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래에셋생명과 동양생명에 이어 ABL생명도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 판매를 중단했습니다.
ABL생명은 29일 다음 달부터 도입되는 4세대 실손보험을 출시하지 않기로 결정했는데 올해 미래에셋생명과 동양생명에 이어 ABL생명도 실손보험을 판매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것입니다.
ABL생명은 기존 상품인 3세대 실손보험을 이달까지 판매하고, 실손보험 판매 자체를 중단하는데 기존 실손보험 가입 고객이 전환을 원하는 경우에 한해 4세대 실손보험 상품을 제공합니다.
ABL생명이 실손 판매 중단 결정을 내린 이유는 높은 손해율로 적자가 이어지는 구조적 문제 때문인데 ABL생명의 지난해 실손 합산비율(발생손해액+실제사업비/보험료수익)은 132.2%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보험사가 고객으로부터 보험료 100만원을 받아 보험금 지급과 사업비 등에만 132만원 이상을 썼단 얘기입니다.
ABL생명 관계자는 "우선 전체 실손보험 보유계약이 11만4000건으로 매우 낮은데, 손해율이 높아서 부담이 컸다"며 "손해율 관리 차원에서 이 같은 결정을 내리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ABL생명이 실손 판매 중단 결정을 내리면서, 국내 생명보험사 17곳 가운데 실손을 판매하는 곳은 5곳으로 대폭 축소됐는데 현재 4세대 실손 출시를 결정한 곳은 삼성·한화·교보·흥국·NH농협생명뿐입니다.
앞서 라이나생명이 2011년 실손보험 판매 중단 결정을 내린 뒤 오렌지라이프가 2012년, AIA생명이 2014년 상품을 팔지 않기로 했고 2017~2019년에는 푸본현대생명, KDB생명, KB생명, DGB생명, DB생명 등이 연달아 판매를 중단했고 지난해 말에는 신한생명이 실손보험 판매 중단을 선언한 바 있습니다.
실손보험은 경쟁의 격화로 보험료 자체는 낮아지면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병원이 환자를 유치하기 위해 개별 보험사에 맞게 실손보험료 지급을 위한 서류를 잘 준비해주면서 보험사들의 실손보험금 지급이 급증한 것이 실패의 요인이 된 것 같습니다
이제 실손보험상품 취급 보험사가 삼성·한화·교보·흥국·NH농협생명 5군데로 줄어들어 보험료 경쟁이 줄어들어 보험료는 오르고 보험금 지급은 낮아지는 효과를 누리게 되는 것 같습니다
대형3사가 실손보험에서도 시장점유율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실손상품은 대형사 위주로 재편되는 느낌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미약품 게임체인저 경구용 코로나19치료제 내년 초 임상1상 시험 신청 계획 (0) | 2021.06.30 |
---|---|
미국 모더나 mRNA백신 코로나19 델타변이바이러스에 효과적 전임상 결과 발표 (0) | 2021.06.30 |
윤석열테마주 윤 전 총장 대선출마 선언 소식에 매도 급락세 (0) | 2021.06.29 |
원전관련주 우리나라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과 관련 체코와 기술 협력 추진 소식에 강세 (0) | 2021.06.29 |
스틱인베스트먼트 하이브 주식 7.57% 시간 외 대량 매매(블록딜) 방식 처분 성공 급락세 (0) | 2021.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