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위스 투자은행(IB)인 크레디트스위스(CS)가 한국계 투자자 빌 황(한국명 황성국)의 가족회사인 아케고스캐피털매니지먼트와의 거래로 3조 원 넘는 손실을 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일본 최대 은행인 미쓰비시UFJ은행(MUFG)도 3억 달러를 날릴 위기에 몰린 것으로 나타났는데 월가를 흔들고 있는 ‘아케고스 사태’의 여진이 지속되는 모양새입니다.

30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베렌베르크은행은 아케고스캐피털 사태로 인한 CS의 손실을 32억 달러(3조 6,240억 원)로 분석했는데 CS는 아케고스와의 거래로 1분기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만 밝혔는데 구체적인 손실 규모가 나온 것입니다.

일각에서는 손실 규모가 40억 달러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는데 이렇게 되면 CS의 손실 규모가 노무라홀딩스(20억 달러)의 최대 2배가 됩니다.

골드만삭스·모건스탠리 등도 아케고스와 거래했지만 유독 CS의 피해가 커진 것은 대응이 늦었기 때문입니다.

앞서 아케고스는 투자한 일부 종목의 주가가 하락해 증거금이 부족해질 정도로 손실이 발생하자 거래 은행에 부족한 증거금을 추가 납부하는 일정을 조정해달라고 요청했고 그러나 골드만삭스는 담보로 잡고 있던 주식을 블록딜로 매각해 손실을 최소화했고 모건스탠리도 담보였던 비아콤CBS 주식 4,500만 주를 블록딜로 처분했습니다.

WSJ는 “CS는 일부 미국 경쟁자들보다 출구전략이 늦었다”고 분석했습니다.

MUFG도 손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는데 MUFG는 미국 고객과의 거래 과정에서 3억 달러의 손해를 볼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WSJ는 해당 거래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MUFG가 미국 고객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 거래가 아케고스와 관련돼 있다고 전했습니다.

전체 예상 손실 규모도 늘어나고 있는데 배런스에 따르면 JP모건은 아케고스와의 거래에 따른 은행들의 전체 손실액이 최소 50억에서 최대 1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애초 손실액 추정치가 25억~50억 달러였는데 시간이 갈수록 손실액이 상향 조정되고 있습니다.

배런스는 피해가 크지 않은 은행도 있지만 이번 사태의 여파로 은행의 주요 업무인 중개 업무의 위험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질 수 있다고 봤습니다.

실제 미국 민주당 소속인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이날 성명을 내고 헤지펀드에 대한 감독 강화를 촉구했는데 그는 “규제 당국은 금융 시스템의 위험을 막을 때 운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며 “헤지펀드 붕괴로 경제가 침체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투명성과 강력한 감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우리나라도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해소만 강조하다가 결국 펀드환매 중단이라는 사형선고를 맞고 말았는데 레버러지 투자로 책임지지도 못할 막대한 규모의 손실을 다른 은행들에 준 아케고스캐피탈 사건은 감독당국의 규제가 왜 필요한지 잘 보여준 것 같습니다

금융사들은 탐욕에 눈이 어두워 위험을 보지 못했고 금융감독 당국은 규제해소라는 이름으로 사각지대를 방치하다 이런 사고를 만들고 만 것 같습니다

결국 미국 월가가 신용위기라는 위험에 노출된 결과를 가져왔지만 감독당국이 재빠르게 투자은행들을 불러 모아 피해 규모를 실토하게 만들어 그나마 건실한 은행들은 정상적인 거래가 가능하게 만들었고 감내할 수 있는 피해라는 인식에 신용위기를 조기에 일달락하고 시장을 살려낸 모습입니다

금융감독당국의 규제는 이런 탐욕에 눈이 먼 금융사들의 실패를 대비해 반드시 있어야 하고 더욱 세분화해 감시해야 할 것입니다

이번 사건의 당사자인 빌황이 한국계이자 독실한 개신교 신자라는 점에서 국내 대형교회의 연루와 국내 재벌의 해외비자금이 물렸다는 소문도 있어 어떤 식으로든 우리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