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포스코퓨처엠'에 해당되는 글 19건

  1. 2025.03.08 미국 알래스카 가스관 사업테마주 포스코그룹주 사업참여 기대감에 일제히 강세 4
  2. 2025.02.24 포스코퓨처엠 구미 양극재 공장 매각 캐나다 자회사 포스코퓨처머티리얼 4894억원 증자 참여 2
  3. 2025.02.05 전기차 관련주 한국판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추진 수혜 기대감 4
  4. 2025.01.04 2차전지 관련주 현대차와 기아 전기차 미국 정부 전기차 보조금 대상 지정 소식에 일제히 반등세 2
  5. 2024.11.25 2차 전지 관련주 유럽 노스볼트 파산보호신청 반사이익 기대감 동반 급등세 4
  6. 2024.09.02 포스코퓨처엠 사업구조조정 마무리 전기차 캐즘 현상 완화 7
  7. 2024.08.21 2차전지 관련주 전기차 화재 배터리 안전관리 규제 강화 반사이익 기대감 1
  8. 2024.07.19 중국 2차전지 핵심소재 전구체 업체 CNGR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 전환사채 700억원 투자 경영권 인수 완료
  9. 2024.02.20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 2차전지 주가거품 경고
  10. 2023.12.28 포스코퓨처엠 2차전지 소재 수출액 급증세 내년 실적 기대감 2
  11. 2023.12.21 포스코그룹 2024년도 임원 정기인사 발표 회장 선임 과정 중 최소 규모 인사 회장 교체 가능성
  12. 2023.08.29 EG 협력업체 포스코퓨처엠 2030년 실적목표 수혜 기대감 2
  13. 2023.08.01 2차전지 관련주 공매도 잔고 급감 숏스퀴즈 유입에 추가상승 제한 우려
  14. 2023.07.28 2차전지 관련주 반등세 저가매수세 유입 실적대비 저평가
  15. 2023.07.21 포스코퓨처엠 포스코그룹 미래비전 2차전지 소재 투자증가 수혜주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PX7g-9nbXeQ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트럼프 2기 관세전쟁으로 미국 시장이 급등락을 반복하며 투자자들을 망연자실하게 만들고 있는 가운데 우리 증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테마를 만들고 있습니다

 

바로 알래스카 가스관 사업 테마인데 알래스카 석유·천연가스 개발 프로젝트는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사업으로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 시대에 대비해 고망간강과 LNG터미널 등을 앞세워 LNG 밸류체인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는 방침을 세운 바 있어 포스코그룹주들이 주요 수혜주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시장참여자들 사이에 커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트럼프 2기 정부가 들어서면서 관세전쟁을 벌이고 있는데 철강은 대표적인 관세부과 대상으로 미국을 상장하는 US스틸을 일본제철소에 매각을 시도할 정도로 미국의 철강사업은 경쟁력을 잃고 있는데 일본 기업이 US스틸을 인수한다는데 미국인들의 자존심이 허락치 않아 US스틸 처리 문제가 미일 양국의 외교통상의 핵심적인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대선후보시절 US스틸을 일본 신일본제철이 인수하는데 반대해 왔지만 막상 대통령이 되고 나니 인수가 아니라 투자라는 애매한 말로 일본의 US스틸 경영권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1기 때도 확인했지만 도널드 트럼프는 장사꾼 마인드로 미국 대통령직을 이용해 왔기 때문에 모든 것이 흥정의 결과이고 결국 미국 보다 트럼프 일가에 어떤 이익을 주느냐에 따라 국가정책의 향방이 결정되곤 했습니다

 

알래스카 석유·천연가스 개발 프로젝트는 이미 경제성이 낮다고 해서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 프로젝트였는데 이걸 갑자기 다시 들고 나오는 것은 우리나라와 일본을 프로젝트에 끌여들여 국력을 낭비하게 만들려는 속셈으로 보이는데 우리나라에 주인이 없는 포스코가 여기에 동원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시장참여자들은 새롭게 만들어진 테마에 포스코그룹주가 참여할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막연히 묻지마 매수세를 만들고 있지만 수익이 나기 어려운 사업에 포스코 그룹주가 동원되는 것은 전사적 자원낭비가 될 수 있어 포스코의 경쟁력을 훼손할 수 있고 이것이 트럼프가 노리는 일이라 할 수 있습니다

 

포스코는 이명박 시절 해외자원개발에 동원되어 사내유보금을 거덜낸 적이 있는데 당시 해외자원개발에 포스코 그룹이 동원되면서 새롭게 35개의 해외자원개발회사들이 생겨났지만 대부분 박근혜 정부 시절 합병되거나 폐업하며 사라져 버린 경험이 있습니다

 

당시 포스코그룹은 수십조원을 해외자원개발로 쏟아붓고도 대부분 실패하고 말았는데 그 수십조원의 자금이 해외로 빠져나가면서 누군가는 팔자를 고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주인이 없는 포스코그룹만 만신창이가 되었습니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당시 신사업을 담당하던 임원으로 책임이 있지만 이번에 윤석열 정부에서 포스코그룹 회장으로 컴백하며 뭔가를 하려 했다는 의혹의 시선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엔 포스코그룹 내부의 반발이 심해 이명박 시절처럼 대놓고 해 먹지 못하고 미적거리며 시간만 보낼 수 밖에 없었는데 포스코 임직원들이 한번 당하지 두번 당하지 않는다는 생각으로 사보타지를 벌이며 포스코 내부유보금을 또 해 먹으려는 더러운 권력의 탐욕을 좌절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이번에 알래스카 석유·천연가스 개발 프로젝트는 미국판 대왕고래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는데 비싼 개발비로 생산단가가 올라 경쟁력 없는 석유와 천연가스가 될 가능성이 크고 개발이 완료되는 2030년 후반의 시기는 2050 탄소제로에 한발 더 다가가 있는 시기로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더 낮아진 상태라 알래스카 석유·천연가스가 경제성을 갖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데도 트럼프가 우리나라와 일본의 참여를 의회에서 기정사실인 양 발언한 것은 US스틸의 경쟁사들인 한국과 일본의 제철소들을 참여시켜 알래스카 석유·천연가스 개발 프로젝트로 내부 자원을 낭비시켜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이 사이 US스틸과 미국의 제철소들의 경쟁력을 회복시키려는 숨은 의도가 있는 것으로 의구심이 들고 있습니다

 

미국 메이저 석유개발사인 엑슨모빌도 포기하고 참여를 거부하고 있는데 한국과 일본 기업들이 왜 참여해야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 사입입니다

 

투자자로서 수익이 우선이라고 하지만 국부유출에 앞잡이가 되고 싶지는 않은 심정이라 알래스카 석유·천연가스 개발 테마주에 눈길을 주지 않았지만 이를 보도하는 국내 언론의 기레기들 수준에 투자자들에게 행간의 진실과 배경에 대해 한번은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어 정리해 봤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포스코그룹주

POSCO홀딩스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엠텍

포스코DX

포스코스틸리온

포스코퓨처엠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포스코퓨처엠은 24일 이사회를 열고, 구미 양극재 공장 매각과 사내외이사 후보 추천 안건을 의결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은 국내에서는 전남 광양과 경북 포항, 구미 등 3곳에서 2차전지 핵심 부품인 양극재를 생산해왔는데 구미 공장의 경우 가장 먼저 양극재 생산이 시작된 곳이지만 연산 1만톤에 불과해 현재는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어려운 공장으로 양극재 생산을 계속하기 보다는 매각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공장입니다

 

현재 포스코퓨처엠의 양극재 주력 사업장은 광양(연산 9만 톤)과 포항(6만 톤) 공장으로 잉여 구미공장은 이번 정기이사회에서 미래첨단소재에 매각하는 안건을 의결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은 구미공장에서 저가 제품을 주로 생산해 왔고 광양과 포항에서 하이니켈 양극재를 양산해 왔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은 이차전지 양극소재 생산 및 판매 지주회사 자회사(POSCO FUTURE MATERIALS CANADA)에 약 4천894억원을 출자한다고 24일 공시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의 100% 자회사 포스코퓨터머티리얼은 미국 제너럴모터스와 합작사 ‘얼티엄캠’을 설립하고 캐나다 퀘벡주에서 연산 3만 톤(t) 규모 하이니켈 양극재 공장 건설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은 다음 달 5일부터 7일까지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베터리 2025'에 참가를 예고하고 있어 선취매가 유입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포스코퓨처엠 4Q24 Preview_250110_교보증권.pdf
0.84MB
포스코퓨처엠 2024년 연간실적 IR.pdf
0.88MB
포스코퓨처엠 20250109 삼성증권.pdf
0.58MB
포스코퓨처엠 20250117_한화투자증권.pdf
0.7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 4일 국회 이차전지 포럼 대표인 신영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최한 ‘K배터리 퀸텀점프를 위한 이차전지 배터리 직접환급제 도입 토론회’에는 국내 이차전지 업계 관계자와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담당 과장이 모여 ‘직접환급제’ 도입을 논의했습니다.

 

이날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2차전지를 비롯한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에 전년(1조 1410억원)보다 3.2% 증가한 1조 1780억원(계속 1조 890억원, 신규 89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앞서 산업부는 지난해 말부터 이차전지 비상대책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업계와 지원책을 논의하고 있는데 국회에는 국가전략기술 산업의 세액공제 방식을 직접 환급과 양도로 확대하는 내용 등의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이 3건 발의된 상태입니다

 

국내 2차전지 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국회와 정부가 한국판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제정 논의를 시작한 것이 전기차 관련주 전반에 매수세를 불러오고 있는 모습입니다

 

정부와 국회는 전기차 시장 활성화를 위해 전기차SoC인 전기차 충전소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있는데 전국적으로 급속 충전기 보급에 대한 지원금을 늘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기차 케즘에 따라 소비가 위축된 상황에서 IRA법 같은 지원책은 전기차 수요를 늘려 기업들의 실적을 회복시킬 수 있는 방법 중에 한가지이기도 합니다

 

문제는 지금의 윤석열 정부는 부자감세로 조세수입이 적어진 상황이라 전기차 지원금을 마련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어 결국 증세로 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국민의힘의 반대와 윤석열 정부의 잔당들의 반대를 이겨내야 할 상황입니다

 

증시참여자들이 너무 앞서가는 모습이라 반짝 반등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2차전지 관련주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LG화학

삼성SDI

신흥에스이씨

아모그린텍

일진머티리얼즈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

솔브레인

SKC

브이원텍

엠플러스

후성

천보

만도

코이즈

대주전자재료

두산퓨어셀

솔루스첨단소재

KG케미칼

삼화전기

삼화전자

삼화콘덴서

디에이테크놀로지

상아프론테크

성창오토텍

원익피앤이

피에스텍

상아프론테크

상신이디피

엘앤에프

우수AMS

삼진엘앤디

신성델타테크

씨아이에스

에코프로

현대공업

TCC스틸

피엔티

뉴인텍

세원

한국단자

한온시스템

파워로직스

대보마그네틱

아이티엠반도체

코윈테크

SFA

티에스아이

이노메트리

인텍플러스

필옵틱스

하나기술

에이프로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2일(현지시간) 미국 에너지부와 환경보호청은 IRA에 따라 연방 정부의 보조금을 받게 되는 18개 차종을 발표했는데 현대차의 경우 아이오닉5·9, 기아 EV6·EV9, 제니시스 GV70 전동화 모델이 보조금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테슬라는 사이버트럭, 모델3, 모델X, 모델Y 등이 보조금 지급 대상으로 확정됐습니다

 

이들 전기차 모델들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미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데 그 만큼 전기차 판매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된 것입니다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신공장이 가동을 하면서 미국에서 생산한 전기차 모델들에 대해 보조금 대상에 이름을 올리게 된 것입니다

 

지금까지 조바이든 정부에서 현대차와 기아는 렌트카와 같은 리스차량에 한해 IRA법 예외를 인정받아 전기차 보조금을 박받아와서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에 어려움을 겪어 왔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현대차와 기아는 테슬라에 이어 미국 전기차 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해 왔기에 경쟁력 있는 전기차 모델로 평가되고 있었고 미국 차 브랜드인 포드와 GM이 테슬라의 전기차 가격인하에 고전을 면치 못할 때 현대차와 기아는 최신 전기차 모델의 잇점에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미국 전기차 시장점유율을 늘려 왔습니다

 

이제 전기차 보조금까지 수령하게 되어 미국 전기차 시장 판도에 큰 변화가 불가피해 졌습니다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도 현대차와 기아의 전기차만큼은 인정할 정도로 테슬라의 강력한 경쟁자로 대두될 것 같습니다

 

2차전지 업체들도 현대차와 기아의 전기차 판매증가 기대감에 오랜만에 주가 반등이 나타나고 있는 전기차 캐즘 극복을 위한 첫발을 뗀 모습입니다

 

문제는 트럼프 2기 정부가 출범한 이후 현대차와 기아에 대해 전기차 보조금 지급을 끊을 수 있다는 점으로 테슬라 CEO 일론머스크도 경쟁자들의 시장 진입을 막기 위해 전기차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는데 찬성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도 판매가 줄어들 수 있지만 이미 미국 전기차 시장의 부동의 1위라 신규 경쟁자들이 시장 진입을 못하게 막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정책과 미국 우선주의 정책으로 미국으로 수출하는 기업들에 어려움이 가중 될 것으로 보여 현대차와 기아도 피해를 볼 것으로 보입니다

 

그 나마 다행한 것은 무능의 극치인 윤석열 정부가 조기에 끝나고 합리적이고 실력 있는 정부가 구성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으로 트럼프 2기 정부를 잘 대응할 수 있는 정부가 들어서면 우리 기업들에 대한 보호무역주의 차별을 어느 정도 막아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런 점에서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최상목 대행 같은 무능하고 사리사욕에 쪄든 밥그릇 지키기에만 급급한 것들은 하루 빨리 집으로 돌아가야 할 것입니다

 

2차전지주들에게 모처럼 돌아온 기회를 잘 살려야 할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2차전지 관련주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LG화학

삼성SDI

신흥에스이씨

아모그린텍

일진머티리얼즈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

솔브레인

SKC

브이원텍

엠플러스

후성

천보

만도

코이즈

대주전자재료

두산퓨어셀

솔루스첨단소재

KG케미칼

삼화전기

삼화전자

삼화콘덴서

디에이테크놀로지

상아프론테크

성창오토텍

원익피앤이

피에스텍

상아프론테크

상신이디피

엘앤에프

우수AMS

삼진엘앤디

신성델타테크

씨아이에스

에코프로

현대공업

TCC스틸

피엔티

뉴인텍

세원

한국단자

한온시스템

파워로직스

대보마그네틱

아이티엠반도체

코윈테크

SFA

티에스아이

이노메트리

인텍플러스

필옵틱스

하나기술

에이프로

2차전지 20240930 삼성증권.pdf
1.03MB
2차전지 20241107 미래에셋증권.pdf
0.38MB
2차전지_20240513 하나증권.pdf
11.45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NysZbeOCmds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가 미국에 들어설 것이 예고되면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와 반도체지원법Chips의 폐지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하락세를 나타내던 2차전지 관련주들이 유럽의 경쟁자 노스볼트가 미국 법원에 '파산보호신청 챕터11'을 신청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제히 급반등하고 있습니다

 

트럼프2와 전기차케즘에 2차전지 업계 전반에 위험하다는 징후들이 나타났지만 유럽 전기차배터리업체 '노스볼트'가 먼저 나가떨어지면서 살아남은 전기차배터리 업체들은 노스볼트 고객사들을 신규 고객으로 받아들여 생명력을 이어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노스볼트의 주요 고객사인 폭스바겐과 BMW 등 유럽 전기차 업체들은 다른 전기차배터리 파트너사를 찾아야 하는데 중국 전기차배터리업체들이 가성비 좋은 파트너가 될 수 있지만 미국도 EU도 IRA법과 같은 중국산 전기차배터리와 소재에 규제를 가하고 있어 '노스볼트'의 빈 자리는 자연스럽게 한국 배터리업체들의 고객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트럼프2기 정부에서 IRA법 폐기 가능성이 커지고 있지만 미국 내 전기차 업체들과 전기차배터리 공장들이 있는 지역의 정치인들은 미리부터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어 트럼프 마음데로 폐기할 수는 없어 보입니다

 

특히 공화당이 다수당인 주들의 상원의원과 하원의원들이 자신의 지역구에서 공장이 철수할 수 있는 위기감에 적극적으로 반대목소리를 내고 있어 아무리 트럼프라도 막무가네로 정책을 밀어붙일 수는 없어 보입니다

 

2차전지 관련주들은 고객사의 확대로 실적호전 기대감이 커지면서 저가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2차전지 관련주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코스모신소재

피엔티

상아프론티어

엠플러스

포스코엠텍

이수스페셜티케미컬

피엔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XnSip6sHvzM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포스코퓨처엠은 국내 유일 음극제와 양극재 소재를 동시 생산 및 납품하는 이차전지 소재회사입니다

 

포스코퓨처엠은 2010년 LS Mtron 음극재 사업부문을 인수합병하며 음극재사업을 시작, 2011년 음극재 세종 공장 준공(1호기, 600톤), 2013년 음극재 공장 1차 증설(2호기, 1,200톤)을 거쳐 2019년 음극재 세종 2-2 공장 준공(25,000톤)까지 총 82,000톤의 capa를 보유하고 있으며, 천연흑연 음극재 제품부터 인조흑연, 실리콘 음극재까지 다양한 기술을 보유, 개발하고 있습니다.

 

양극재 사업부문은 2019년 포스코ESM 인수를 통해 진출하였으며, 광양 1,2단계(30,000톤), 광양 3,4단계(60,000톤) 및 포항 1단계(29,000톤) 준공을 통해 하이니켈계 NCMA 등을 양산하고 있으며,  포항 2-1단계 (29,500톤), 포항 2-2단계 (46,300톤) 및 광양 5단계 (52,500톤) 등의 증설을 통해 NCA 양산 및 늘어나는 NCMA 수요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중국 사업의 경우, 현지 소재사인 화유코발트社와의 합작법인이 2019년 말부터 5,000 톤 규모의 생산시설을 운영 중에 있으며, 하이니켈 20,000톤 증설을 완료하여 총 25,000 톤의 생산능력을 확보하였습니다.   


 

북미 사업의 경우,   GM과의 양극재 합작법인(지분율: 당사 85%, GM 15%)을 기반으로 캐나다 퀘백 지역에 IRA 적격한 하이니켈 양극재 생산능력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매출액 별로는 2024년 반기말 기준, 내화물부문 13.2%, 라임화성부문 19.9%, 에너지소재부문 66.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각 부문의 주요 거래처는 내화물부문은 (주)포스코 등, 라임화성부문은 (주)포스코, OCI(주) 등, 에너지소재부문은 이차전지 배터리사인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이며, 2024년 반기말 매출액(연결) 기여도 순 주요 매출처는  LG에너지솔루션 및 얼티엄셀 (LGES와 GM社의 합작법인)(49.5%), 포스코(21.1%) 등 입니다. 

 

2020년 포스코퓨처엠은 OCI와 각각 51%, 49% 지분을 투자해 피앤오케미칼을 설립했는데 최근 피앤오케미칼의 지분 51%를 합작사 OCI에 전량 매각했습니다. 

 

피앤오케미칼은 이차전지 음극재를 만드는 데 활용되는 피치 생산을 준비 중이었으나, 전기차 시장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으로 지난해 671억원의 순손실을 내는 등 수익성이 악화됐기 때문입니다

 

포스코퓨처엠이 지분 매각 대금 500억원과 부채 인도 등을 통해 약 1500억원의 재무 개선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음극재 제조에 필요한 피치 생산을 OCI에 의존할 수 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현대차의 전기차 전용공장이 10월부터 미국 조지아주에서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라 전기차 관련주들이 다시금 랠리를 펼칠 준비를 하는 모습입니다

 

현대차가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보조금을 바디 않아도 미국 전기차 시장 2위를 하고 있는데 보조금을 받을 경우 테슬라의 시장점유율을 상당히 빼앗아 올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이에 따라 국내 전기차배터리 관련주들이 다시금 주가반등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포스코퓨처엠 20240618 삼성증권.pdf
0.55MB
포스코퓨처엠 20240710 한신평.pdf
0.67MB
포스코퓨처엠 실적발표(국문) 2024Q2.pdf
0.9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독일 벤츠 전기차의 화재사건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는데 정부가 지난 2년여 동안 검토만 하면 도입하지 못해 왔던 전기차 안전관리 규제 강화를 이번에는 밀어붙이려는 움직임입니다

 

기존 전기차 완성차 업체들이 값싼 중국산 배터리 채용을 통해 전기차 가격인하 정책을 펴왔는데 안전이 불확실한 중국산 값싼 전기차 배터리를 사용하기 어려워져 전기차 가격인하에 재한이 걸리고 전기차 대중화도 좀 더 시간이 걸리게 되었습니다

 

전기차 캐즘현상으로 전기차 판매율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가격인하는 그나마 판매율을 제고할 수 있는 방법인데 이를 위해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그리고 비상장사인 SK온 전기차배터리 대신에 값싼 중국산 배터리를 억대가 넘는 차량에 채용해 왔는데 이번에 독일 벤츠 전기차 화재로 모델별로 전기차 브랜드 실명제가 공개되고 있습니다

 

현대차와 기아가 가장 먼저 전기차 모델별로 전기차배터리 브랜드를 공개했고 이후 수입차들도 중고차 가격폭락에 하는 수 없이 모델별로 전기차 배터리 브랜드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들이 대거 급등하고 있는데 전기차 소비자들이 전기차를 구매할 때 안전성을 따지면 한국 전기차 배터리를 선호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 전기차에 주로 장착되는 삼원계 배터리는 한국 K배터리 3사의 안전성이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독일 벤츠전기차의 화재를 일으킨 배터리도 중국산 삼원계배터리로 벤츠도 해외언론에 이번 사건이 소개되면서 중국산 사용을 줄여갈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 전기차배터리 3사가 반사이익을 보고 있는데 전기차 배터리가 저가 전기차는 중국산 LFP배터리와 고가 프리미엄 전기차는 K배터리로 양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2차전지 관련주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LG화학

삼성SDI

신흥에스이씨

아모그린텍

일진머티리얼즈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

솔브레인

SKC

브이원텍

엠플러스

후성

천보

만도

코이즈

대주전자재료

두산퓨어셀

솔루스첨단소재

KG케미칼

삼화전기

삼화전자

삼화콘덴서

디에이테크놀로지

상아프론테크

성창오토텍

원익피앤이

피에스텍

상아프론테크

상신이디피

엘앤에프

우수AMS

삼진엘앤디

신성델타테크

씨아이에스

에코프로

현대공업

TCC스틸

피엔티

뉴인텍

세원

한국단자

한온시스템

파워로직스

대보마그네틱

아이티엠반도체

코윈테크

SFA

티에스아이

이노메트리

인텍플러스

필옵틱스

하나기술

에이프로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qlCDr9_BuYQ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가 5G통신장비업체인 서화정보통신에서 중국 게임업체에 인수되어 지금의 사명인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로 바뀌어 이번에 중국 2차전지 핵심소재인 전구체업체 중웨이신소재(CNGR)의 자회사 줌위 홍콩 뉴에너지 테크놀로지(Zoomwe Hong Kong New Energy Technology Co., Ltd., 이하 줌위) 등의 투자를 받아 경영권이 중국 CNGR로 넘어가면서 이제는 2차전지 핵심소재인 전구체 업체로 거듭나게 되었습니다

 

중국 CNGR은 구주를 인수하고 전환사채 인수등으로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 경영권을 확실하게 확보했는데 이는 기존 통신장비 사업과 게임사업을 정리하고 2차전지 핵심소재인 전구체 사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입니다

 

중국 CNGR의 계열사들이 투자한 전환사채는 1년동안 보호예수가 걸려 있는 주식들이라 한 동안 시장에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여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들 지분을 제외할 경우 실제 유통가능 주식수는 약 40% 정도에 불과해 보입니다

 

중국 CNGR 이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를 인수한 것은 미중무역전쟁으로 미국에 전기차를 팔려는 완성차 업체들이 중국산 2차전지 소재에 대한 미국정부의 규제를 우려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를 통해 전구체의 국적을 세탁하려는 의도라고 풀이됩니다

 

이런 우회적인 수법은 이미 사용되고 있고 미국 정부도 용인해 주고 있는 방법으로 2차전지 소재의 마지막 국적을 중국만 아니면 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는 통신장비와 게임 사업에서 벗어나 2차전지 소재인 전구체 업체로 업종이 바뀔 것으로 보이고 이는 실적증가 기대감을 키워 묻지마 매수세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의 최근 주가 움직임은 2차전지 소재인 전구체 업체로서 실적개선 기대감을 선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향후 실적에 따라 추가적인 상승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 CNGR은 포스코퓨처엠과 전구체 사업에서 협력관계를 맺고 있어 확실한 고객을 갖고 하고 있는 사업이라 곧바로 실적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6년전 바이오거품을 경고했던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이 이번에는 2차전지 소재주들을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한 연구원은 19일 국내 외 배터리 셀 상위 10개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와 배터리 소재 국내 시총 상위 8개 업체(에코프로 포스코퓨처엠 엘앤에프 등)의 주가를 비교 분석한 보고서를 냈습니다.



분석 결과 2023년 매출을 기준으로 셀 업체의 주가매출비율(PSR)은 평균 1.1배였지만 배터리 소재 업체들의 PSR은 평균 9.9배에 달했고 PSR은 시가총액을 매출액으로 나눈 것으로 수치가 높을 수록 고평가됐음을 의미합니다.



두 그룹의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수준)이 크게 벌어진 것은 지난해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등 2차전지 소재 업체들의 주가가 단기 급등했기 때문인데 에코프로의 현재 주가는 60만5000원으로 작년 8월 고점 대비 반토막 수준까지 떨어졌지만, 1년 전에 비해선 여전히 3배 이상 높은 상태입니다.



지난 1년간 셀 상위 10개 업체들의 주가는 평균 29% 하락했지만, 소재 상위 8개 업체들은 평균 144% 급등한 상태로 주가 버블을 주장할만 합니다

 

2차전지 소재는 대규모 자본이 투자되야 할 수 있는 사업이라 진입장벽이 존재하고 원재료 가격이 들쑥 날쑥 해 자본력이 있어야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독과점 사업  개념이 있어 주가가 일종에 품절주처럼 움직인 경향이 있습니다

 

전기차배터리 업체보다 소재 업체가 고평가되는 것은 전기차 업체들이 배터리 내재화를 하더라도 소재업체는 필요하기 때문에 전기차배터리 업체들은 전기차 업체들이 내재화를 선언하면 시장을 잃어버리지만 소재업체는 계속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이 안정되어 있다고 평가됩니다

 

전기차 대중화에 배터리셀 업체는 완성차 업체의 하청업체로 전락할 수 있어도 소재업체들은 공급량을 가지고 가격을 조절할 수 있어 수익성을 유지하며 계속사업을 해갈 수 있습니다

 

이런 특성으로 배터리소재업체들의 주가에 버블이 끼어들게 된 것이고 오버슈팅이 길어지면서 버블을 어마어마하게 만들어 버린 것입니다

 

전기차배터리 업체의 주가버블이 거의 꺼졌다는 측면에서 2차전지 소재 업체들의 주가버블도 좀 더 꺼져야 할 때라 생각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전기차배터리 주가버블 20240220_유진투자증권.pdf
0.59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4IRaWvJBvZU?si=Of5_5e1a1QX6v3IB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포스코퓨처엠은 국내 유일의 흑연계 음극재 회사이자 45,000톤/년(2022년)의 Hi-Ni계 양극재 생산 capa를 보유한 국내 유일 음/양극재 소재를 동시 생산 및 납품하는 이차전지 소재사입니다

 

2010년 LS Mtron 음극재 사업부문을 인수합병 하며 음극재사업을 시작하여, 2011년 음극재 세종 공장 준공(1호기, 600톤), 2013년 음극재 공장 1차 증설(2호기, 1,200톤)을 거쳐 2019년 음극재 세종 2-1 공장 준공(20,000톤)까지 총 44,000톤의 capa를 보유하고 있으며, 천연흑연 음극재 제품부터 인조흑연, 실리콘 음극재까지 다양한 기술을 보유, 개발하고 있습니다.

양극재 사업부문은 2019년 포스코ESM 인수를 통해 양극재사업에 진출하여 광양 1,2 단계 준공(30,000톤) 및 광양 3,4 단계 증설(58,000톤/~2022년 준공)을 진행하고 있으며 고용량 Hi-Ni계 NCM을 양산, 최근 NCMA, 전고체 전지용 양극재, Co-free NMx 등 빠르게 변화하는 전기차 시장에 발맞춰 기술개발 및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업부입니다.

최근 미국정부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를 만들면서 포스코퓨처엠도 위기에 직면했는데 양극재의 전단계 물질인 전구체를 중국 화유코발트로부터 공급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년부터는 현재 중국에서 전량 조달하고 있는 수산화리튬을 국산화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더욱 확대할 방침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제너럴모터스(GM)의 합작사인 얼티엄셀즈에 올해부터 13조 원 규모의 하이니켈 양극재를 공급하기 시작하면서 포스코퓨처엠의 2차전지 소재 수출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올해 3분기 누적 포스코퓨처엠의 2차전지 소재(양·음극재) 수출액은 약 2조 49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조 3800억 원 대비 1조 원 이상 급증했는데 내년에는 현대차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전용공장의 가동으로 2차전지 소재 수출이 더 급증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서 중국산 소재원료의 사용을 규제하고 있어 포스코퓨처엠은 소재의 공급망을 중국이외지역으로 확대하고 있는데 리튬은 호주에서 원료를 확보해 우리나라에서 가공하는 방식으로 미국이 IRA법 규제를 회피하고 있습니다

 

미중무역전쟁이 강화될수록 포스코퓨처엠의 공급망 다각화는 빛을 발할 것으로 보이는데 안정적인 2차전지 소재 생산량 증가로 전기차대중화 시대에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의 지난 3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50만원으로 평가되고 있는 실적에 따른 주가 상승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포스코퓨처엠 20231004 삼성증권.pdf
0.57MB
포스코퓨처엠 20231024 대신증권.pdf
0.73MB
23년3분기+포스코퓨처엠+실적발표+(국문).pdf
0.99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포스코그룹이 2024년도 임원 정기인사를 발표했는데 이번 인사는 그룹 7대 핵심사업의 중장기 성장전략에 맞춰 그룹 내 인적역량을 적재적소에 재배치하고 혁신을 도모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고 하지만 포스코그룹 회장에 대한 선임 프로세스가 가동되고 있어 추후 회장선임 이후 대규모 사장단과 임원인사가 예고 되고 있습니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의 임기가 내년 3월 끝나기 때문에 오는 21일 임시 이사회에서 후보 추천위원회 운영을 의결하고 차기 회장 선출을 위한 절차를 본격화하는데, 이변이 없는 한 최 회장도 후보군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낙하산을 내려보내고 싶어하는 눈치지만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연임을 원하고 있어 갈등이 불가피해 보이는데 이러다가 검사출신이 POSCO홀딩스 회장으로 내려 올 수 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어 포스코 내부 반발이 심한 것 같습니다


친환경미래소재 대표기업으로서 포스코그룹의 연구ㆍ개발(R&D) 전략과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김지용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 원장(부사장)을 사장으로 승진시켰는데 현재 그룹 최고기술책임자(CTO)로서 미래성장사업 발굴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탄소 중립 생산체제의 단계적 전환과 그린스틸(Green Steel) 솔루션 강화를 위해 철강 전문가를 중용했는데 이백희 포항제철소장과 이진수 광양제철소장이 각각 안전환경본부장과 생산기술본부장으로 보임했고 후임 포항제철소장에는 포항제철소 공정품질 담당 천시열 부소장, 광양제철소장에는 이동렬 포스코엠텍 사장이 승진해 자리를 옮겼습니다.

 

기술연구원장으로는 김기수 공정연구소장을 내정했고 또한 기술연구원 내 수소환원제철을 담당하던 HyREX추진TF팀을 정규조직인 추진반으로 격상하고, 추진반장으로 배진찬 선강기술그룹장을 보임해 철강 분야 최고 전문가들이 ‘2050 탄소 중립 전략’을 실행하게 됐습니다.

 

그룹의 중점 육성 사업인 이차전지소재 분야에는 전문성과 기술력을 보유한 사업가형 인재를 전진 배치했는데 엄기천 포스코 마케팅전략실장이 포스코퓨처엠 에너지소재사업부장 자리로 부사장 승진해 이동했습니다.



이와 더불어 이차전지소재, 수소, 인공지능(AI) 등 신성장 사업의 사업역량 강화를 위해 외부 핵심인재 영입을 확대하고 있는데 이차전지소재사업에서는 삼성 SDI 기술전략 담당 윤태일 상무를 포스코퓨처엠 기술품질전략실장으로 영입했고, 또한 LG화학에서 영입한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 홍영준 이차전지소재연구소장이 부사장 승진했습니다.



수소ㆍ저탄소 분야에서는 수소, 탄소 포집ㆍ저장(Carbon Capture Storage) 전문가인 김용헌 한국석유공사 기술전략팀장을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 수소저탄소에너지연구소의 임원급 연구위원으로 신규 채용했고 8월에는 미국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및 구글 출신의 임우상 박사를 AI 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영입하는 등 외부 전문가들을 영입해 미래 먹거리를 발굴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태풍 힌남노로 인한 포항제철소 침수피해 복구에 크게 기여한 포항제철소 이영걸 설비기술부장, 서광일 포스코 명장이 각각 임원과 상무보로 승진했습니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내년 3월에 교체된다면 또 다시 사장단과 임원인사가 대규모로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데 윤석열 정부에서 낙하산이 내려온다면 이명박 정부 때와 같은 포스코를 약탈하기 위한 낙하산일 가능성이 높아 또 다시 포스코그룹이 만신창이가 될 것 같습니다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시절 포스코그룹은 내부 유보금을 해외자원개발 명목으로 다 날려 버렸는데 노무현 정부 시절 35개 계약사들이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를 거치며 70개까지 급증했다가 대부분 파산하거나 합병하며 사라져 내부유보금만 날렸다는 비난이 내부에서 나왔는데 대부분 해외로 빠져나간 자금들이라 추적이 어려워 횡령 배임 혐의에 대해 윤석열 검찰이 수사를 하지 않아 못 밝혀냈습니다

 

이런 전후 사정을 잘 알고 있는 윤석열 정부는 또 다시 포스코그룹을 약탈하려 낙하산을 내려보내려 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코그룹의 인사는 내년 회장 선임에 맞춰 최소한의 규모로 이뤄진 것으로 평가되지만 포스코를 지킬 수 있는 인력배치를 해 두었지만 회장이 교체될 경우 대부분 교체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낙하산은 포스코 경영을 잘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포스코 내부 유보금을 빼먹는데 목적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투자대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워런버핏 포스코 투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ZaBKUEdPjQU?si=SYpXqXommGzndOzJ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EG는 전기차와 가전제품 모터의 자석부품 원료로 사용되는 고순도 산화철을 생산하고 있는데 산회수 설비의 설계 및 시공, 운전능력을 모두 겸비하고 있는 세계 유일의 산화철 전문업체로서 고급산화철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

EG에 흡수합병된 자회사 EG포텍과 EG테크는 포스코 산화철 생산 라인 전체에 대한 운전 및 정비 업무를 용역 관리하고 있습니다

 

EG의 주요 협력사인  포스코퓨처엠이 2030년 매출 43조원, 양극재 생산 100만t 계획을 발표하면서 EG가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투자자들의 기대감에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 모습입니다

 

포스코퓨처엠은 2030년 기준 양극재 국내 생산 69만5000t, 북미·유럽 생산 24만t, 중국·인도네시아 포함 아시아 6만5000t 생산 목표를 세웠고 대형 고객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NCM(73만t), NCA(12만t), LFP·하이망간 등(15만t) 등으로 제품을 다각화할 방침이고 음극재의 경우 탈중국 공급망을 구축하고 북미 현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특히 LFP배터리에 산화철이 주성분으로 들어가면서 EG가 산화철 세계 1위 기업ㅇ리라는 점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지난 번 주가가 급등했을 때는 중국이 희토류 자석소재의 수출규제에 나서면서 이를 대체하는 산화철을 이용한 페라이트자석이 부각된 점이 주요 호재가 되기도 했습니다

 

EG의 산화철이 전기차에 있어중요 소재로 활용되고 있어 EG의 실적호전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다만 올 해 2분기 EG의 실적은 적자를 기록하며 시장참여자들을 실망시키기도 했는데 이제 부실을 다 털어냈기 때문에 실적호전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8월 11일 MSIC 지수 종목교체에 코스닥 황제주에 등극한 에코프로가 편입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인덱스펀드를 중심으로 지수왜곡을 막기 위해 편입량을 늘리고 있는 가운데 2차전지에 대한 공매도 세력들이 강제로 주식상환을 당하는 숏스퀴즈와 자발적으로 공매도 포지션을 정리하는 숏커버링이 한꺼번에 나타나고 있는 모습입니다

 

에코프로가 2차전지 대장주로 등극해 시장을 견인하고 있고 포스코스룹이 2차전지 소재를 주력인 철강만큼 키우려 대대적으로 투자하고 있어 2차전지 소재 분야가 전기차 대중화 추세에 힘입어 실적을 늘려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기존에 없던 시장이 생기는 것이라 상장된 2차전지 소재업체들은 신고가 행진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미래수익을 현재로 끌고와 주가에 선반영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미국 정부가 공격적으로 전기차에 대한 지원금을 뿌리고 있고 이는 전기차에 대한 일자리 증가와 경기부양에 성공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여기다 글로벌 전기차 1위였던 테슬라가 공격적으로 가격을 인하하면서 전기차 대중화가 성큼 다가온 모습입니다

 

31일 에코프로는 9.33% 오른 120만7000원에 마감했는데 2거래일간 22.5% 오르며 지난 26~27일 낙폭을 대부분 회복했다.

 

이날 에코프로비엠(2.82%), POSCO홀딩스(3.72%), 포스코퓨처엠(3.33%) 등도 강세를 보였고 금양은 18.64% 오르며 종가 기준 최고가를 경신했는데 이제는 진짜 2차전지 소재업체와 머니게임 업체를 구분할 줄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금양은 2차전지 소재 관련 해외광산 개발과 호재성 재료를 이용해 주가급등을 유도하고 있고 실제로 주가가 급등했을 때 자사주 매도를 통해 상당한 현금을 손에 쥐기도 해 실제로 2차전지 사업을 통해 돈을 벌기 보다는 2차전지 사업을 한다는 소문을 통해 주식을 팔아 돈을 벌고 있는 모습입니다

 

금양은 2차전지 소재 사업을 한다고 부산시와 투자협약을 체결하고 기장산업단지 부지를 매입하기도 했는데 이런 산단부지 투지는 일종의 부동산투기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부산엑스포 유치 시 시세차익을 얻을 수도 있는 투자행위이기도 합니다

 

2차전지 소재 관련주들 사이에서도 이제는 진짜와 가짜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 2거래일 동안 급등락을 반복하며 하락세를 보인 이차전지주가 3거래일 만에 반등하고 있습니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37분 기준 에코프로는 전 거래일 대비 1.02% 오른 99만4000원에 거래중인데 장중 5.99%급등해 1,044,000원을 찍기도 했습니다

 

에코프로비엠도 전 거래일 대비 1.20% 오른 38만1000원에 거래되고 있는데 개장 초 5.05% 급등한 395,500원을 찍기도 했습니다

 

  
포스코그룹주도 강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 거래일 대비 6.91% 오른 7만1200원에 거래되고 있는데 장초반 14.26% 급등한 76,100원에 거래되기도 했습니다

 

포스코홀딩스와 포스코퓨처엠 전 거래일 대비 각각 0.34%, 0.51% 상승 중에 있습니다.

 

이외에도 금양은 전일 대비 5.42% 올랐고, 엘앤에프는 하락반전하고 말았습니다.

 


이차전지 테마로 주목받은 LS그룹주 중에서 LS네트웍스는 이날도 장 초반 28.93% 이상 급등하며 4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상승분을 반납하고 있습니다

 

2차전지 관련주 중에 금양같이 신규사업으로 뛰어든 업체도 있지만 대부분은 대기업인 포스코그룹과 LS그룹이 미래먹거리로 육성하는 신규사업으로 사업실체가 있는 기업들입니다

 

대부분 시장내 인기 테마를 이용한 머니게임은 주인이 여러번 바뀐 중소상장사를 이용해 사명변경과 유상증자와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을 이용해 시장 내 자금을 조달하는 식으로 자금유치를 목적으로 신규사업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포스코그룹과 LS그룹 그리고 에코프로그룹은 사업실체가 있는 기업들이라 실적을 확인하며 주가의 방향성을 정해 갈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들이 실수하는 것은 실적을 보지 않고 지금 당장 빨간색 장대양봉을 보고 뛰어들기 때문에 단기 상투에 물리는 것으로 주가는 결국 실적을 선반영하는 것이라 실적이 좋아질 때 먼저 오르고 실적이 나빠지기 전에 먼저 하락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현재 2차전지 소재 종목들이라고 시장내 관심이 많은 대기업 계열사들은 실체가 있는 사업을 한다는 점에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2차전지 대형주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

포스코홀딩스

포스코퓨처엠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DX

포스코엠텍

LS

LS ELECTRIC

LS네트웍스

엘앤에프

천보

코스모신소재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1oXYW5tC_i8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포스코퓨처엠은 국내 유일의 흑연계 음극재 회사이자 45,000톤/년(2022년)의 Hi-Ni계 양극재 생산 capa를 보유한 국내 유일 음/양극재 소재를 동시 생산 및 납품하는 이차전지 소재사입니다

 

2010년 LS Mtron 음극재 사업부문을 인수합병 하며 음극재사업을 시작하여, 2011년 음극재 세종 공장 준공(1호기, 600톤), 2013년 음극재 공장 1차 증설(2호기, 1,200톤)을 거쳐 2019년 음극재 세종 2-1 공장 준공(20,000톤)까지 총 44,000톤의 capa를 보유하고 있으며, 천연흑연 음극재 제품부터 인조흑연, 실리콘 음극재까지 다양한 기술을 보유, 개발하고 있습니다.

 

양극재 사업부문은 2019년 포스코ESM 인수를 통해 양극재사업에 진출하여 광양 1,2 단계 준공(30,000톤) 및 광양 3,4 단계 증설(58,000톤/~2022년 준공)을 진행하고 있으며 고용량 Hi-Ni계 NCM을 양산, 최근 NCMA, 전고체 전지용 양극재, Co-free NMx 등 빠르게 변화하는 전기차 시장에 발맞춰 기술개발 및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업부입니다.

 

최근 미국정부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를 만들면서 포스코퓨처엠도 위기에 직면했는데 양극재의 전단계 물질인 전구체를 중국 화유코발트로부터 공급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IRA법은 중국의 기술력까진 제한하지 않고 있는 점을 활용해 포스코퓨처엠은 화유코발트와 합작으로 한국에 폐배터리 재활용업체인 포스코HY클린메탈을 설립해 현재 광양에 공장을 건설 중으로, 최근 연간 1.2만t 규모의 블랙파우더를 생산할 수 있는 1공장을 가동했습니다. 

 

지난 번 POSCO홀딩스에서 그룹 이차전지 소재사업 성장 비전과 목표를 발표하는 '제2회 포스코그룹 이차전지 소재사업 밸류데이'에서 포스코 그룹은 2030년 리튬 13조6000억 원, 니켈 3조8000억 원, 양극재 36조2000억 원, 음극재 5조2000억 원 등 총 62조원의 매출 목표를 발표했고 포스코퓨처엠이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에너지전환의 시대에 에너지저장장치ESS의 보급에 포스코퓨처엠의 시장도 성장하고 있어 실적호전은 꾸준히 늘어갈 것으로 보이고 국내외 2차전지 업체의 스마트팩토리 건설이 늘어나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공급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포스코퓨처엠의 1분기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63만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현주가대비 추가 상승 여력이 있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포스코퓨처엠_2Q23Re 20230725 하나증권.pdf
0.55MB
포스코퓨처엠 2023Q1 실적발표.pdf
0.82MB
포스코퓨처엠 20230619 유안타증권.pdf
0.78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