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dzZwC4NcubI?si=qlaH8VYHtBnwoPiL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에게 새로운 기회가 생기고 있습니다
AI반도체를 견인하고 있는 엔디비아와 SK하이닉스가 파트너쉽을 맺으면서 글로벌 HBM(고대역폭메모리)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엔디비아에 SK하이닉스가 HBM(고대역폭메모리) 공급 파트너로 선정되면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반도체 회사로 위상을 높이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에 이어 삼성전자도 차세대 HBM 실물을 공개하고 올 상반기 중으로 양산에 돌입하겠다는 뜻을 내비치면서, AI 시대를 맞아 차세대 메모리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의 독주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데 수율싸움에서 SK하이닉스가 조금 앞서 있는 모습입니다
SK하이닉스는 초고성능 AI용 메모리 신제품인 HBM3E를 세계 최초로 양산, 이달 말부터 제품 공급을 시작한다고 공식 발표했는데 이는 SK하이닉스가 지난해 8월 HBM3E 개발을 알린 지 7개월 만으로 삼성전자를 앞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지난달 26일 마이크론은 엔디비아에 공급하기 위한 HBM3E 양산을 시작했다고 발표한 바 있지만 실제 엔비디아에 HBM3E를 최초 납품하는 업체는 SK하이닉스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세계 최초로 양산, 공급하는 HBM3E는 초당 최대 1.18TB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차세대 메모리로 이는 풀HD급 영화(5GB) 230편에 달하는 데이터를 1초 만에 처리하는 수준으로 특히 효과적으로 발열을 제어하기 위해 어드밴스드 MR(매스 리플로우)-MUF(몰디드 언더필) 공정이 적용됐고 이에 열 방출 성능은 이전 세대 대비 10% 향상됐습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HBM3E 생산량 대부분을 엔비디아에 공급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SK하이닉스의 HBM3 뿐만 아니라 HBM3E까지 2024년도 생산분까지 모두 입도선매된 상태라 수율을 맞춰 증산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SK하이닉스의 글로벌 HBM 시장 점유율은 53%로, 과반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K하이닉스는 HBM(고대역폭메모리) 시장을 선점하는데 성공했지만 기존 반도체 재고가 좀처럼 줄지않고 있어 실적호전 속도가 늦어보입니다
SK하이닉스의 주가가 이미 HBM 실적을 선반영하고 있어 외국인투자자들은 차익실현에 나서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B인베스트먼트 총 310억원 규모 ‘에이치비 디지털혁신성장 3호 투자조합’ 결성 (0) | 2024.03.20 |
---|---|
자율주행관련주 텔레칩스 미국 레이더업체 '오라(AURA)'에 대규모 투자와 현대차그룹 5조원 R&D투자소식에 일제히 강세 (0) | 2024.03.20 |
일본은행 제로금리 해제 금리인상 개시 외국인투자자 투자유입 기대감 (0) | 2024.03.19 |
샤페론 아토피치료제 미국 임상2상 개시 미국암연구학회(AACR) 참가 면역치료제 연구결과 발표 (0) | 2024.03.19 |
아모그린텍 미국 테슬라 모델Y 가격인상 수혜 기대감 (2) | 202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