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구글이 소형모듈원전(SMR) 개발 업체에 직접 투자하기로 했는데 원전 없이는 폭증하는 인공지능(AI) 전력 수요를 충족할 수 없다는 판단을 내렸기 때문입니다

 

14일(현지시간) 구글은 미국 SMR 개발 업체 카이로스파워와 에너지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는데 이번 계약은 구글이 2030년을 목표로 건설 중인 카이로스파워의 첫 번째 SMR 건설에 투자하고, 해당 원자로가 가동을 시작하면 500메가와트(MW) 규모의 전력을 구매한다는 게 핵심이지만 계약의 구체적 내용이나 구조에 대해서는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구글이 이번에 처음으로 원전계약에 나선 것은 AI데이타센터의 에너지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AI데이타센터의 수요는 급증하고 있는데 이를 운용할 에너지원이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구글은 원전을 청정에너지원으로 규정하고 있어  태양열과 풍력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의 설비 가동률이 불안정한 만큼 원전으로 이를 보완하겠다는 전략입니다

 

콘스텔레이션 에너지는 MS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1979년 원전 사고가 발생했던 스리마일섬 원전 1호기의 상업용 운전을 2028년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아마존은 지난 3월 탈렌에너지가 운영하는 원전에서 발전하는 전력 구매 계약을 체결했는데 해당 원전과 연결된 데이터센터도 인수했습니다.

 

오픈AI는 2027년부터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투자한 SMR 스타트업 오클로가 개발 중인 SMR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자유세계에서 최근까지 원전을 건설한 경험을 갖고 있는 나라들이 몇 나라 없는데 우리나라가 가장 가성비 있게 건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SMR에 대한 투자도 하고 있어 국내 원전업체들의 SMR 건설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윤석열 정부는 아직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미국 SMR을 용인에 설치하여 용인반도체클러스터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겠다고 했지만 사고가 발생할 경우 서울 강남이 위험반경안에 들어가 서울 강님 지주들을 중심으로 반대 목소리가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 구글이 AI데이타센터 에너지원으로 SMR을 설치하면서 SMR이 본격적으로 보급되는 게기가 될 것 같습니다

 

국내 대기업들도 미국 SMR에 투자를 해 놓은 주주라 이번 기회에 사업화 기대감이 커지는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원전관련주

삼성물산

현대건설

한국전력

한전KPS

한전기술

한전산업

우진

HRS

대창스틸

두산에너빌리티

두산

HSD엔진

우리기술

보성파워텍

비에이치아이

서전기전

일진파워

에너토크

한신기계

비엠티

금화피에스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