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샤페론'에 해당되는 글 23건

  1. 2024.11.12 샤페론 ‘바이오 유럽 2024’ 참가 핵심 파이프라인에 대한 기술이전 희망고문 5
  2. 2024.09.24 샤페론 원형탈모치료제 후보물질 AI기술 이용 발굴 성공 추가 유상증자를 위한 호재 뿌리기 6
  3. 2024.09.03 샤페론 미FDA 산하 IDMC 아토피 치료 후보물질 미국 임상 2상 지속 권고 장중 상한가 머니게임의 전형 4
  4. 2024.08.30 샤페론 일반공모 유상증자 참여 2대주주 지분 대부분 매도 13
  5. 2024.07.12 샤페론 일반공모 유상증자 부분 성공 127억원 현금 유입 안도랠리 발생
  6. 2024.06.04 샤페론 동국제약과 '인플라메이징' 제품 개발 연구협약 체결 일반공모 유상증자 성공위한 호재성 재료 만들기(?) 5
  7. 2024.05.29 샤페론 일반공모 유상증자 성공을 위한 염증복합체 억제제와 이중표적 나노바디 라이센스 아웃 추진
  8. 2024.04.15 샤페론 350억원 대규모 일반공모 유상증자 실시 급락세
  9. 2024.03.19 샤페론 아토피치료제 미국 임상2상 개시 미국암연구학회(AACR) 참가 면역치료제 연구결과 발표
  10. 2024.02.28 국전약품 신규사업 전자소재 매출 가능성과 최대주주 주담대와 전환사채 주식전환 리스크 4
  11. 2023.11.28 샤페론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누세린(NuCerin)' 라이센스 아웃 기대감 2
  12. 2023.11.16 샤페론 52주 신저가 기록 파이프라인 라이센스 아웃 불확실성 무상증자 가능성 4
  13. 2023.09.15 샤페론 치매지료 물질 'NuCerin' 알츠하이머 치료제로 기술수출 추진
  14. 2023.09.08 샤페론 미국 식품의약국(FDA) 아토피 치료제 '누겔'의 임상2상 시험계획(IND) 승인
  15. 2023.08.21 샤페론 중국 제약사에 아토피치료제 기술이전 추진 중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zHR2AIIfopA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샤페론이 ‘바이오 유럽 2024’에서 20여 개 글로벌 제약사들과 핵심 파이프라인에 대한 기술이전 논의를 진행하고 있어 희망고문을 하고 있다는 뒷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샤페론이 상반기 유상증자를 실시하면서 주요 파이프라인에 대한 라이센스 아웃에 대한 희망을 키워왔지만 절반의 성공으로 끝난 유상증자 후에도 아직까지 라이센스 아웃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1,801원에 실시된 유상증자에 참여한 투자자들은 대부분 주가가 급등하면서 차익실현 한 것으로 보이는데 유상증자에 참여한 투자자들은 상당한 차익실현이 가능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샤페론의 주요 파이프라인인 누겔과 누세린, 파필리시맙 등에 대해 지난 6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진행된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 2024(BIO International Convention 2024, 이하 바이오 USA)'에서 라이센스 아웃을 위한 여러 건의 미팅이 이뤄졌지만 기술이전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이후 샤페론은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통해 127억원을 시장에서 조달했는데 원래 목표로 한 금액에는 훨씬 못 미치지만 당분간 재무적 리스크는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유상증자 신주 상장 후 주가는 꾸준히 올라 10월 23일 5,900원 최고가를 기록했는데 유상증자 신주가격 1,801원과 비교해 큰폭의 주가상승을 보여줘 유상증자 청약자들이 수익을 가져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샤페론이 6개월 후 유상증자를 또 실시한다면 이번에 수익이 난 투자자들은 또 유상증자에 참여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문제는 그 사이 샤페론은 여전히 라이센스 아웃에 대한 희망고문을 주주들에게 하고 있다는 것으로 연구의 진실성에 의문이 가는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면역 혁신신약개발 기업 샤페론은 자체 인공지능(AI) 신약개발 플랫폼을 통해 원형탈모 치료제 후보 물질 발굴에 성공해 상업적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시장에 알렸습니다.

 

해당 후보물질은 자체 시험에서 경쟁약물 대비 100배 이상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비임상 연구에서 원형탈모에 효능이 탁월한 것으로 확인됐는데 AI시뮬레이션 단계의 결과라 아직 전임상에서의 효과를 알 수 없는 단계입니다

 

이번 원형탈모 치료제 후보물질은 샤페론이 자체 구축한 인공지능(AI) 신약개발 플랫폼 'AIDEN'을 활용한 첫 신약 후보물질 발굴 사례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자화자찬하고 있는데 평균 2년 이상의 신약후보물질 서치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했다고 의미부여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샤페론이 원형탈모치료제 후보물질 발굴이라고 들고 나온 것은 아직 전임상도 하지 않은 것으로 시뮬레이션 단계에서 설레발 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런 움직임은 주가를 끌어올려 추가 유상증자나 주식관련 사채발행을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샤페론은 지난 번 주주배정 후 실권주일반공모를 통해 237억원을 목표했지만 실제 납입된 금액은 127억원에 불과해 추가적인 투자유치 요인이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샤페론이 부분적으로 유상증자에 성공해 내년 상반기까지는 생존을 위한 자금을 마련했지만 안정적인 R&D를 위한 자금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입니다

 

즉 샤페론은 외부자금 유치를 위해 사활을 걸고 IR을 하고 있는 것으로 호재성 재료로 비춰질 수 있는 건 뭐든지 시장에 던지며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모습입니다

 

지난 번 유상증에 참여한 주주들은 이미 상당한 주가 차익을 챙긴 것으로 보이는데 이들이 다음에 유상증자를 한다면 또 참여할 가능성이 큰 이유입니다

 

주가를 끌어올릴 이유가 있는 종목은 목적이 있기 때문인데 실적에 의해 올라간 주가가 아니라면 결국 처음 움직인 자리로 되돌아간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do2QnHY-4xM?si=x72PgNjsQPdyzkyS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샤페론이 장중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했는데 미국 식품의약국(FDA) 산하의 IDMC로부터 임상 2상 중인 아토피 치료 후보물질 누겔의 다음 단계 용량 증량 및 임상시험 지속을 권고받았기 때문인데  샤페론은 지난 5월에도 IDMC로부터 1차로 임상 지속을 권고받은 바 있습니다

 

샤페론이 하고 있는 누겔에 대한 미국 임상 2상은 다양한 인종의 경증·중등증 아토피 피부염 환자 210명을 대상으로 약물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습니다.

 

임상단계에서 1상과 2상은 신약개발사가 자기 연구비를 들여 하는 임상단계로 왠만해서는 FDA에서도 중단여부를 권고하지 않고 계속 권유를 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이런 권유를 임상 최종 성공 단계인 3단계와 헷갈려서는 안되는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신약개발사들은 이를 호재성 재료로 시장에 뿌려 신규자금 유치를 위한 기회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바이오신약개발사에 투자해 본 들은 잘 알겠지만 이런 임상1상과 2상 단계의 권고나 임상 지속에 대한 재료들은 수익성과는 거리가 먼 이야기로 신약개발사의 연구개발비가 또 들어간다는 소리로 알아들어야 합니다

 

아토피 치료 후보물질 누겔이 최종적으로 임상3상을 통과했을 때 과연 블록버스터급 신약으로 수익성을 갖고 있냐는 문제는 여전히 지금도 의문인 상황으로 샤페론이 호재성 재료를 내놓아 주가를 끌어올리고 거래량을 늘린 정도 외에는 의미가 없어 보이는 것입니다

 

이번 주가급등으로 지난 번 유상증자 참여자들은 상당한 주가차익을 보며 수익을 얻을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추가적인 유상증자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결국 추가 유상증자 성공을 위한 호재성 재료 공개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샤페론 자체의 수익성과는 관련 없는 머니게임의 재료 노출에 불과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do2QnHY-4xM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샤페론이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과 절반의 실패 충격에서 벗어나 다시금 강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샤페론은 코로나19(COVID-19) 및 인플루엔자 폐렴 치료제 누세핀(NuSepin)과 아토피 치료제 누겔(NuGel), 알츠하이머 치료제 누세린(NuCerin)의 임상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화장품 사업과 AI(인공지능) 혁신신약 플랫폼을 통한 신규 후보물질 발굴에 집중하고 있다고 시장참여자들에게 어필했지만 지난 번 일반공모 유상증자에는 최대주주가 참여하지 않아 흥행에 실패하면서 목표금액의 절반도 모금하지 못 했습니다

 

샤페론 2대주주 신주인베스트먼트가 보유 주식 80%를 처분 이번 일반공모 유상증자 후 대부분 처분해 최대주주 성승용 대표아의 차이를 2%남짓에서 10% 이상으로 벌려놓게 되었습니다

 

신주인베스트먼트는 7월 4일부터 11일까지 6거래일간 400만주 중 320만주를 처분했는데 처분단가는 1463원에서 1689원 사이로 총 50억원 규모를 매도하였고 사유는 부채상환이었습니다.

 

신주인베스트먼트가 매도한 지분을 사들인 투자자들은 이후 주가가 7월 19일 3,590원까지 치솟아 단기간에 100% 이상의 주가 차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신주인베스트먼트는 단 몇일 차이로 큰 수익을 볼 기회를 날려버려 황당하겠다는 생각도 드는데 누군지 신주인베스트먼트의 매물을 받아간 투자자들은 횡재를 하게 된 경우 같습니다

 

이후 주가는 다시 8월 26일 1,694원까지 흘러내려 반토막이 나는 전형적인 머니게임 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개인투자자들이 선호하는 머니게임 종목이고 하루 거래량이 100만주 이상 거래되고 있어 유동성도 충분해 단타꾼들도 다 모여 있는 머니게임 종목이 되어 주가 급등락으로 개인투자자들의 개미지옥이 될 수 있겠다는 의구심이 들고 있습니다

 

투기에 주의하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vxdH3HkOpRY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샤페론의 일반공모 유상증자가 최대주주인 성승용 대표이사 부부의 불참속에서 부분적으로 성공해 신규자금 약 127억원 모집에 성공한 모습입니다

 

샤페론은 이로써 내년 상반기까지 자금 걱정 없이 사업화를 진행할 수 있는 현금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최대주주가 유상증자에 참여하지 않음으로써 최대주주 지분은 약 15%대로 낮아지게 되었고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신주인베스트먼트라는 투자자가 13.27%를 확보해 2대주주로 올라서게 되었습니다

 

이번 유상증자는 신주가격이 1,801원으로 주가폭락을 반영하여 2,655원에서 낮아진 가격으로 그럼에도 최대주주인 성승용 대표이사 부부는 유동성이 없다며 유상증자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샤페론은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전후해 다양한 호재성 재료를 내놓고 있는데 유상증자 이전에는 증자 성공을 위해 호재성 재료를 내놓고 있는 것이고 증자 이후에는 투자자들의 이익을 주기 위해 주가를 끌어올리려 호재성 재료를 내놓는 것 같습니다

 

현재 샤페론은 보유 현금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자금 걱정없이 지금까지 사업들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그 만큼 최악의 상황은 지난 것으로 안도랠리가 펼쳐질 수 있는 재료가 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구용 '비만치료제' 후보물질 NuBesin®(누베신)를 개발하는데 성공했으며 동물실험을 마치고 전임상 단계에 진입했다고 시장에 알렸는데 현재 시장의 화두가 비만치료제가 되고 있어 테마주 바람을 타려는 시도로 생각됩니다

 

전임상 단계는 아직 상업화까지는 많은 시간과 개발비가 들어가기 때문에 성공여부도 불확실한 사안을 지금 들고 나와 투자자들에게 북피고 나팔불며 홍보하는 것은 이번 유상증자에 참여한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가져다 줘 6개월 후 또 한번 유상증자를 하려는 의도가 이닌가 의구심이 들 정도입니다

 

통상적으로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할 경우 6개월 이내에 다시 유상증자를 할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습니다

 

샤페론이 연구질실성을 인정받으려면 기존 파이프라인에서 글로벌 다국적 제약사에 비싼 가격에 라이센스아웃이 될 아이템이 나와야 하는데 그런 것은 없고 희망사항만 떠벌리는 것은 먹튀논란을 일으킨 헬릭스미스와 다를 바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5Y0Nwr9FP3A?si=HOvrSWavAv9miwZP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샤페론의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코 앞에 두고 호재성 재료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바이오신약개발하는 회사들이 해외 학회나 바이오 관련 전시회가 없는데 호재성 재료를 내놓는 경우는 유상증자를 앞두고 밖에 없다는 말처럼 샤페론도 일반공모 유상증 성공을 위해 내놓을 수 있는 호재성 재료는 다 만들어 내놓고 있는 모습입니다

 

샤페론이 지난 달 28일 강남구 청담동 동국제약 본사에서 '인플라메이징' 제품 개발에 대한 공동연구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시장에 알린 것으로 청약일을 앞두고 발표시기를 늦춘 것 같습니다

 

양사는 샤페론의 면역매개 염증에 대한 기초과학 역량과 동국제약㈜의 뷰티 시장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염증복합제 억제제를 이용, 피부노화 개선과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품과 스킨부스터를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신약개발사들은 보유 기술을 가지고 제약보다 일찍 상업화가 가능한 화장품으로 개발하는 경우가 많은데 "코스메틱스"라는 기능성화장품이 하나의 시장이 되고 있습니다

 

신약으로 개발하는데 임상이라는 연구 시간과 비용이 많이들지만 화장품은 신약보다 적은시용과 시간으로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샤페론은 면역복합체 억제제로 아토피 피부염, 치매와 같은 염증질환 치료를 위한 신약개발을 진행중인데 이 개발 과정에서 수많은 염증 복합체 억제물질을 보유하고 있어 이들 면역복합체 억제제 중 피부 염증으로 인한 노화에 가장 적합한 물질을 선별하여 공동개발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샤페론은 벤처레이더(Venture Radar)사에서 보고한 면역복합체 억제제의 경쟁력에서 세계 8위로 선정된 바 있지만 돈 못 버는 바이오신약개발사의 대표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샤페론은 이번에 유상증자로 자금을 마련하지 못하면 일년을 못 넘기고 최악의 상황에 내몰릴 위험이 있기 때문에 기존 임상 과정의 파이프라인들도 개발을 중단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이번 일반공모 유상증자 가격이 2,655원인데 현재주가는 이보다 낮아 유상증자가 성공하기 어렵지 않나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많아 주가를 끌어올리기 이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모습입니다

 

유상증자에 성공해도 시장과 약속한 개발일정과 성과를 내놓을 수 있을 지 의문이 들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투자위험을 감안해 유상증자에 응할지 말지를 고민해 봐야 합니다

 

이미 바이오신약개발 1세대인 헬릭스미스가 서울대 출신 연구자들 중심으로 조 단위의 자금을 시장에서 받아가고도 10여년 만에 먹튀를 한 사례를 본 투자자들이 많아 순진한 투자자들이나 혹시나 하는 맘에 청약하지 않을까 생각되기는 합니다

 

샤페론도 그렇지만 바이오신약개발사들은 그들이 연구하는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다국적 제약사나 대형제약사들에 라이센스아웃해 연구의 진실성에 대한 신뢰를 얻고 나서 투자자들에게 손을 벌리는 것이 순서가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1z78Q2zBQtQ?si=zaNwxrd3ktGHxx0R

안녕하세요

면역 혁신신약개발 바이오기업 샤페론이 핵심 기술인 염증복합체 억제제와 이중표적 나노바디의 기술이전을 촉진하기 위해 오는 6월 3일에서 6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International Convention 2024, BIO USA 2024)'에 참가합니다

 

'BIO USA 2024'는 전 세계 88개국, 기업 9000개 이상, 참관객 2만 명이 참석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 산업 행사로서 5만건 이상의 비즈니스 파트너링이 이루어지는 기술이전 및 개발 협업 기회의 장이 되고 있습니다

 

샤페론에서는 작년에 설립한 미국 자회사 허드슨 테라퓨틱스의 재니스 맥코트 대표를 주축으로 한 사업개발팀이 참석해 지속적인 논의를 진행해온 제약사뿐만 아니라 새로 협의를 시작할 기업들을 만나 샤페론이 보유한 파이프라인들의 기술이전, 신약공동개발, 투자 등에 관해 활발한 논의를 할 예정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샤페론이 이렇게 적극적으로 IR에 나선 것은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예정하고 있기 때문인데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약 350억원의 신규자금을 확보할 계획인데 일반공모 유상증자에 나설 수 밖에 없는 것은 어느 기관투자자들도 샤페론 투자에 관심을 나타내지 않았기 때문일 겁니다

 

HBL의 악재가 있는 상황에서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실시하는 것이라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기 어려워 지난 몇 개월 동안 다양한 호재성 재료들을 꺼내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샤페론은 아토피 치료제 국내 2상 임상결과보고서(CSR)를 수령하고도 1년 반 동안 시장에 해당 사실을 알리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시장참여자들의 불신을 사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샤페론 성승용 대표가 직접 유튜브에 나와 아토피 치료제 국내 2상 임상결과보고서(CSR) 미공개에 대해 사과하고 유상증자에 참여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불투명한 연구개발성과에 대해 일반투자자들의 투자만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라 불신은 지속되는 것 같습니다

 

바이오신약 개발은 일반투자자들이 잘 알 수 없는 분야라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이용해 막연한 기대감을 부추기는 식으로 시장을 통해 신규자금만 받아가는데 최소한 글로벌 다국적 제약사를 통해 연구성과의 진실성을 검증받고 일반투자자들에게 손을 벌리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샤페론이 최근에 보여주고 있는 다양한 호재성 재료 노출은 유상증자 성공을 위한 홍보수단에 불과하고 유상증자가 이뤄진 이후 제대로된 연구성과를 보여 투자자들에게 기업가치 반환이 제대로 이뤄질지 의문이 들고 있어 개인적으로는 여전히 불신감이 남아 있어 현 상황에서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것은 어리것은 투자자가 되는 길이라 생각됩니다

 

샤페론이 우선 다국적 제약사를 통해 기술의 진실성을 검증 받고 이후 투자자들에게 손을 벌리는 것이 순서라고 생각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https://youtu.be/5Y0Nwr9FP3A?si=fCfT_W-Qd2r-ZVj0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샤페론은 지난 12일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350억원 규모의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장 마감 후 공시했는데 예정발행주식수는 총 1318만2000주이며, 예정발행가액은 2655원으로 청약일은 오는 6월10~11일입니다

 

샤페론의 대규모 유상증자는 일반공모 형식이라 공시 다음날 주가 급락이 나타나 공모가격이 현재가격대로 추가적인 공모가격 하락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샤페론에 따르면 현재 ‘누겔(NuGel)’은 작년 9월 미국 FDA로부터 미국 임상 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아 첫 환자 등록을 지난 3월 1일부터 순조롭게 시작했는데 미국 임상 2상은 다양한 인종의 경증 및 중등도 아토피 피부염 환자 210명을 대상으로 습진 중증도 지수(EASI 점수) 개선 효과 확인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성승용 샤페론 대표이사는 누겔 임상 2상과 파필리시맙의 개발 진행을 통해 라이선스 아웃이 가능할 것으로 희망고문하고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350억원의 유상증자를 위한 희망고문이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어 유상증자 실패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샤페론의 파이프라인이 가치가 있다면 유상증자 이전에 라이센스 아웃을 통해 투자비를 마련할 수 있었을텐데 기존 제약사들과 R&D 업계에서 누구도 라이센스 인에 나서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 시장에 손을 벌린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바이오신약 개발사들이 상장 후 2년여가 지나면서 공모자금을 대부분 까먹게된다면 다시 시장에 손을 벌리게 되는데 예전 같으면 그 동안의 R&D 성과로 투자금을 다시 마련할 수 있었을 지 모르지만 최근의 투자자들은 그렇게 순진한 키다리아저씨가 아니기 때문에 연구성과에 대해 업계의 객관적 평가를 원하곤 합니다

 

라이센스 아웃에 성공하지 못할 경우 연구의 진실성이 의심 받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외면을 받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바이오신약개발 1세대인 유전자치료제 개발사 헬릭스미스가 먹튀로 끝나면서 시장참여자들이 라이센스 아웃을 하지 않는 연구개발에 대해 색안경을 끼고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샤페론도 연구진실성에 대한 객관적 증거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한다면 공모가격은 더 떨어지고 공모자금도 줄어들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샤페론 20230104 한양증권.pdf
0.56MB
샤페론 IPO KB투자증권 분석보고서.pdf
1.78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5Y0Nwr9FP3A?si=0t3tVeAAhfPdsU6J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샤페론이 올 해 들어와 다양한 호재성 재료를 내놓고 있지만 주가는 아직 힘을 못 쓰고 비리비리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샤페론이 내놓은 호재 중에 아토피 치료제 ‘누겔’(NuGel)의 글로벌 기술이전을 목표로 미국 임상 2상에 착수한다는 뉴스는 주가를 한번 들어올릴 재료는 되었지만 지속적으로 상승추세로 만들기에는 힘이 딸리는 모습입니다

 

샤페론이 아토피 치료제 누겔의 미국 내 임상 2상 첫 환자 등록을 완료했는데 이제 시작이라 임상2상의 중간 결과를 얻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샤페론은 지난해 9월 미국 FDA로부터 ‘누겔’ 글로벌 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는데 해당 임상은 다양한 인종의 경증·중등도 아토피 피부염 환자 210명을 대상으로 습진 중증도 지수(EASI 점수) 개선 효과 확인을 목표로 하고 있고 임상은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방식으로 진행되며 예상 임상 종료 시점은 2026년 상반기로 예정되어 있어 갈 길이 멀어보이는 상황입니다.

 

한국 임상 2상으로 샤페론이 발굴한 바이오마커에 양성인 ‘A형 아토피 환자’가 전체 환자의 70% 이상이며, 이들 환자에게 적용된 치료법이 아토피 치료제 시장의 ‘JAK 억제제’나 ‘PDE4 억제제’보다 월등히 안전하고 효과가 높아 미국과 유럽 포럼에서 주목받은 바 있어 이번 미국 임상을 통해 다인종에 대한 임상데이타를 확보할 경우 글로벌 라이센스 아웃에 유리한 위치를 점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 샤페론은 내달 5일부터 10일까지 미국 샌디에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적응성 면역관문과 선천성 면역관문을 동시에 저해하는 나노바디 이중항체인 파필리시맙(Papiliximab)에 대한 연구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할 예정인데 파필리시맙(Papiliximab) 이 안전한 항체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샤페론이 파이프라인으로 갖고 있는 신약후보물질들은 임상 단계를 높여가고 있지만 아직까지 글로벌 다국적 제약사들의 라이센스 인 제안이 없는 상황으로 샤페론이 열심히 자기 돈 써가며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바이오신약개발 1세대인 헬릭스미스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임상3상까지 외부 간섭없이 독자적인 자금마련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경우 마지막 실패까지 10여년의 세월이 걸린다는 측면에서 시장을 통해 수조원의 자금을 빨아가 회사 오너와 연구자들은 장학금을 받을 수 있지만 투자자들은 키다리아저씨가 되어 장학금을 주고 돌려 받는 이익이 없는 자선사업가가 됩니다

 

샤페론이 연구의 진실성을 인정받으려면 다국적 제약사와 같이 글로벌 블럭버스터급 신약으로 키워줄 수 있는 파트너를 찾아 라이센스 아웃을 하고 정당한 계약금과 마일스톤을 수령해 주주들에게 배당도 하고 자체 연구개발비를 마련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그저 미국 학회에 가서 논문을 발표한다던가 해외에 가서 임상을 진행하는 것은 회사 자금을 까 먹는 것으로 그렇게 돈을 쓰다 또 시장에 손을 벌리게 될 것이라 연구의 진실성을 객관적으로 증면해야 할 것입니다

 

투자자들은 더 이상 키다리 아저씨가 아니란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fLoFxiYGxGY?si=cz_IePJDJtpI-ek9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국전약품은 감기약 원료의약품 공급업체로 유명한 회사인데 경영권 승계이후 신규사업으로 전자소재사업에 뛰어들어 외형 확대에 나서고 있는 모습입니다

 

국전약품은 2023년 연결기준 누적 매출 1220억원, 영업이익 65억원. 당기순이익 47억원을 달성했고 전년 대비 매출은 17.6%(183억원), 영업이익은 85.2%(30억원)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47.1%(42억원) 감소하는 아쉬운 실적을 내놓았습니다

 

이는 전환사채 평가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전환사채의 전환가격과 현재 주가 차이에서 발생한 회계상 손실로 실제 현금 유출은 없는 손실입니다

 

국전약품의 원료의약품 사업과 전자소재 사업 모두 성장성을 갖고 있는 상태로 OLED 소재, 이차전지 전해액 첨가제, 반도체 소재, 일반케미컬 소재를 합성해 판매하는 전자소재 사업에서 올 해 실적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전자소재 공장은 올해 4월 PSM(공정안전관리) 심사를 마치고, 본격적인 가동을 시작하게 될 예정입니다.

 

지난해 11월 설립한 케이에스바이오로직스(KSBL)는 국전약품의 중장기 성장 동력으로 나노항암제 제네릭 개발과 대량생산을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KSBL은 항암제 블록버스터 제품 중 하나인 ‘아브락산’ 제네릭을 필두로 지난 5일 독일 항암제 전문기업 ‘아크비다(AqVida GmbH)’와 상호협력을 위한 협약(MOU)을 맺었으며, 독일을 기점으로 유럽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KSBL을 JV로 함께 만든 파트너 회사인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가 보유한 췌장암 치료후보물질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으면서 R&D에 대한 기대감도 키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에스엔바이오와 나노 항암제 개발을 위해 합작법인(JV) 케이에스바이오로직스(KSBL)를 설립한 것이 당장은 연구개발비만 쏟아붓고 있는 것이라 수익성을 위축시키는 결과로 연결되고 있습니다

 

국전약품의 신규사업은 확실한 캐시카우가 있는 상태에서 하는 것이라 다른 머니게임 하는 업체들과 차별화를 엿보이고 있지만 4월 이후 매출을 일으킬 수 있을 지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전약품의 신규사업인 전자소재 분야에 상당한 투자가 이뤄진 상태라 만약 매출을 일으키지 못할 경우 밑빠진 독에 불 붓기로 비춰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전약품은 혹시나 하는 기대감만 클 뿐 확실한 실적개선에 대해서는 이렇다 한 증거를 못 내놓고 있는 상황입니다

 

바이오분야에 투자할 때는 신약후보물질을 갖고 임상을 하던 논문을 쓰던 실적과 아무 상관이 없이 자신들의 보유 현금으로 돈을 쓰는 것으로 돈 버는 것과 상관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주가가 오르기 위해서는 돈을 버는 확실한 증거와 가능성을 보여주야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국전약품 2023 대신증권.pdf
0.30MB
국전약품 IR 2023.pdf
3.7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hgPWHWfGIQ?si=PywcL7BOXqokozFn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신약개발 바이오기업 샤페론의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누세린(NuCerin)'이 유럽 최대규모 바이오 박람회서 큰 호평을 받았는데 샤페론은 독일 뮌헨에서 개최되는 추계 '2023 바이오 유럽'에 참가해 주요 파이프라인 현황 및 로드맵을 공개했습니다

 

바이오 유럽은 전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 및 업계 전문가 등이 참석하는 유럽 최대 규모의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전문 박람회 중 하나로, 이번 행사에서 샤페론은 글로벌 빅파마들과 만나 개발 중인 신약 파이프라인들의 임상 데이터를 소개하고 기술이전과 공동개발 등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누세린은 국전약품과 국내 판권 계약을 진행하여 개발 중에 있는데 이번 국내 임상에서 1상의 목표가 달성이 되면, 국내외 후속 임상 및 추가적인 기술이전도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전세계에서 치매로 현재 약 5천만명이 고통받고 있으며, 이 숫자는 점점 증가하여 2030년에는 약 8천만명, 2050년에는 1억8천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치매치료제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노인국가화 되면서 점점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치료제로 시장성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샤페론의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누세린(NuCerin)'은 글로벌 다국적 제약사들도 연구성과에 관심을 갖고 협의를 하고 있어 실제 라이센스아웃이 성사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샤페론은 인플라마좀의 개시 단계와 증폭 단계를 모두 동시에 억제하는 염증복합체 억제 기술을 독자적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이 기술을 바탕으로 호흡기 치료제인 '누세핀(NuSepin)'과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누겔'을 개발했고 또 기존 항체 치료제를 1/10로 경량화해 다양한 제형 개발을 위한 유전공학적 접근이 용이한 나노바디(Nanobody) 기반의 차세대 항체치료제를 면역항암제 개발에 응용하고 있습니다.

 

샤페론은 실제 라이센스 아웃에 성공한 신약개발사로 보유하고 있는 파이프라인이 시장에서 관심이 많은 분야의 치료제들이라 앞으로도 라이센스 아웃을 계속해 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hgPWHWfGIQ?si=sdRKkYilgs6KjDeP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샤페론의 주가가 52주 신저가를 기록하면서 개인투자자들의 원성이 커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샤페론의 신약 파이프라인들이 대부분 임상 2상 이하에 머물고 있고 라이센스 아웃도 국내 제약사와 해외 중소 신약개발사에 머물고 있어 시장참여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3분기 기준 영업수익이 1억 3천만원에 불과한 상황으로 영업손실이 80억원 대에 달해 꾸준히 있는 현금을 까 먹으며 버티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샤페론의 현금성 자산은 245억원으로 이중 단기금융상품에 210억원이 들어 있어 내년까지는 있는 현금으로 버틸 수 있을 지 모르지만 보유 현금의 고갈에 불안해 하는 투자자들이 많은 상황입니다

 

회사는 "2023 바이오 인베스터 포럼"과 "2023 바이오 유럽"에 참가하는 등 적극적으로 투자자들을 찾아다니고 있고 라이센스 아웃을 할 파트너사를 찾고 있는 상황입니다

 

52주 신저가를 기록한 상황에서 내년 3월 정기주총을 맞아야 하기 때문에 이전에 무상증자를 실시할 가능성이 커 보이는데 어디든 샤페론의 파이프라인 중 라이센스 아웃을 해 갈 다국적 제약사가 나오면 무상증자도 구체화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궁극적으로 유상증자나 주식연계 채권(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을 발행해 앞으로 연구개발 임상 자금을 마련하려는 노력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샤페론 스스로가 신약 파이프라인의 연구진실성을 검증받기 위해 라이센스 아웃 대상을 조기에 찾아 내거나 국내 대형제약사에 경영권을 넘기는 등의 재무적 리스크를 낮추려는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샤페론 20230104 한양증권.pdf
0.56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y0doFFC6frI?si=Jwn4FqhcOaS5XAQq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샤페론이 알츠하이머의 주요 인자를 제거하는 결과를 확인하고, 오는 2024년 다국적 제약사에 기술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샤페론의 치매지료 물질인 'NuCerin'은 2021년 3월 국전약품과 국내 판권에 대한 기술이전을 완료했고 이 가운데 오는 2024년 신경계에 전문성이 있는 다국적 제약사로 기술이전하기 위한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이미 국내에서는 임상1상을 진행 중에 있으며 NuCerin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또한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데 바이오마커는 동물 연구를 통해 후보군을 도출하여 인체 대상 연구를 준비 중에 있습니다.

 

 
회사 관계자는 "알츠하이머에서 바이오마커는 특히 초기 알츠하이머 환자에게 임상적 유효성만큼 중요한 유효성 지표로 간주되고 있다"며 "바이오마커 연구를 통해 환자의 회복을 개선 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사전 약품 작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치매 환자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인데 지난 2020년 기준 약 5000만명이 치매를 앓고 있고, 오는 2030년에는 9200만명, 2050년에는 1억5000만명의 치매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고령화 사회에서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와 보호자의 질환 부담은 많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지만 알츠하이머는 아직 미개척 치료분야로서 질환을 가역적으로 치유할 수 있는 치료제(DMT, disease modifying treatment)는 없는 상황입니다.

 


샤페론은 치매를 유발한 5XFAD 마우스를 이용한 전임상 실험에서 NuCerin을 투약한 쥐의 뇌조직을 분석한 결과, NuCerin에 의한 뇌내염증이 감소한 것을 확인했고 이로 인해 뇌내 미세아교세포가 정상화돼 치매의 주요 인자인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거하는 일련의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이에 더해 궁극적으로 인지능력의 핵심 요소인 신경세포의 손상이 억제되는 것 또한 확인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샤페론은 이 밖에도 아토피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아토피 치료 후보물질 ‘누겔’ 효능 검증 임상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이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지만 임상 2상 후 기술수출에 나설 것으로 보여 파이프라인이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습니다

 

샤페론의 라이센스 아웃을 통해 상당한 기술수출료를 챙길 것 같은데 연구의 실체와 가치를 객관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 로열티 수입으로 연구개발비를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y0doFFC6frI?si=F5V0I67uz0IWK_6C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샤페론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아토피 치료제 '누겔'의 임상2상 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는 소식에 상한가를 기록 중입니다.



8일 오전 10시 9분 기준 샤페론은 전 거래일보다 1480원(29.96%) 급등한 상한가 642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샤페론은 이번 임상시험을 통해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 대한 위약(가짜약) 대비 누겔의 중증도 지수(EASI 점수) 개선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목표로 샤페론은 이번 다국가 임상 2상에서 경증 또는 중등증의 아토피 피부염 환자 210명을 대상으로 약동학, 안전성, 내약성, 유효성을 평가할 계획인데 대상환자는 이중 눈가림 방식으로 위약과 누겔을 8주간 바르게 됩니다.

 

누겔은 세계최초로 GPCR19를 표적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염증 조절 약물로 염증복합체를 억제하고 피부에서 염증억제 세포 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우수한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샤페론 관계자는 "누겔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특정 환자군만을 선택적으로 감별 진단해 맞춤형 치료가 가능한 바이오 마커를 발굴해 특허를 이미 출원했다"며 "다양한 인종의 피부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시험하고 용량 증대 시 치료 효과가 증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미국 임상 2상을 추진한다"고 말했습니다.

 

샤페론은 파이프라인이 본격 임상에 진입하면서 관련 뉴스가 많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단기급등에 차익실현 매물이 등장할 수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샤페론 분챠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y0doFFC6frI?si=9RvK_84QwzMensmb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샤페론이 중국 바이오 기업과 아토피 치료제 후보물질 ‘누겔’에 대해 기술수출 논의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샤페론은 중국의 한 제약 바이오 기업과 아토피 치료제 기술수출 계약 논의를 진행 중인데 조만간 업무협약(MOU)을 맺고 본격적인 기술이전 단계를 추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은 환경오염이 심하고 신규 아파트에 환경호르몬이 많이 나오는 불량 건자재를 많이 사용하여 유아동들에 대한 아토피 증상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 아토피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중국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한 후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이에 따라 이번 기술수출 계약이 성사되면 중국 바이오 기업이 직접 누겔의 임상 3상을 중국에서 진행해 품목허가를 신청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샤페론의 누겔은 현재 국내 임상 2a상을 진행 중이고, 연내 데이터를 도출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지난달 31일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도 2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했습니다.

 

계약이 성사되면 샤페론에 원료를 공급하고 있는 국전약품도 실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알려졌는데 국전약품은 샤페론이 임상시험을 진행 중인 후보물질 원료 공급사로 임상이 끝나고 제품화할 경우 상당한 실적호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당장 국전약품은 샤페론이 임상 3상을 진행하게 되면 임상용 의약품 원료를 공급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후 임상이 완료되고 상용화에 성공할 경우 원료 공급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샤페론 20230104 한양증권.pdf
0.56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