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국 보건당국이 13일(현지시간) 존슨앤드존슨(J&J)이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사용 중단을 권고했는데 미국에서는 전날까지 J&J 백신 680만회분이 접종됐습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식품의약국(FDA)은 이날 공동성명에서 J&J 제약 부문 계열사인 얀센이 개발한 백신을 맞은 사람에게서 '드물지만 심각한'(rare and severe) 형태의 혈전증이 나타난 사례 6건을 검토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J&J 접종 후 혈전증이 나타난 접종자는 모두 여성이며 연령은 18~48세로 증상은 접종 후 6~13일에 발생했습니다.
CDC와 FDA는 J&J 백신 접종 후 나타난 혈전증은 뇌정맥동혈전증(CVST)으로, 혈소판 감소를 동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헤파린이라고 불리는 항응고제로 치료하면 위험할 수 있기에 다른 치료법을 적용하라고 밝혔습니다.
혈소판 감소를 동반한 CVST는 유럽의약품청(EMA)이 이미 아스트라제네카-옥스퍼드대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매우 드물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 판단한 것입니다.
J&J 백신과 AZ 백신은 아데노바이러스를 플랫폼으로 사용하는 '바이러스 벡터 백신'이라는 공통점이 있는데 앞서 미국 조지아주(州)와 콜로라도주, 노스캐롤라이나주 등은 J&J 백신 접종자에게서 부작용이 나타났다며 접종을 일시 중단했는데 J&J 백신 접종 후 혈전증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는 유럽에서 먼저 나왔습니다.
EMA는 지난 9일 미국에서 J&J 백신을 맞은 4명에게서 혈전증이 나타난 사례 4건을 조사한다고 밝혔습니다.
CDC는 오는 14일 예방접종자문위원회(ACIP)에서 J&J 백신 접종 후 혈전증이 나타난 사례를 검토하고 '잠재적 의미'를 평가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FDA는 이후 CDC 평가를 분석하는 한편 개별사례 조사도 진행할 예정인데 CDC와 FDA는 "절차가 완료될 때까지 J&J 백신 사용을 중단하길 권고한다"면서 "백신과 관련해 안전이 최우선이며 백신 접종 후 건강 이상이 나타난 모든 사례를 심각히 받아들일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J&J 백신은 화이자-바이오엔테크나 아스트라제네카 등 다른 제약사 백신과 달리 1회만 접종하면 되고 보관도 비교적 쉬워 집단면역 형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던 백신입니 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유럽연합(EU), 캐나다 등이 J&J 백신 긴급사용을 승인했는데 한국도 지난 7일 J&J 백신 품목 허가를 내렸습니다
미국 내에서 700만명이 접종한 얀샌의 백신을 6건의 희귀혈전증으로 접종중단을 권고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 생각됩니다
미 CDC가 강제 중단이 아니라 중단 권고사항으로 발 표한 것도 이례적입니다
미국 mRNA백신 계열의 화이자와 모더나에 선급금을 접종을 하고 있는데 게임체인저라 불리는 J&J의 얀센백신이 나오면서 지금같은 속도면 화이자와 모더나는 유통과 보관 그리고 가격면에서 시장퇴출 우려감이 커진 상황입니다
이번 조치는 일종의 자국산업 보호라고도 볼 수 있는데 백신이 얀센밖에 없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미국정부가 15억 달러가 넘는 선급금을 주고 구매한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을 보호하려는 것이 아닌가 의구심이 드는 조치입니다물론 희귀혈전증이 서구 여성들에게 주로 나타나는 부작용으로 알려져 있어 인종적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구심이 듭니다
지금은 글로벌 백신전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것 같습니다
선진국들은 백신주도권을 쥐기 위해 싸우고 후진국들은 백신을 구하려고 싸우고 있는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화폐 관련주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 갱신에 관심 고조 (0) | 2021.04.14 |
---|---|
유통가 쿠팡이 쏘아올린 최저가 전쟁 이마트와 마켓컬리 이어 롯데마트도 참전선언 (0) | 2021.04.14 |
미국증시 유동성 잔치의 끝물 빠른 순환매장세로 전환 (0) | 2021.04.14 |
남양유업 발효유 '불가리스' 코로나19 예방 효과 연구비 많이 뿌렸나 봅니다 (0) | 2021.04.13 |
LF 계열사 트라이씨클 브랜드몰 하프클럽 여성복 인기 TOP5 브랜드 기획전 최대 92% 할인행사 (0) | 2021.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