며 증시 폭락 가능성을 암시했다"고 강조했습니다.

 

버핏 지수는 지난 2000년 닷컴 버블 당시 150%까지 치솟은 바 있고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증시가 급등했던 지난 2021년에는 무려 230%까지 폭등했습니다.



버핏은 최근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린 버크셔 주주총회에서 “미국 경제의 믿을 수 없는 시간이 끝나가고 있다”면서 “버크셔 사업체 대부분의 올해 실적이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버핏은 “우리 비즈니스의 대부분은 지난해보다 올해 더 낮은 수익을 보고할 것”이라며 그 이유를 더 폭넓은 경기 하강 탓으로 분석했습니다.



버핏의 이같은 분석은 버크셔의 1분기 투자 포트폴리오에서도 볼 수 있는데 버크셔는 보험회사 가이코, 소매업체 시스 캔디스, 화물열차 운영사 BNSF철도 등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버크셔는 올해 1분기 미국 증시에서 133억 달러규모 보유주식을 매도했고 자사주 매입에 44억 달러를 썼으며, 다른 상장 주식 매입에 29억달러를 썼습니다.

 

투자보다는 현금으로 보유 중인 자금이 더 많은 상황으로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해서웨이가 보유중인 현금은 약 172조원 규모로 알려져 있습니다.



버핏은 이와 함께 자신의 사업 분야 다수가 지난 2년보다는 잘 이끌어왔다고 평가했지만, 현재 미국의 상황은 금리가 치솟은 데다 정부가 코로나19 팬데믹의 충격을 상쇄하고자 많은 돈을 풀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버핏은 또 실리콘밸리은행(SVB)과 퍼스트리퍼블릭은행(FRB) 등 미국은행이 잇따라 파산한 것에 대해 “앞으로 혼란이 더 일어날 수 있다”면서 “은행업에 대한 투자에 훨씬 신중해졌다”고 강조했습니다.



멍거도 “너무 많은 사람들이 줄어든 기회를 놓고 경쟁하고 있기 때문에 가치 투자자들은 더 힘든 시간을 보낼 것”이라며 “따라서 가치 투자자들에게 줄 수 있는 조언은 적게 버는 데 익숙해지라는 것”이라고 말해 이전보다 수익이 줄어들 수 있음을 예고했습니다.



멍거는 지난 시간동안의 비즈니스의 변화를 강조하기도 했는데 그는 “지금 많은 돈은 서로를 능가하려고 노력하는 똑똑한 사람들의 손에 있다”면서 “우리가 시작했던 세상과는 완전히 다른 세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뉴욕증시는 7월 마지막 거래일을 맞아 강한 실적이 이어지며 상승했는데 31일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0.24포인트(0.28%) 오른 35,559.53으로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73포인트(0.15%) 상승한 4,588.96으며,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9.37포인트(0.21%) 뛴 14,346.02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뉴욕증시 다우 지수는 7월 한 달간 3.4%가량 올랐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3.1%, 4.1%가량 상승했습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5개월 연속, 다우지수는 2개월 연속 올랐고 S&P500지수가 5개월 연속 오른 것은 2021년 8월 이후 처음이며, 나스닥지수가 5개월 연속 오른 것은 2021년 4월 이후 처음입니다.



뉴욕증시에는 아마존, 애플, CVS헬스, 스타벅스 등의 기업 실적이 나올 예정인데 씨티그룹은 S&P500지수의 연말 목표치를 기존의 4,000에서 4,600으로 상향했고 또한 내년 중순 목표치도 4,400에서 5,000으로 상향했습니다.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11번째 금리 인상을 단행한 가운데 투자자들은 이번 주 나올 고용 보고서를 주시하고 있는데 뉴욕증시 이코노미스트들은 7월에 비농업 신규 고용이 20만명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고 이는 전달의 20만9천명과 비슷한 수준으로 실업률은 3.6%로 전달과 같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미국 경기가 살아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준 내 매파 성향 위원 중 한명인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전날 CBS 방송에 출연해 현재 근원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치인 2%를 두 배 웃도는 4.1%인 점에 주목하며 "우리는 아직은 승리를 선언하고 싶지 않다"라고 매파적인 발언을 내놓았고 또 "여기에서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면 우리는 그렇게 할 것이다"라고 언급해 추가 인상 가능성을 제기해 아직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았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9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82.5%,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17.5%에 달했고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30포인트(2.25%) 오른 13.63을 기록했습니다.

 

버핏지수는 분명히 붕괴를 예고하는 지점까지 급등해 있다는 사실이 진실입니다

 

주가상승에 흥청망청해 샴페인을 터뜨리는 투자자들이 결국 붕괴로 건물 끝에 서 있게 될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