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BrGnt8wkkFg

안녕하세요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창원에 위치한 두산에너빌리티를 방문, 원전 생산현장을 둘러보고 원전 협력업체들과 간담회를 가졌는데 지난 4월 당선인 시절 원전 중소업체인 진영 TBX를 방문해 6개 협력업체 대표들과 간담회를 가지며 '원전산업을 직접 챙길 것이며, 다시 방문하겠다'고 했던 약속을 지킨 것입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날 자리에는 20개 협력업체 대표들이 참석했는데 원전업계 대표 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도 참석, 원전산업 대기업·중소기업 상생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는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도 동행해 원전 협력업체들이 지속적으로 요청해왔던 일감 창출, 금융지원 및 시장 확대 방안에 대한 지원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간담회에 앞서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 공장을 방문했는데 건설이 중단된 신한울 3, 4호기 원자로 주단 소재, 현재 제작이 진행되고 있는 마지막 공정인 신고리 6호기 원자로 헤드 등과 1만7000톤 규모의 프레스 설비가 있는 단조 공장을 둘러봤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이 두 달 만에 원전산업 현장을 직접 찾은 것"이라며 "다시 찾겠다는 약속, 원전을 직접 챙기겠다는 약속과 원전 생태계를 복원해 원전 최강국을 만들겠다는 약속을 지키는 데 행보의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원전 생태계 경쟁력 강화 및 원전 수출을 통해 원전 최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를 실현하는 과정 중의 하나라는 셜명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원전산업 경쟁력 강화 TF'를 구성·운영하며 관련 부처 및 기관들과 원전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들을 모색 중입니다.

 

탈원전정책백지화는 2050탄소제로 정책의 반대방향으로 우리나라를 끌고가는 것으로 글로벌 흐름과도 맞지 않은 정책입니다

 

그럼에도 윤석열 정부가 탈원전정책백지화로 가는 것은 이익을 챙길 수 있는 기회가 있기 때문이라는 의문이 드는데 우리 세금으로 새로운 원전을 건설할 경우 몇 조원대의 세금을 낭비하게 되고 장기적으로 핵폐기물 처리에 상당한 비용이 들어가 결코 원전건설이 저렴하지 않은 더러운 에너지라는 사실을 알아야 하는 것입니다

 

기존에 완공된 원전들도 이를 건설한 몇몇 재벌계열 건설사들의 부실시공으로 안전보강에만 1년여의 시간을 허비했고 비용도 추가로 들어갔는데 그 사이 전력예비율은 두자리수의 여유를 보였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가정용 가전들은 전기효율이 좋아 예전보다 적은 전력을 사용하고 있어 기존의 발전소로 충분히 커버가 가능할 뿐 아니라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 같은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늘고 있어 청정에너지와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어 추가적인 원전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최근 여름 폭염에 대한 기사가 늘면서 전기부족에 대한 보도량이 늘어나고 있는데 결국 그 보도를 하는 언론사의 광고주가 원전건설의 계열사를 갖고 있는 재벌이 광고주이기 때문일 겁니다

 

이유야 어찌되었던 투자자들은 학습효과가 되어 있어 원전관련주에 저가매수에 나서고 있는 모습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윤석열 정부의 탈원전정책백지화를 통해 최소 2조원대 수주를 예고하고 있어 윤석열 대통령이 환영받는 것은 아마도 당연해 보이는데 그래서 또 가나 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원전관련주

삼성물산

현대건설

GS건설

한국전력

한전KPS

한전기술

한전산업

우진

HRS

대창스틸

대창솔루션

두산에너빌리티

두산

HSD엔진

우리기술

보성파워텍

비에이치아이

서전기전

오르비텍

일진파워

에너토크

한신기계

비엠티

휴림로봇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7ia6yqca8RM

안녕하세요

탈원전 정책 폐기에 나선 윤석열 정부가 '지속가능한' 원자력 활용 방안 마련에 천문학적 연구개발(R&D)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기술개발사업'과 '원전해체 경쟁력 강화 기술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고 1일 밝혔습니다.



과기정통부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내년부터 2028년까지 총 3992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2030년대 세계 소형모듈원자로 시장 진출을 위한 차세대 SMR 노형 개발을 추진하게 될 예정인데 소형모듈원자로란 기존 경수형 대형원전(1,000Mw) 대비 용량을 줄여(300MW 이하) 안전성을 높이면서도 모듈형 구성을 통해 경제성을 높인 소형원자로를 말합니다.



또 산업부는 원전해체 경쟁력 강화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내년부터 2030년까지 총 3482억원을 들여 현재 영구정지 중인 고리 1호기와 월성 1호기 해체를 위한 현장적용 및 실·검증 기술개발과 인프라 구축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기술개발사업'은 원자로를 소형화해 사고가 발생해도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구상으로 "후쿠시마원전"과 같은 대형원전 사고의 피해가 광범위하게 일어나는데 반해 소형원자로는 피해가 국지적일 수 있다는 생각에서 시도되는 것입니다

 

기존 개발한 원전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변명이지만 솔질기 원전 크기의 차이가 있어도 방사능오염은 똑같다는 생각을 하는 것이 맞아 보입니다

 

서방세계가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로 러시아산 석유와 천연가스를 금수조치하면서 이에 대한 임시방편으로 원전의존도를 늘리는 것을 윤석열 정부에서는 원전을 청정에너지로 포장하여 본격적으로 우리 세금을 투자하려는 멍청한 짓을 하고 있는데 이명박정부와 박근혜 정부시절에는 무분별하게 원전을 건설하여 우리 세금 도둑질을 하더니 이제는 소형원전을 수출하겠다고 연구개발비용으로 원전건설비만큼을 도둑질하려는 것 같습니다

 

의도가 무엇이든 윤석열 정부에서 투자를 하기로 한 이상 원전관련주들이 수혜를 볼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로 원전수출과 연결될 수 있을 지는 두고봐야 할 사안으로 원전수출이 일반적인 상품교역과 다른 건설 후 사고에 대해서도 무한책임을 져야 할 사안으로 두고두고 우리 세금도둑질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둬야 합니다

 

시장참여자들은 소형원전에 주목하지만 앞으로의 시장은 원전해체가 더 큰 시장으로 선진국들은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 같은 재생에너지에 투자를 늘리면서 탄소제로정책을 완성해가고 있고 이에 따라 기존 원전을 폐로해 가고 있어 원전폐로 시장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기존 국민세금을 보조금으로 받으며 경쟁력을 이어가던 화석연료의 기득권이 점점 무너지고 있음을 기억하며 장기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는 윤석열 정부 5년간 원전에 대한 투자를 늘려 우리 세금도둑질이이어질 수 있어 관련 종목들이 경기방어주 역할을 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원전관련주

삼성물산

현대건설

GS건설

한국전력

한전KPS

한전기술

한전산업

우진

HRS

대창스틸

대창솔루션

두산에너빌리티

두산

HSD엔진

우리기술

보성파워텍

비에이치아이

서전기전

오르비텍

일진파워

에너토크

한신기계

비엠티

휴림로봇

원전시장20211021메리츠증권.pdf
0.73MB
유틸리티 20211130 메리츠증권.pdf
0.90MB
유틸리티 20220208 이베스트증권.pdf
4.52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vceds5QeBk4

안녕하세요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첫 번째 한미정상회담에서 원전 협력도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입니다.

 


19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이번 정상회담을 앞두고 원전시장 공동진출, 소형모듈원전(SMR) 공동개발 등에 관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국내언론과의 통화에서 "해외 원전시장 공동진출과 SMR 공동개발 협력 등을 포함한 원전 분야 의제를 미국 측과 조율하고 있다"며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이 최종적으로 입장을 정리한 다음 공동선언문에 포함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한미 원자력고위급위원회(HLBC) 재가동 문제도 의제로 다뤄질 것"이라며 "미국 원전 정책과 정부의 원전 정책 방향이 다르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윤석열 정부는 '탈원전 정책' 폐기와 원자력 산업 생태계 강화를 국정과제 중 하나로 제시했는데 문재인 정부와 차별화를 두는 지점입니다.



그 일환으로 SMR을 주목하고 있는데 500㎿(메가와트)급 이하의 원전(원자력 발전소)인 SMR은 탄소 배출량이 적은데 반해 발전 효율이 높고,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이지만 원자력발전이라는 한계를 갖고 있는 차선책으로 선호되고 있는 기술입니다.

 

또한 한미 원전 동맹을 강화하고, 원전 수출 추진단을 신설해 해외 원전 수주 활동도 펼치겠다는 계획은 이미 문재인 정부에서 조바이든 미국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에서 합의를 한 부분으로 해외원전시장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독주를 제동하기 위한 한미원전동맹을 결성한 것입니다.

 

이는 러시아의 석유와 천연가스 금수조치를 위한 대체에너지로 원전이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우리나라의 SMR을 서방에 밀어주겠다는 의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 원전은 기본 설계가 미국산 설계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러시아와 중국산 원전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고 최근까지 원전건설을 해온 서방국 중 가장 많은 원전 건설 경험을 갖고 있어 경쟁력이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우리 증시에도 이런 기대감을 주가에 반영하는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원전관련주

삼성물산

현대건설

GS건설

한국전력

한전KPS

한전기술

한전산업

우진

HRS

대창스틸

대창솔루션

두산에너빌리티

두산

HSD엔진

우리기술

보성파워텍

비에이치아이

서전기전

오르비텍

일진파워

에너토크

한신기계

비엠티

휴림로봇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LS3Lix_8FgE

안녕하세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3일 새 정부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할 국정과제를 발표하는 가운데 원전 정책에 대한 기대감에 원전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3일 오전 9시 20분 현재 우진은 전거래일대비 2260원(23.20%) 오른 1만2000원에 거래되고 있고 같은시각 에너토크는 14.8% 급등하고 있고 서전기전 9.44%, 휴림로봇도 8.46%, 우리기술도 5.18% 강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날 발표하는 국정과제 최종안은 '국가비전' 아래 6대 '국정목표'를 설정하고 그 아래 '국민께 드리는 약속' 20개를 배치했으며, 이를 구체화한 '국정과제' 110개를 정리한 4단 구조로 구성됐는데 인수위는 이날 윤 당선인이 참석한 가운데 전체회의를 열어 국정과제 최종안을 보고하고,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을 찾아 대국민 발표를 할 예정입니다.



6대 국정목표는 ▲ 상식이 회복된 반듯한 나라 ▲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역동적 경제 ▲ 따뜻한 동행, 모두가 행복한 나라 ▲ 자율과 창의로 만드는 담대한 미래 ▲ 자유·평화·번영에 기여하는 글로벌 중추국가 ▲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입니다.



국정과제에 주요하게 담길 내용은 코로나19 경제위기와 일자리 문제 해결, 부동산 가격 안정화 대책, 미래 먹거리 육성, 지역 균형발전 의제 등이 될 것으로 보이고 이외에 과학기술과 교육개혁, 원전 등 에너지 정책 등도 다수 포함될 전망입니다.

 

원래 대통령직 인수위가 끝날 때 뭔가 거창한 청사진들을 내걸고 마치는 것이라 여기에 나온 것들이 실제로 이뤄진다는 기대감은 별로 없습니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학습효과가 되어 있어 여기에 언급된 정책들의 수혜주 찾기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특히 원전관련주들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정책백지화를 윤석열 정부가차별화로 들고 나왔고 재벌대기업들이 원전건설에 대한 요구가 크기 때문에 과거 친이계 중심의 윤핵관들은 팔자고칠 기회로 생각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기본적으로 전 세계는 탈원전정책을 큰 방향으로 잡아가고 있고 현재의 고유가에 마지 못해 기존 원전의 발전을 연장하는 정도인데 윤석열 정부는 필요하지도 않은 전기를 생산하려고 원전을 신규로 건설할 것 같아 우려스럽기까지 합니다

 

여기다 더해 노후원전의 인위적인 수명연장은 경제성도 없고 사고 위험만 높이는 것이라 저러다 사고치는 것이 아닌가 걱정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같은 좁은 국토에서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전국적인 사고로 발전할 수 있고 국내 생산 제품에 대한 방사능 오염문제로 이미지가 망가질 수 있어 경제 전반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하여간 투자자들은 학습효과가 되어 있어 원전관련주에 대해 묻지마 매수로 대응하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원전관련주

삼성물산

현대건설

GS건설

한국전력

한전KPS

한전기술

한전산업

우진

HRS

대창스틸

대창솔루션

두산중공업

두산

HSD엔진

우리기술

보성파워텍

비에이치아이

서전기전

오르비텍

일진파워

에너토크

한신기계

비엠티

휴림로봇

220503 윤석열정부 110대 국정과제[인수위최종].pdf
1.99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E8A_irhl3kc

안녕하세요

향후 5년간 계속운전을 신청할 수 있는 원전이 기존 10기에서 18기로 늘어난다는 소식에 원전 관련 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1일 오전 10시 31분 기준 한신기계는 전일 대비 28.36% 급등한 1만2900원에 거래되고 있고 한전산업은 전날보다 8.81% 오른 1만4200원, 한전기술은 5.48% 상승한 7만8900원에 거래되고 입니다.

 

이 외에도 보성파워텍(21.56%), 우리기술(11.79%), 일진파워(13.22%), 에너토크(10.74%), 한전KPS(3.29%)는 일제히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방사능 관리 연관 특허 30여 개를 보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원전 전문 기업인 오르비텍도 6.32% 오른 723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원전 재가동과 노후원전 수명연장 소식에 관련주가 부각되면서 상승세를 타고 있는 데 윤석열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는 전날 원전 계속 운전 신청 시기를 현행 설계수명을 기준으로 5~10년을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는데 이에 따라 윤석열 정부 임기 내 계속운전을 결정할 수 있는 원전도 기존 10기에서 18기로 늘어나게되고 현재 국내 원전 24기 중 4분의 3에 이르는 원전의 수명을 10년 늘릴 수 있게 된 셈입니다.

 

문제는 노후원전은 말 그대로 노후원전으로 수명연장을 위해 안전투자액이매년 증하가고 있어 발전경제성도 떨어지고 사고 위험만 높아진다는 것으로 자칫 원전사고가 대규모로 발생할 경우 돌이킬 수 없다는 점에서 소탐대실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것은 전력이 부족하지 않는 상황에서 몇 조원씩이나 돈을 들여 신규 원전건설이 어렵자 기존 원전에 대한 안전투자를 늘려 노후원전을 억지로 수명연장을 하겠다고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노후원전의 안전보강에 들어가는 자금도 천문학적인 단위인데 자칫 사고가 날 경우 돌이킬 수 없기 때문에 안전에 투자를 많이 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우리는 규제해소 명분을 내세운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에서 대규모 참사를 경험해 보았습니다

 

이번 조치로 잠재적으로 원전에서 대규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더 올라가게 생겼습니다

 

누군가는 위험을 경고할 필요가 있어 기록으로 남겨 둡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원전관련주

삼성물산

현대건설

GS건설

한국전력

한전KPS

한전기술

한전산업

우진

HRS

대창스틸

대창솔루션

두산중공업

두산

HSD엔진

우리기술

보성파워텍

비에이치아이

서전기전

오르비텍

일진파워

에너토크

한신기계

비엠티

휴림로봇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DDgQUv9hNoU 

안녕하세요

유럽연합(EU)의 원자력 발전 '녹색 분류 체계'(그린 택소노미·Green Taxonomy) 포함 여부가 이르면 오는 22일 결정되는 가운데 원전산업 부활 기대감에 한전기술의 주가가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20일 장 종료 현재 한전기술은 전거래일대비 7800원(8.58%) 오른 9만87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EU는 '어떤 경제 활동이 지속가능한가'를 분류하는 'EU 택소노미' 작업을 진행해왔는데 투자자들이 그린워싱에 속지 않도록 진짜 친환경적인 경제 활동에 일종의 ‘그린 라벨’을 붙이는 걸 말 합니다.




EU는 지난해 6월 택소노미가 지향하는 6가지 목표를 발표했는데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 적응 ▲물과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사용 및 보호 ▲순환경제로의 전환 ▲오염 방지 ▲생물다양성 회복이 그것인데 그러나 각론에서 회원국이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한 몇 가지가 있었는데, 원전과 천연가스가 그것입니다. 




EU가 국제 기후변화 정책을 주도하는 만큼 원전과 천연가스의 택소노미 포함 여부는 국제사회의 이목을 끄는데 이에 원전과 가스의 택소노미 포함을 둘러싼 치열한 여론전과 산업계 로비로 거듭 결정을 미뤄온 EU는 이르면 22일 늦어도 이달 중에는 논의를 매듭짓겠단 계획입니다.




앞서 미국이 원전을 무공해 전력에 넣은 데 이어 유럽에서도 원전을 지속가능한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분류할 경우 그동안 위축됐던 원전 산업이 전 세계적으로 부활하며 원전 강국인 국내 원전업계도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되는데 미국은 소형원전발전을 다시 재개할 명분을 쌓고 있는 것입니다  




한편 한전기술은 원자력 중심의 세계적 발전소 설계 업체로 지난 5년간 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따른 국내 원전 수주 감소로 외형 축소가 지속됐으나 EU 택소노미를 앞두고 원전산업 활성화 기대감에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한미원전동맹으로 소형원전수출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예상되는데 국내 대기업이 해외에 대규모 공장을 건설하는데 여기에 필요한 전력을 우리가 소형원전을 수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 겁니다

 

동유럽지역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의 국빈방문은 이런 포석을 갖고 있는 방문이기도 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원전관련주

삼성물산

현대건설

한국전력

한전KPS

한전기술

한전산업

우진

HRS

대창스틸

두산중공업

두산

HSD엔진

우리기술

보성파워텍

비에이치아이

서전기전

일진파워

에너토크

한신기계

비엠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우리나라가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과 관련해 체코와 기술 협력을 추진한다는 소식에 원전 관련주들이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한국은 8조 원 규모의 체코 원자력 발전소 수주에 참여하고 있어 SMR 기술 협력이 성사되면 수주 경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감에 따른 것입니다.

25일 오후 2시 35분 현재 한전산업은 전일대비 400원(3.46%) 상승한 1만1950원에 거래 중이고 원전 전기부분 최고 등급인 Q-class 인증을 보유하고 있는 서전기전 0.96%, 보성파워텍도 6.23%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정부관계자가 “체코가 SMR 도입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한국 기관과의 기술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며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다목적 소형 원전 스마트(SMART)가 체코 SMR 사업의 최종 후보군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안다”고 했다고 국내 언론사의 보도에 영향받은 모습입니다.

현재 한국 외에 미국과 프랑스, 영국 등의 SMR이 후보군에 오른 것으로 전해졌는데 체코 정부는 곧 이들 국가 기관에 SMR 도입을 위한 정보제공요청서(RFI)를 발송할 예정입니다.

SMR은 기존 원전보다 안전성이 강화되고 입지와 출력에서 유연성도 갖춰 온실가스 감축 계획의 핵심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체코는 2040년까지 원전 발전 비중을 현재 30%대에서 최대 58%까지 확대하기로 했고 이를 위해 두코바니 지역에 1000~1200메가와트(㎿)급 원전 1기를 짓는 대형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사업비는 8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현재 한수원과 미국 웨스팅하우스, 프랑스 EDF 등이 경쟁하고 있습니다.

이 매체는 한국이 체코와 SMR 기술 협업을 하면 두코바니 원전 수주 경쟁에서도 우위를 점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해 주식시장에서는 원전 관련주들에 매수세가 몰리며 상승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동유럽 국가들이 EU에 가입하면서 SoC 기반시설들을 갖추며 우리나라와 일본 독일 등의 공장을 유치하고 있는데 이들 나라에는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우리나라와 일본은 EU에 생산과 수출 교두보를 설치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여기서 문제는 대규모 공장에 있어 대규모 전력이 필요한 것인데 이를 위해 소형모듈원자로가 필요해 지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현대차와 기아차 삼성전자 등의 대규모 공장을 유치하려는 동유럽 국가들이 SMR선정에서도 우리나라산 SMR을 선정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원전관련주

삼성물산

현대건설

한국전력

한전KPS

한전기술

한전산업

우진

대창스틸

두산중공업

두산

두산엔진

우리기술

보성파워텍

비에이치아이

서전기전

일진파워

에너토크

한신기계

비엠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한국과 미국이 원전 산업에 협력하기로 한 가운데 한국의 원전 관련주들을 다시 평가할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 외국계 증권사에서 나왔고 이에 두산중공업, 한전KPS 등 원전 관련주들은 동반 강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7일 증권가에 따르면 이날 홍콩계 증권사인 CLSA는 위축될 위험에 있던 한국 원전 산업에 대해 긍정적인 부분을 보기 시작했다는 내용의 리포트를 내놓았는데 이날 원전주들은 외국계의 낙관론이 호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26일 한전KPS는 전 거래일 대비 9.56% 오른 4만 4,700원에 거래를 끝냈는데 7거래일 연속 강세를 보인 두산중공업도 이날 9.52%의 오름폭을 기록했으며 두산도 장중 52주 신고가를 썼습니다.

국내 원전 비중은 올해 기준 18.2% 수준이지만 오는 2034년 10.1%로 감축한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고 이에 국내에서 신규 핵 발전소 건설을 중단하는 등 조치가 내려졌고 관련 산업이 퇴보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었지만 CLSA가 관점을 바꾸게 된 계기는 이번 한미정상회담입니다.

이번 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해외 원전 시장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약속한 바 있는데 CLSA는 “이번 회담 결과로 한국 기업들이 실질적 수혜를 누릴 수 있는 핵 발전소 건설 계약 등이 성사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고 분석했습니다.

CLSA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노력에도 주목했는데 SMR은 기존의 핵 발전 설비보다 크기가 작고 안전성을 높인 것으로 알려져 ‘스마트 원전’으로도 불리는 시설인데 국내에서 한국수력원자력이 ‘혁신형 SMR’ 개발에 나서고 있고 산업통상자원부도 연구개발(R&D)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세우자 나름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 모습입니다.

관련 주로는 삼성물산, 현대건설, 한전KPS, 두산 등을 꼽았는데 한전KPS와 두산의 경우 각각 목표 주가를 4만 2,000원에서 4만 5,000원으로, 6만 5,000원에서 8만 5,000원으로 높였지만 투자 의견 ‘매수’는 삼성물산에만 적용했습니다.

CLSA는 “두산은 그룹의 구조 개선 노력과 두산중공업의 가치를 반영했다”며 “한전KPS는 핵 발전 관련 현실적으로 선택 가능한 대안으로 목표 주가를 올린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미원전동맹을 맺은 것은 글로벌 원전시장에서 러시아와 중국이 낮은 가격으로 원전사업을 싹쓸이하고 있는데 위기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인데 한국형 원전의 원천기술이 미국형 원전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와 미국의 원전기업들이 공동수주에 나설 경우 안전성과 효율성 면에서 중국과 러시아 기업을 압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경우 발전소가 남아돌아 지금도 성수기인 한 여음이나 한 겨울에 가동을 중단한 발전소가 많을만큼 발전소 수요가 없지만 대규모 공장이 이전해 가고 있는 개발도산국에서는 전력부족에 시달리며 기업유치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어 원전에 대한 수요가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이는 우리 기업들이 대규모 공장을 해외에 건설하는 투자를 하는데 있어 전력문제는 해결해야 할 문제였는데 여기에 우리 한국형 원전이 수출될 수 있는 것입니다

특히 미국도 이런 우리나라 기업들의 해외진출과 이에 따른 전력수요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우리와 원전동맹을 맺기를 희망해 왔던 것입니다

국내에서 탈원전정책으로 재생에너지가 대규모 발전소의 전력생산을 점점 대체해 가고 있고 기존 발전소로도 국내 전력량을 커버할 수 있을만큼 무분별하게 발전소를 건설하며 재정을 낭비하고 재벌들 배만 불린 상황이라 이제는 부실공사로 원전안전에 우려를 씻고 원전사고 위험을 제로로 줄이는 탈원전정책을 펼쳐나가야 할 상황이라 생각합니다

일본 도쿄전력도 동일본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나기 전에는 결코 원전사고는 일본에서 일어날 수 없다고 큰소리 쳤었지만 그 결과는 비참함의 연속이고 국민의힘 집권기인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시절의 무분별한 원전건설과 재벌대기업의 탐욕에서 비롯된 부실시공으로 완공하고도 가동을 위한 안전점검으로 시간만 죽이는 원전들이 많은 상황입니다

국민의힘 집권기의 원전건설과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은 재벌대기업의 대규모 공장의 전력가격을 낮추기 위한 필요도 있었지만 기본적으로 2008년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에 재벌대기업들에게 국민 세금으로 지원금을 주기 위해 무분별하게 발전소를 지어댄 것도 주요한 이유가 되었습니다

지난 몇년동안 전력피크인 한여름과 한 겨울동안 블랙아웃이 되었다는 소릴 들어본 적도 없고 전력여유가 두 자릿수에 달하는 것은 얼마나 국민의힘 집권기의 전력생산계획이 주먹구구식이었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한미원전동맹으로 한국형원전의 수출길이 더 크게 열릴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원전기술의 사장이나 쇠퇴를 걱정할 일이 없을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원전관련주

#삼성물산

#현대건설

#한국전력

#한전KPS

#한전기술

#우진

#대창스틸

#두산중공업

#두산

#두산엔진

#우리기술

#보성파워텍

#비에이치아이

#일진파워

#에너토크

#한신기계

#비엠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