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인 SBS 드라마 '조선구마사'가 결국 방송 2회 만에 폐지 수순에 들어갔습니다.

26일 방송가에 따르면 '조선구마사' 측은 역사 왜곡 논란이 불거진 뒤 국민적인 비판 여론과 광고주들의 제작 지원 철회 등에 제작을 이어갈 수 없다고 판단하고 입장을 정리 중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조선구마사' 측은 이날 오전 공식 입장을 내놓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앞서 제작사인 YG스튜디오플렉스, 크레이브웍스, 롯데컬쳐웍스와 SBS는 드라마가 중국식 소품과 의상 사용, 실존 인물 왜곡 등으로 논란을 빚은 데 대해 사과하고 해당 장면 수정과 함께 한 주 결방을 통해 작품을 재정비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럼에도 여론의 반발이 가라앉지 않으면서 모든 광고주와 지방자치단체가 제작 지원을 철회하는 등 현실적으로 작품 작업을 강행하기 어렵다고 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선구마사’는 실존 인물인 주인공 태종(이방원) 및 세자들이 악령과 싸운다는 설정의 허구를 더한 퓨전 사극으로 가장 먼저 문제가 된 건 극 중 충녕대군(세종)이 바티칸에서 온 가톨릭 구마 사제에게 조선의 기생집에서 월병과 중국식 만두, 피단(삭힌 오리알) 등을 대접하는 장면이었습니다.

최근 중국이 한복, 김치 등을 그들의 문화라고 주장하는 ‘동북공정’을 펼치는 와중에 해당 장면 역시 이에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고 또 태종이 아버지 태조의 환시를 보고 무고한 백성을 학살하거나 충녕대군이 구마 사제와 역관에게 무시당하는 등의 설정에 대해 전주이씨 종친회 측이 항의하기도 했습니다.

더 나아가 중국 IT기업 텐센트가 운영하는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에는 ‘조선구마사’를 “역사적 사실에 기반을 둔 북한 건국에 관한 드라마”라고 소개했고 또 “바티칸이 불교 국가인 ‘고려’를 대체하기 위해 북한 건국을 지지했다”는 역사와 무관한 설명도 있었는데 제작진은 “번역 오류로 수정을 요청했다”고 해명했습니다.

퓨전사극이라고 허구의 이야기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목소리도 있지만 중국과 일본의 역사왜곡이 어제 오늘 이야기도 아니기 때문에 TV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이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입니다

광고주 입장에서 이들이 곧 소비자이기 때문에 자칫 소비자들의 인식과 반대되는 지원으로 역사왜곡을 지원한 회사라는 낙인이 찍힐 수 있어 일찌감치 광고 철수를 결정한 것입니다

광고를 내는 것이 물건 많이 팔기 위한 마케팅의 수단이기에 광고주들의 발빠른 대처는 잘한 일일 수 있습니다

시청자들은 SBS의 공중파 허가를 재검토 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오면서 좀 더 나아가려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전 SBS의 일베 수준의 방송사고들이 연이어 터져 나오기에 불신감이 SBS 방송허가까지 논란꺼리로 만들고 있습니다

SBS측에서도 드라마 하나로 공중파 허가권까지 논란이 되는 것은 부담스러울 겁니다

조선구마사 역사왜곡 논란은 작가의 전작인 철인황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높은 시청율로 끝났지만 역사왜곡 논란에서 피해갈 수 없는 것 같습니다

퓨전사극도 정도 껏 해야 하는데 중국 자본이 투입된 작품이다 보니 중국 수출을 염두에 두고 PPL부터 드라마 내용까지 중국인 시청자의 관점을 반영하다 보니 이런 사단이 난 것 같습니다

내수용과 수출용을 따로 찍어 편집해 보내는 것이 이런 논란을 불식시킬 수 있는 방법일텐데 SBS의 편성도 너무 안일했고 제작사도 드라마 대본 내용에 대한 검토가 미숙했던 것 같습니다

이번 사건으로 엔터주 전반에 중국자본에 대한 우려감이 제기되고 있어 해외시장 진출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중국 연예시장이 아주 큰 시장이지만 동북아 현대사의 복잡한 역사관계로 조심해야 할 것이 많은 지뢰밭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제 대하사극도 투자비가 없어 못 봐 퓨전사극도 역사왜곡 논란으로 못 봐 결국 회장님 아들 나오는 사랑 타령 드라마 밖에 못 만들 것 같네요

드라마컨텐츠가 잘 나가는 효자 수출상품이었는데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는 공간이 너무 제약되는 느낌도 듭니다

투자에 참고히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