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LG디스플레이'에 해당되는 글 32건

  1. 2024.09.02 LG디스플레이 애플 아이폰16 AI인텔리전스 채용 수혜 흑자전환 기대감
  2. 2024.08.04 LG디스플레이 중국 광저우 LCD공장 매각 급물살 우선협상대상자 중국 차이나스타(CSOT) 선정
  3. 2024.07.30 애플 아이폰 부품주 애플 아이폰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급락에 동반 하락세
  4. 2024.06.21 LX세미콘 신임 이윤태CEO SiC 반도체 사업 철수 방열 기판 사업 집중
  5. 2024.06.21 LG디스플레이 애플 아이패드 OLED패널 채용 흑자전환 기대감
  6. 2024.05.14 폴더블폰 부품사 애플 폴더블 아이폰 아이패드 런칭 수혜 기대감
  7. 2024.03.21 LX세미콘 차량용 전력반도체 신규사업 기대감
  8. 2024.03.14 선익시스템 주 고객사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애플 아이패드OLED디스플레이 채택 수주
  9. 2024.03.11 LG디스플레이 1조 3천억원 주주배정 유상증자 흥행 성공
  10. 2023.07.20 이녹스첨단소재 주거래처 LG디스플레이 재고 소진 기대감 급등세
  11. 2023.05.29 현우산업 LG전자 전장사업부 연내 수주 100조원 돌파 소식에 반사이익 기대감
  12. 2023.05.17 이녹스첨단소재 LG디스플레이와 삼성전자의 OLED 동맹 수혜 기대감
  13. 2023.05.17 LG디스플레이 삼성전자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패널 공급 예정
  14. 2023.04.24 선익시스템 애플 OLED증착장비 승인 소식에 급등세
  15. 2023.04.13 LG디스플레이 중국 광저우공장 시진핑 중국국가주석 방문에 급등세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AQ_TwqGEiK4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애플이 오는 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본사 애플파크에서 '세계개발자대회(WWDC)24'를 열고 최신 스마트폰인 '아이폰16' 시리즈를 공개할 전망입니다

 

애플이 내놓는 아이폰16은 일반·플러스·프로·프로맥스 등 4종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상위 모델인 프로와 프로맥스의 경우 화면 크기가 각각 6.27인치, 6.86인치로 전작보다 더 커지고, 새로운 M14 OLED 소재가 탑재될 것으로 보여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의 실적호전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애플의 '첫 AI폰'이라는 기대감에 힘입어 '아이폰 16' 시리즈의 판매량이 전작 대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실제 애플 역시 아이폰16의 초기 출하량을 전년 대비 10% 상승한 약 9000만대로 추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부품사별로 1억대 분량의 주문을 받았다는 소문도 돌고 있습니다

 

애플이 이전 모델에서 AI인텔리전스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만들어 모델 교체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입니다

 

애플은 올해 1억2000만~3000만대의 아이폰16 시리즈용 OLED 패널을 발주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 가운데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각각 8000만대와 4000만대의 패널을 공급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현재 삼성디스플레이는 신제품 모델 4종 모두를, LG디스플레이는 프로와 프로맥스 모델에 OLED 패널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애플이 OLED패널 가격 인하를 위해 중국 BOE의 OLED패널을 테스트 했지만 성능이 떨어져 올 해 안에 성능테스트를 통과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초기 애플 아이폰16 OLED패널을 대부분 가져갈 것으로예상되고 있습니다

 

다만 애플 아이폰16 일반모델에 OLED를 중국 BOE가 일부 테스트 물량을 납품했다는 소식이 뒤늦게 알려져 애플이 아이폰 OLED 공급망에 중국 BOE를 포함시켜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납품가격을 깍으려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애플의 삼성견제 인식으로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실적호전 기대감을 키우고 있는데 올해 하반기 중 흑자전환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상반기 실적부진에 따른 자금부족을 중국 광저우 LCD공장 매각을 통해 커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중국 TCL CSOT사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통해 매각협상을 벌이고 있습니다

 

실제 매각이 성사될 경우 조단위의 자금이 유입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디스플레이 242Q_ER_Deck_Kor_240725.pdf
1.60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LG디스플레이의 광저우 액정표시장치(LCD) 공장 매각이 급물살을 타면서 현금유동성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입니다

 

1일 LG디스플레이가 광저우 공장 생산법인의 지분 매각 우선협상자로 중국 차이나스타(CSOT)를 선정한다고 공시했는데 1조원대 후반에서 2조원대 초반의 가격으로 광저우 LCD공장을 매각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CSOT는 중국 가전업체 TCL의 디스플레이 자회사로 두 회사는 세부 협상을 거쳐 올해 하반기에는 매각 작업을 끝내겠다는 복안인데 적자 누적으로 비상 경영에 돌입한 LG디스플레이 입장에서는 자금 사정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LG디스플레이는 LCD시장에서 이미 중국 LCD업체들과의 경쟁에서 밀리고 있고 공장을 돌릴 수록 적자가 쌓이는 레드오션이 되어 진작에 LCD사업을 정리했어야 한다는 말이 나오고 있는데 이미 삼성디스플레이는 LCD사업을 정리하고 철수한 상태입니다

 

LG디스플레이는 중국 광저우 LCD 공장을 매도하고 이 자금을 OLED분야에 투자하여 디스플레이 고도화를 실현할 것으로 보이는데 애플이 아이패드부터 OLED를 채용해 점차 아이폰까지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디스플레이 시장은 OLED로 재편될 것 같습니다

 

LG디스플레이가 애플을 겨냥해 8.6세대 IT용 OLED 라인 증설에 우선적으로 나설 것이라는 예상인데 경쟁사 삼성디스플레이와 중국 BOE는 이미 8.6세대 라인 증설에 조 단위 시설투자를 개시했지만 LG디스플레이는 그동안 TV 등 대형 OLED에 주력하면서, 노트북, 태블릿, 모니터 등 중소형 OLED에서는 경쟁사에 뒤처지고 있었습니다.

 

LG디스플레이가 OLED로 사업을 집중하면서 LCD를 중심으로 하는 중국산 저가품과 OLED를 채용한 하이앤드제품으로 시장이 재편될 것 같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경기침체를 앞두고 약 2조원 내외의 현금을 확보할 수 있어 경기침체를 버틸 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 것입니다

 

경기침체에 경쟁사들이 실적부진과 현금부족으로 시달릴 때 LG디스플레이는 버틸 수 있는 현금을 마련하여 경쟁사들이 사라진 시장에 대비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LG디스플레이 중국 광저우공장은 시진핑 중국국가주석이 외국인투자자 공장으로 처음 방문한 의미가 있는 공장이라 중국 기업들도 인수하는데 부담이 적은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디스플레이 242Q_ER_Deck_Kor_240725.pdf
1.60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올 해 들어와 애플 아이폰 가격을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연속해 인하하면서 시장점유율을 지키려 노력하고 있지만 중국인들의 소비가 LG전자와 삼성전자를 떠나듯이 애플 아이폰을 떠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애플 아이폰 등 외국 브랜드 스마트폰 사용 금지령을 확대하고 있는데 사실상 아이폰을 겨냥한 조치로 보여지는데 아이폰을 중국 공산당원들과 중국 관료들이 공공기관 안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명령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지난 해 테슬라에 대해 중국 정부가 테슬라 전기차의 중국 관공서 출입 제한으로 테슬라 실적이 급락했던 과거 사례와 비슷한 양상입니다

 

애플이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을 지키기 위해 애플 아이폰15의 가격을 연속해서 2번이나 내렸지만 3월 한달 반짝했을 뿐 결국 2분기 애플의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2분기 출하량 기준 970만대로 6위를 기록하고 말았습니다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는데 애플을 추월해 화웨이, 샤오미, 오포와 비보 등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애플이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에서 지난 2분기 출하량 기준 6위를 기록했는데 1위였던 애플 아이폰이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5위 밖으로 밀린 것은 4년 만의 일입니다.

 

앞서 애플 팀쿡 회장은 중국의 아이폰 규제 소식에 단번에 중국 뻬이징으로 날라와 중국 공산당 수뇌부와 미팅을 갖고 규제움직임을 연기시키는데 성공했는데 결국 2분기에 애플 사용 규제령이 내려지면서 애플 아이폰의 중국시장 점유율이 급감하고 말았습니다

 

우리나라 LG전자도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과 경쟁에서 밀리면서 결국 스마트폰 사업 자체를 포기하였고 삼성전자도 중국 내 스마트폰 점유율이 0%를 기록하는 X망신을 당했는데 그나마 폴더블폰에서 체면을 유지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습니다

 

중국정부가 애플에 대해 규제카드를 꺼내든 것은 미국 대선에서 중국에 대한 견제와 규제가 선을 넘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애플에게 있어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글로벌 매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중요한 시장인데 코로나 팬데믹 기간 공급망이 꼬이면서 제대로 생산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고 이에 따라 중국 공장을 인도와 중국 이외 지역으로 이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중국 정부로써는 애플이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면서 대량실업이 발생하게 되고 애플 아이폰을 구매하여 국부가 유출되는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미국과 애플에 경고할 필요가 있어 보였습니다

 

중국인들은 애플이 대만의 칭하이정밀의 중국 공장인 폭스콘을 통해 애플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생산하면서 애플을 중국 기업과 동급으로 평가하며 소비해 주었지만 코로나 팬데믹 이후 공급망 재편과정에서 중국 공장의 해외이전으로 애플을 외국기업으로 인식하면서 중국인들의 애국소비의 대상에서 제외하게 된 것입니다

 

삼성전자는 중국사드보복에 중국에서 공장을 철수했지만 애플은 중국 소비가 애플 실적마져 견인하자 중국 매출 의존도를 높인 것이 결정적인 패착으로 돌아왔습니다

 

8월 1일 있을 애플의 2분기 실적발표에 중국 시장점유율 축소가 어떻게 다가올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애플 아이폰 부품주

LG이노텍

LG디스플레이

삼성전기

자화전자

파인엠텍

비에이치

심텍

아이티엠반도체

덕산네오룩스

덕우전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dep1xrUf2D0?si=LoALgcY218JKngjL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LX세미콘의 실적부진과 주가하락에 구본준 LX그룹 회장이 삼성전기 사장 출신인 이윤태씨를 스카웃해 LX세미콘 신임사장에 임명하고 구조조정에 대한 전권을 주며 LX세미콘의 수익성 회복에 올인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국내 팹리스(반도체설계) 1위 업체인 LX세미콘이 신사업으로 추진했던 실리콘카바이드(SiC) 반도체에서 사실상 철수 수순을 밟고 있는데 LX세미콘은 주력 사업인 디스플레이구동(DDI) 칩과 또 다른 미래 먹거리인 방열 기판 사업에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LX세미콘의 수장이 삼성전기에서 사업구조조정의 달인으로 인정받았던 이윤태 전 사장이 CEO로 오면서 사업구조조정과 신규사업인 방열기판 사업으로 다각화의 방향을 잡은 모습입니다

 

여기다 주고객사인 LG디스플레이가 애플의 아이패드 OLED패널 채용으로 모처럼 호기를 잡으면서 LX세미콘의 주력사업인 DDI칩의 실적도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의 주고객사인 애플의 고전으로 LX세미콘도 어려움에 봉착해 있었는데 애플이 인공지능AI 기능을 애플 아이폰 신모델에 사용하기로 하면서 전반적으로 애플 아이폰의 교체 수요가 살아나고 있고 아이패드에서 OLED 채용이 늘어나면서 LX세미콤의 구동칩도 수요가 살아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LX세미콘이 신규사업으로 투자를 늘리고 있는 방열 기판은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가 늘면서 동반해 시장이 커지고 있는 분야로 고집적 AI반도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막아주고 분산시켜 반도체의 성능을 최적화시켜주고 있습니다

 

AI반도체 시장의 성장으로 방열기판의 수요도 급격하게 늘고 있어 빠르게 수익화가 가능한 분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LX세미콘의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 15만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실적에 따른 주가반영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lC2fyT2MlC0?si=GRC2ZAMchNzl-CNE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애플은 지난 달 7일에 출시된 신형 아이패드 프로(11형, 13형)에 처음으로 OLED 패널을 채택했는데 이를 시작으로 애플은 2026년 아이패드 미니와 맥북 프로, 2027년 아이패드 에어, 맥북 에어에도 OLED 패널을 적용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LG디스플레이에게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올해 1분기 태블릿용 OLED 패널 출하량이 전년 보다 131% 증가한 172만대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으며, 이 가운데 애플의 아이패드 프로가 47%를 차지했다고 밝혔고 2분기 태블릿용 OELD 패널 출하량은 390만대로 증가하며 기록을 경신하고, 애플 아이패드의 패널 조달 비중이 1분기보다 246%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고 OLED 태블릿 시장에서 애플은 72% 점유율로 압도적인 1위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애플의 아이패드 프로용 OLED 패널 공급 비중은 LG디스플레이가 65%, 삼성디스플레이 35%로 LG디스플레이는 11인치, 13인치 패널 모두 공급하고, 삼성디스플레이는 11인치 패널만 공급하고 있어 아이폰 디스플레이 공급과는 정반대의 상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애플 태블릿용 OLED 패널 공급을 계기로 실적 개선을 이룰 것으로 기대되는데 태블릿용 OLED는 스마트폰 OLED 보다 공급 가격이 약 4배 높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아이패드 프로에 들어가는 OLED 패널 가격은 11인치 약 280~290달러(한화 약 38만원), 13인치 380~390달러(약 52만원)인 반면 스마트폰용 OLED 패널 평균 가격 50~60달러(7~8만원)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최근 델 노트북에도 OLED 패널 공급을 시작해 향후 IT용 OLED 물량 확대가 기대되고 있어 실적호전의 호기를 맞고 있습니다

 

다만  LG디스플레이는 8.6세대 IT용 OLED 투자 계획을 내년으로 늦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데 시장이 열리기 전에 선도적으로 투자해 고전해 왔던 과거의 사례를 보고 경쟁자들이 먼저 투자를 해 시장을 만들고 시장이 성숙했을 때 뛰어들어도 늦지 않는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경쟁사인 삼성디스플레이는 작년 4월 IT용 8세대 OLED 생산시설에 4조1천억원을 투자해 공사에 들어갔고, 지난 3월 장비 반입식을 개최했는데 이 공장은 2026년 가동을 시작해 연간 노트북 및 태블릿 패널 1만5천대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고 중국 BOE도 지난해 11월 2026년 말 양산을 목표로 8.6세대 IT용 OLED에 630억위안(한화 약 11조4천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애플이 아이패드에 OLED패널을 본격적으로 채용하고 이후 아이폰에도 OLED를 채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애플 물량만으로도 충분히 흑자전환이 가능해지고 이후 IT용 OLED패널의 채택사들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실적호전의 기회가 넓어지게 됩니다

 

LG디스플레이는 올 해를 기점으로 장기간 우상향하는 주가를 나타낼 가능성이 큰데 대규모 투자를 이연하고 있어 수익성이 빠르게 개선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LG디스플레이는 중국 LCD공장 매각으로 조 단위 현금이 유입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 투자금을 자체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디스플레이 241Q_ER_Deck_Kor_240425.pdf
1.62MB
LG디스플레이 2024 하이투자증권.pdf
1.39MB
LG디스플레이 20240411 삼성증권.pdf
0.53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애플이 드디어 폴더블폰을 내놓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폴더블폰 부품사들의 몸값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독주 무대라 폴더블폰 성장의 한계를 드러내고있을 때 애플이 폴더블폰 시장에 뛰어들어 판이 커지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애플 부품사들은 폴더블폰에도 그대로 사용될 수 있어 시장 외연이 커지는 게기가 될 것으로 보여 애플 부품사들에게는 성장의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애플의 폴더블 아이패드가 2026년 상반기, 폴더블 아이폰은 2027년 출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이해되고 있어 애플 부품사들에게는 성장의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애플이 폴더블폰 시장으로 외연을 확장할 경우 삼성전자가 노력해 왔던 폴더블폰 대중화에 한발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재 애플에서 개발 중인 폴더블 디바이스는 아이패드와 아이폰 형태로 2종으로 알려져 있는데 아이패드가 먼저 런칭되고 여기에 디스플레이는 삼성디스플레이가 공급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폴더블 아이폰의 경우 지난해 10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6.8인치(플립형)와 8인치(폴드형) 두 타입으로 샘플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경쟁이 치열한 것 같습니다

 

애플 아이폰 부품사들은 애플이 폴더블폰 시장 진출을 미루면서 성장이 둔화된다고 우려해 왔는데 삼성전자가 키워놓은 폴더블폰 시장에 애플은 단번에 시장의 주요 마켓플레이어로 등장할 것 같아 실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애플은 중국시장 점유율이 급감하면서 가격인하라는 카드를 내놓고 점유율 증가를 가져왔는데 폴더블폰 아이폰의 런칭도 삼성전자가 만들어 놓은 폴더블폰 시장에 무임승차할 만큼 애플도 실적이 아쉬운 상태입니다

 

애플의 폴더블폰 런칭은 LG디스플레이와 LG이노텍에게도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애플 폴더블폰 부품사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세경하이테크

파인엠텍

유티아이

KH바텍

디케이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whlSJdxJkRo?si=bqQF8uHvQaLo0kKM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LX세미콘은 디스플레이 구동칩을 주력으로 LG디스플레이가 주요 고객사인데 지난 해 LG디스플레이가 소비둔화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함께 어려워지기도 했지만 이후 LG디스플레이의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다시금 실적호전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지난 해 LG디스플레이의 애플 아이폰15 P-OLED DDI의 판매량이 상저하고를 보여주며 전분기 대비 약 114% 상승하는 뒷심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2024년부터 애플 아이폰향 P-OLED 패널 내 공급사를 다변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LX세미콘은 주 고객사 LG디스플레이의 공급 감소의 타격이 불가피할 상황입니다

 

LX세미콘은 삼성디스플레이와의 공급망 확대로 LG디스플레이 공급 감소를 일부 커버할 수 있겠지만 DDI구동칩 단일 수익으로는 한계를 절감하는 모습입니다

 

LX세미콘은 국내 1위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으로 차량용 전력반도체 등의 영역으로 사업다각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주력 제품인 디스플레이 구동 칩(DDI) 시장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사업다각화를 통해 수익다변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LX세미콘의 매출의 90% 이상이 DDI에서 발생하고 있어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사업다각화를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LX세미콘 역시 지속성장을 위해 전기차 분야로 사업다각화를 추진 중인데 구체적으로 ▲전력반도체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방열기판 등에 투자를 늘리며 돌파구 찾기에 나선 상태입니다

 

SiC 전력 반도체는 Si(규소) 전력 반도체보다 2~3배 비싸지만, 극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성장가능성은 높은 분야이고 차량용 전력반도체 역시 전기차 수요 확대로 향후 가파른 성장세가 기대되고 있고 아울러 냉장고와 세탁기, TV 등 백색가전과 함께 전기차에 1000개 이상 사용되는 MCU 개발을 추진 중이며,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방열기판 사업에도 투자를 늘리고 있습니다.

 

다만 시장에선 LX세미콘이 신사업으로 점찍은 차량용 전력반도체 등에서 성과를 내기까지 상당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아직은 투자가 계속될 것 같습니다

 

LX세미콘은 LX그룹 구본준회장이 공들여 키우는 반도체 분야로 성장을 이어갈 가능성이 큰 LX그룹 주력계열사로 자리잡아갈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X세미콘 20240129 하이투자증권.pdf
1.14MB
LX세미콘 4Q23_KOR_LXS_F.pdf
0.95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Ix6UYgSup8I?si=wIKC5mklYp8a3mCI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애플의 새로운 아이패드 프로 모델에 총 850만 개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공급하게 되어 약 29억 달러(약 3조8130억원)의 수익을 기대하고 있는데 이들은 중국 경쟁사를 제치고 이달 말 출시 예정인 아이패드 프로 모델용 패널 전량을 공급하는 업체로 선정되었고 이는 한국 업체가 아이패드의 OLED 패널을 독식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대각선 길이 11인치(28㎝) 모델의 OLED 패널을 올해 약 400만 대 생산하여 공급하며, 이에 따른 수익은 시장조사업체 옴디아가 제시한 패널 가격인 290달러를 기준으로 약 11억6000만달러(약 1조5500억원)로 예상됩니다.

 

LG디스플레이는 대각선 길이 12.9인치(33㎝) 모델의 OLED 패널을 올해 약 450만 대 생산하여 공급하며, 이에 따른 수익은 패널 가격 390달러를 기준으로 약 17억5500만달러(약 2조3500억원)로 예상됩니다.

 

두 회사 모두 6세대(가로 1500㎜, 세로 1850㎜) OLED 생산라인에서 아이패드 프로용 제품을 양산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들의 공동 승리로 총 수주액은 약 29억1500만달러(약 3조9000억원)에 달하게 되었습니다

 

선익시스템은 6세대 마이크로OLED 시장에서 증착기 장비를 독점해서 공급하고 있어 이번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의 6세대 OLED 수주는 선익시스템의 수주라고 할만큼 수혜를 입을 기회가 많아진 상황입니다

 

애플 IT기기에 OLED디스플레이를 채택한 것은 고객들의 눈높이가 올라가고 중국 업체들의 추격에 품질과 기술격차를 둬야겠다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선익시스템의 6세대 마이크로OLED증착기는 없어서 못 파는 지경에 도달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수요가 늘어난 만큼 선익시스템의 실적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선익시스템 2023 기업IR협의회.pdf
2.48MB
선익시스템 20230620_유진투자증권.pdf
2.09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p5X9wxQ3qvs?si=PhRWHTj2osHFzMIU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LG디스플레이 유상증자에서 내부 임직원들의 자발적 청약이 흥행조짐을 보이면서 임직원들이 현 주가가 싸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LG디스플레이가 지난 6~7일 진행한 유상증자에서 우리사주조합에 배정된 물량 청약은 ‘100% 완판’을 기록했는데 LG디스플레이의 우리사주 청약률은 106.1%의 청약률을 기록 흥행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가 발행한 신주 수는 1억4218만4300주로 우리사주조합에 배정된 물량인 2843만6860주는 모두 청약에 성공했고, 구주주 청약도 초과청약을 포함 1억2073만29주가 청약돼 전체적으로 106.1%의 청약률을 기록했습니다.

 

최근 2년간 4000억원 이상 유상증자한 기업들의 우리사주 청약률은 평균 80% 수준으로 우리사주 청약률이 100%를 달성한 것은 지난 2022년 1월 삼성바이오로직스 이후 첫 사례로 알려졌습니다.

 

LG디스플레이 지분 37.9%를 보유한 최대 주주 LG전자가 이번 유상증자에서 신주 배정물량의 120%를 청약한 것도 눈길을 끄는 부분인데 LG전자는 지난 해에도 1조원대 현금을 LG디스플레이에 대여해 주기도 했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유상증자로 확보한 자금 1조2925억원의 자금을 OLED 사업 경쟁력과 미래 성장기반 강화에 투입해 실적 개선에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인데 LG디스플레이는 확보 재원을 시설투자(4159억원), OLED 운영자금(4829억원), 채무상환(3936억원)에 활용한다는 계획으로 이자발생하는 부채가 줄어들어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해 4분기 OLED제품의 매출 비중을 57%까지 늘리는데 성공하고 있어 수익성도 빠르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올 해 애플이 아이폰과 아이패드에 모바일용 OLED패널을 채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써 LG디스플레이의 실적호전에 기대감을 갖게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번 유상증자의 신주 가격이 10,070원으로 현재 주가와 차이가 있어 증자가 끝나면 바로 매물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유상증자 신주가격을 깨고 내려 수 있습니다   

 

하지만 OLED의 매출비중이 50%를 넘기면서 실적호전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디스플레이 2023Q4 실적발표.pdf
1.96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P9M2pFb5Lk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녹스첨단소재의 주거래처인 LG디스플레이의 재고소진이 예상한 것보다 빠르게 나타나면서 이녹스첨단소재의 실적호전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와 삼성전자가 대화면TV에서 OLED동맹을 현실화시키면서 OLED소재 재고의 소진이 빠르게 나타나고 있고 이녹스첨단소재의 OLED 대형TV소재 납품규모가 하반기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폴더블폰 신모델의 조기 런칭으로 폴더블폰의 대중화가 한걸음 더 다가왔는데 이로써 이녹스첨단소재의 INNOLED 소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녹스첨단소재는 디스플레이 소재인 INNOLED 부문을 키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고객사인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의 관련 제품의 수요 증가는 시장성장을 가져오고 있어 이녹스첨단소재의 경쟁력을 키우고 있는 상황입니다

 

모회사 이녹스의 주력사업인 FPCB소재 부문은 꾸준히 매출을 내고 있지만 성장성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상황이라 신사업에 대한 요구가 많았습니다

 

이에 이녹스첨단소재를 통해 리튬사업을 신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자회사 이녹스리튬에 401억원을 출자해 자회사를 통해 신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녹스첨단소재는 수산화리튬의 무수화물과 일수화물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생산시설을 확보해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계획으로 2025년부터 본격 사업화를 할 예정입니다

 

이녹스리튬은 충북 오창 산업단지에 2만4000평 규모의 부지를 350억원에 매입해 해당 부지에 총 4만톤 규모의 수산화리튬 생산설비 2기를 4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구축할 계획인데 투자비용은 약 63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봤는데 해당 설비를 통해서 2028년에는 매출 1조4000억원 이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녹스 그룹은 이녹스리튬이 양극재 원료 사업을, 이녹스에코엠이 실리콘(Si) 음극재 원료 사업을 진행하고, 전기차 배터리 셀 메이커와 전기자전거 등에서 나오는 폐배터리를 리사이클링하는 사업을 알톤스포츠가 함께 진행할 것이라는 계획도 함께 내놓아 2차전지 소재와 리사이클링 사업을 그룹차원에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녹스첨단소재의 1분기 실적은 부진한 실적을 보였는데 주고객사의 재고조정이 실적부진으로 연결된 것이지만 2분기부터 실적회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하반기 실적회복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이녹스첨단소재 IR 2022.pdf
2.24MB
이녹스첨단소재 신규사업 수산화리튬.pdf
0.3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현우산업은 디스플레이용 PCB와 자동차 전장용 PCB를 주로 생산하는 업체로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가 주요 고객사라 두 회사가 잘 나가면 동반해서 실적이 좋아지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LG전자 전장사업부의 외형성장 뿐 아니라 실적호전으로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어 현우산업에게도 수주증가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현우산업은 디스플레이(OLED, LED, LCD 등) 분야와 자동차 및 전기차전장(카오디오, CID, OBCM, 네비게이션, 클러스트 등) 분야, 일반 IT기기(IP SETTOP BOX, DVD-RW PLAYER, HOME THEATER, HOME APPLYCATION 등) 분야, 정보통신(WIBRO, WLL 등) 분야, O.A(복사기, PRINTER, 복합기 등) 분야의 국내외 주요 고객사에 PCB를 공급중에 있고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가 주요 고객사입니다

 

현우산업은 디지털 가전의 OLED TV부문과 자동차(AUTO) 전장, 전기차 전장의 고수익 제품군으로의 시장확대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현우산업의 지난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4,000원대로 현재 주가는 오버슈팅 구간에 들어가 실적호전을 선반영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2분기 실적호전을 확인하며 주가의 적정성 여부를 평가할 필요가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현우산업 20220324.pdf
0.90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fhgxOT0S6x4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녹스첨단소재가 OLED소재에 있어 LG디스플레이 협력사로 삼성디스플레이와도 거래하고 있는 기술력 있는 소재업체인데 이번에 LG디스플레이가 삼성전자와 OLED동맹을 맺고 대화면 TV에 LG디스플레이 OLED패널을 채용할 것으로 알려져 수혜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가전시장이 경기침체에 따라 글로벌시장에서 고전을 할 것으로 예상되어 올 해 실적이 비관적이었지만 올 하반기 삼성전자와 OLED동맹을 맺고 대화면TV에 OLED패널을 납품할 것으로 알려져 실적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글로벌 TV시장에서 점유율을 생각해 보고 LCD TV를 줄이고 OLED TV에 주력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LG디스플레이 뿐 아니라 OLED소재를 납품하는 업체들에게도 실적호전의 호기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로써는 100% 자회사인 삼성디스플레이가 QD OLED패널 양산에 수율문제를 가져오고 있어 LCD시장 철수가 아쉬운 상황인데 적과의 동침이라곤 하지만 중국시장에서 한국기업들이 퇴출되고 있는 상황에 한국기업들끼리 돕고 살아야 한다는 말들이 업계에 나오고 있습니다

 

재계의 싸움닭으로 이름을 날리고 있는 구광모LG회장이 LG디스플레이와 삼성전자의 OLED동맹이 성사된다면 이재용 삼성회장에게 빚을 진 꼴인데 LG디스플레이는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어 조기에 흑자전환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말이 나오고 이녹스첨단소재와 같은 OLED소재 납품업체들은 규모가 커진 사업에 수혜를 보고 실적외형과 수익성을 키워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기다 삼성디스플레이가 2026년까지 8.6세대 OLED에 4조1000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번 투자로 삼성디스플레이는 세계 최초 8.6세대 IT기기용 OLED 생산라인을 갖추게 되는데 디스플레이는 원판 크기에 따라 세대를 구분하는데 8.6세대는 현재 주력제품인 6세대보다 약 1.5배 이상 큰데 양산에 돌입하면 삼성디스플레이는 IT용 OLED 생산량을 연간 1000만대 가량 생산하게 되어 이녹스첨단소재가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_5Ayko0ULX0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LG디스플레이가 이르면 이번 분기 내에 삼성전자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패널 공급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로이터통신이 16일 소식통 3명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 내년 200만대, 향후 몇 년간은 300만∼500만대로 출하량을 늘린다는 목표를 예상하고 있는데 삼성전자로 가는 초도 물량은 77인치와 83인치 화이트올레드(WOLED) TV 패널이 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0만대는 최소 15억달러(약 2조원)어치로, LG디스플레이 전체 대형 OLED 패널 생산 능력의 약 20∼30%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렇게 되면 작년 2분기부터 4분기 연속 적자 행진을 이어오고 올해 1분기에만 1조원 넘는 영업손실을 본 LG디스플레이의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LG디스플레이는 글로벌 전자 제품 수요 약화에 따라 일부 OLED 공장의 가동률을 조정 중입니다.

 

KB증권의 제프 킴 애널리스트는 "LG디스플레이의 생산율은 개선될 것"이라며 "내년 최대 생산능력에 도달할 가능성이 커 흑자 전환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LG전자와 소니에 OLED TV 패널을 공급하고 있고, 애플에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입장에선 중국 업체와 가격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하이엔드(최고급) OLED TV로 제품을 확장하려는데 OLED 패널은 액정표시장치(LCD) 패널보다 약 5배 비싼 가격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또 이번 계약을 통해 OLED TV 세계 판매 2위인 소니를 따라잡을 것으로 기대되는데 소니는 삼성전자와 S-LCD를 공동경영하면서 향후 삼성디스플레이로 지분을 전량 삼성전자에 넘겼을 때 안정적인 OLED패널 공급을 약속받아 OLED TV 세계 2위 자리를 지켜왔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현재 OLED TV 시장 점유율은 6.1%로, LG전자(54.5%), 소니(26.1%)에 크게 뒤지고 있습니다.



옴디아는 OLED 시장이 올해 117억달러로 6% 가깝게 성장하고 2027년에는 129억달러 규모로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최근 삼성전자가 OLED TV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면서 업계에서는 LG디스플레이와의 협업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다만 이날 로이터 보도에 대해 삼성전자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고 LG디스플레이도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앞서 1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삼성전자와의 협업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고객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어렵다"면서도 "고객 구조 개선 차원에서 노력하고 있고 가능성은 항상 열려 있다. OLED 가치를 인정하고 향후 시너지를 낼 수 있다면 어떤 고객과도 적극적으로 협업해나갈 것"이라고 답한 바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LCD시장에서 철수하면서 QD디스플레이 양산 수율에 어려움을 겪고있어 OLED TV 시장을 LCD TV를 대체하는 고급화 전략으로 이용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LG디스플레이는 LG전자와 함께 삼성전자도 고객사로 잡을 경우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여 수익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어 이제는 안정적인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ryyjmigPqJI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애플이 최근 LG디스플레이에 선익시스템의 IT용 8세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증착기 사용을 승인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면서 선익시스템에 대한 묻지마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습니다.



24일 오후 2시 15분 현재 선익시스템은 전일 대비 27.07% 오른 3만9천900원에 거래 중에 있습니다.



이날 한 IT전문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LG디스플레이의 자사향 OLED 패널 생산라인 투자 시 선익시스템의 8세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증착기 사용을 허가했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향후 IT용 8세대 OLED 투자를 진행할 경우, 투자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데 선익시스템 증착기가 캐논토키 장비보다 40%가량 저렴하기 때문에 애플에게도 이익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애플은 일본 캐논토키 증착기 사용을 선호해왔는데 캐논토키가 6세대에서 하프컷, 수평증착 기술을 적용한 증착기의 신뢰성을 확보한 만큼, 8세대에서도 캐논토키 장비가 적합하다는 판단이지만 캐논토키 장비의 비싼 가격으로 인해 LG디스플레이는 선익시스템과 협력해 애플의 IT 기기(노트북·태블릿 등) 제조를 위한 8세대 OLED 증착기 개발을 추진해왔습니다

 

일본의 디스플레이장비들이 성능은 좋지만 가격이 비싸고 세대가 올라갈수록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는데 국산 장비들은 세대가 올라갈수록 경쟁력 있는 공정장비를 개발하고 있어 디스플레이장비 시장에서 일본제품들을 대신해 사용승인을 늘려갈 것으로 보입니다

 

선익시스템은 OLED 장비 제조 및 판매가 주력 사업인 기업으로 중소형 장비의 경우 시장점유율이 약 80%이며 소형 OLED 증착기 시장에서 독보적인 시장점유율(M/S) 1위 업체로 주요 매출처로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를 두고 있어 애플의 OLED 채용에 가장 큰 수혜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가 모회사인 LG전자에서 1조원대 차입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애플이 무조건 비싼 일본장비만 고집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 이번 기회에 선익시스템이 OLED공정장비 시장점유율을 늘려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c5DYpLFaqwU

안녕하세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LG디스플레이 광저우 공장을 방문했다는 소식에 매스세가 유입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오전 9시42분 현재 LG디스플레이는 전 거래일 대비 4.37% 오른1만67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는 전날 시진핑 주석이 중국 남부 광둥성의 LG디스플레이 광저우 공장을 현지 시찰했다는 소식 때문에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광저우 공장은 경기 파주공장과 함께 LG디스플레이의 생산거점으로 2020년부터 양산체제에 돌입했는데 광저우 공장에서는 8.5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패널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광저우 공장의 클러스터 면적은 모듈공장, 협력사 단지 등 부대 시설을 포함해 총 40만평에 이르는데 LG그룹의 중국내 대표적인 생산거점이기도 합니다

 

미중패권전쟁 와중에 중국내 우리 기업들의 제조업체들이 제대로 생산활동을 할 수 없는 상황에 내몰렸는데 이번 시진핑 중국국가주석의 외국인투자기업 방문은 우리나라 기업들에 대한 보호에 신경을 쓰겠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집니다

 

여기다 아직 중국 OLED기술이 딸리는 상황에서 LG디스플레이가 중국기업들의 첨단기술 확보의 주요 전초기지가 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중국정부가 첨단기술 확보에 얼마나 공을 들이고 있는지 잘 보여준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최근 애플의 XR(확장현실) 헤드셋의 맞춤형 디스플레이 개발에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관계사인 LG이노텍과 함께 수혜를 받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XR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SK하이닉스와 손을 잡았는데 LG디스플레이가 마이크로 OLED 구동층을 설계하면 SK하이닉스가 생산하는 식으로 사측은 0.42인치용 마이크로 OLED를 지난해 5월 SID(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에 소개한 이후 세계 최대 정보기술(IT) 가전 전시회인 CES 2023에서도 선보인 바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가 LCDTV시장에서 중국기업들과 경쟁에 밀리고 있는 상황이지만 OLED시장의 성장으로 조만간 다시 주도권을 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올 해 1분기 적자는 그렇게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LG전자로부터 1조원을 차입해 자금사정에 한숨을 돌린 LG디스플레이는 대규모 투자를 이연하며 생산과 판매에 주력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