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전기차 캐즘 2분기 저점 기대 1분기 전기차 배터리 3사 실적 둔화 지속으로 실적부진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의 올해 1분기 합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0조6980억원, 영업손실 3360억원으로 전망됐는데 매출은 전년 동기(12조9432억원) 대비 17.3% 줄 것으로 예측됐으나, 영업손실 규모는 1년 전(△932억원)보다 대폭 줄어든 수준이라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는 모습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국내 배터리 3사 중 가장 먼저 잠정 실적을 발표했는데 LG에너지솔루션의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6조2650억원, 3747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2%, 138.2% 증가했고 매출은 전 분기 대비 2.9%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는데 LG에너지솔루션의 확정 실적은 오는 30일 공개됩니다.

 

삼성SDI도 오는 25일 1분기 경영실적을 공개하는데 삼성SDI의 경우 전 분기와 비슷한 규모로 실적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됐는데, 이는 주요 고객의 수요 감소 때문인데 삼성SDI의 1분기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2조8330억원, 영업손실 3187억원입니다

 

배터리 후발주자 SK온의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1조6800억원, 영업손실 2800억원으로 예측됐는데 앞서 SK온은 지난해 3분기 출범 후 처음으로 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지만, 전기차 캐즘 여파를 이기지 못하고 1개 분기 만에 다시 적자로 돌아섰고 SK온은 LG에너지솔루션과 같은 오는 30일 1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전기차배터리 업계는 트럼프의 상호관세로 대미 수출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전기차 캐즘 현상이 2분기를 저점으로 하반기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실적개선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내 전기차배터리 3사의 실적은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첨단세액공제(AMPC) 규모에 따라 정해질 가능성이 커 트럼프의 보조금 지원 중단 여파가 실적에도 악재가 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배터리 생산 기준으로는 셀 kWh당 35달러, 모듈 kWh당 10달러로 총 45달러의 세액공제가 가능한데 트럼프 정부에서 이런 보조금을 모두 중단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이 지난 1분기 AMPC로 수혜를 본 금액은 무려 4577억원인데, 만약 이를 제외하면 LG에너지솔루션의 실제 영업적자는 830억원입니다.

 

삼성SDI의 경우 올해부터 스텔란티스와의 합작법인인 미국 스타플러스에너지(SPE) 공장의 신규 가동으로 AMPC 효과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이는데 SK온도 지난해 4분기 AMPC로 813억원의 세제 혜택을 받았고 만일 이를 제외하면 SK온의 4분기 영업적자는 무려 4507억원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트럼프의 보조금 지급 중단은 우리나라 전기차배터리 업체들의 실적과 연결되는 사안이라 트럼프 정부 정책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스마트머니들은 2분기 전기차 캐즘 바닥을 예상하고 선취매가 유입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