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마트가 오는 8일까지 한우를 비롯해 삼겹살, 목심 등 인기 축산물을 최대 50% 할인 판매하고 롯데마트는 ‘물가안정 참치 모둠회’로 맞불을 놨는데 시세보다 40%가량 싸게 판매 중이며 고(高)물가로 모객에 어려움을 겪자 중간 단계를 없애 가격을 파격적으로 낮춘 ‘미끼’ 상품을 잇따라 선보이고 있습니다.
요즘 대형마트는 장바구니 물가를 낮추는 데 올인하고 있는데 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고육가(高肉價) 시대 극복’을 내걸고, 브랜드 한우를 행사카드로 결제 시 40% 할인해주는 행사를 2일부터 시작했고 수입산 양념 LA갈비(1㎏)는 신세계 포인트 적립을 조건으로 1만원 할인한 1만9980원에 판매하고 있고 3~6일엔 한우 등심, 미국산 프라임 윗등심살 등을 50% 파격 할인하는 행사도 준비했습니다.
롯데마트는 생선회로 고객 잡기에 나섰는데 8일까지 황다랑어 뱃살과 속살로 구성된 참치모둠회(300g, 원양산)를 시세보다 40% 이상 저렴한 1만5800원에 판매하는데 롯데마트는 이번 행사를 위해 동원산업이 산지에서 어획한 황다랑어 10t을 대량으로 사전 계약해 원가를 절감했습니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초저온 냉동보관이 필요한 참치를 국내로 곧장 들여와 보관 비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유통 마진을 줄였다”고 설명했습니다.
홈플러스도 올 1월부터 ‘물가 안정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 고객 수요가 높은 상품군을 정해 1년 내내 합리적 가격으로 선보이는 전략입니다.
대형마트가 대규모 할인 행사에 나서는 것은 가만히 앉아 있다간 역성장의 위기가 닥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인데 월마트와 타깃 등 미국 대형 소매업체들은 어닝 쇼크 수준의 저조한 올 1분기 실적을 발표한 바 있어 이로 인해 주가도 급락했고 온라인에 고객들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미끼상품들을 늘리고 있는 실정입니다.
홈플러스는 지난 회계연도(3월 말 결산)에 1355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 전환했고 이마트와 롯데마트의 영업이익률은 1% 안팎에 불과해 2분기 실적에 대한 불안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국제유가의 급등으로 유통비용이 증가했고 각종 상품의 원가가 올라 대형마트의 상품도 쉽게 손이 가지 않기 때문에 온라인으로 발길을 돌리는 고객들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마트와 신세계그룹은 지난 해 대규모 M&A를 하는데 너무 많은 내부 유보금을 사용해서 실적부진은 재무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자칫 승자의 저주에 빠져들 위험성이 있습니다
유통사들이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에 따라 주요 상품에 대한 관세율 0% 인하에 대해 면세조치를 가격에 반영하는 가격인하를 검토하고 있어 수입고기 가격의 하락이 예상되고 있지만 이를 곧 유통사 마진으로 가로챌 경우 바로 원래 자리로 돌아가는 것이 아닌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정유사들이 정부의 유류세 인하를 자신들의 수익으로 돌려버리듯이 유통사들이 관세인하를 자신들의 수익을 돌려갈 경우 상당한 실적회복 효과를 누릴 수 있어 보이기도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산에너빌리티 완전자회사 두산메카텍 공기압축기 제조회사 범한산업 컨소시엄에 매각 (0) | 2022.06.01 |
---|---|
극장주 영화 "탑건2 : 매버릭" 흥행 성공 소식에 기대감 고조 (0) | 2022.06.01 |
원전관련주 윤석열 정부 탈원전정책백지화 R&D 예산 7,500억원 투자 발표 수혜 기대감 (0) | 2022.06.01 |
방탄소년단BTS 백악관 방문 조 바이든 미국대통령 만남 아시아인 증오범죄 근절 촉구 (0) | 2022.06.01 |
6월 보호예수해제 종목 현황 (0) | 2022.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