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에어부산'에 해당되는 글 41건

  1. 2025.01.28 에어부산 김해발 홍콩행 여객기 화재 승객 169명 승무원 7명 등 176명 전원 비상탈출 성공 3
  2. 2024.12.31 에어부산 이유있는 주가급등 가장 안전한 저비용 항공사 4
  3. 2024.11.16 진에어 3분기 실적발표 어닝 서프라이즈 통합국적기 수혜 기대감 33
  4. 2024.05.12 에어부산 통합 국적기 탄생 반사이익 실적호전과 통합저비용항공사 탄생 수혜 기대감 4
  5. 2023.06.13 항공주 여름휴가 해외여행 성수기 실적호전 기대감에 반등세
  6. 2023.04.21 항공주 5월 일본 골든위크 기대감에 관심고조
  7. 2023.04.10 항공주 해외여행 증가 수혜 중국 여행 비자 확대 1분기 실적 기대감
  8. 2023.02.20 항공주 중국정부 한국인단기비자 발급 재개 소식에 수혜 기대감
  9. 2023.01.24 항공주 여행주 설연휴 해외여행 폭발적 증가 수혜 기대감
  10. 2023.01.20 에어부산 해외여행 증가와 환율효과로 실적회복 M&A 기대감
  11. 2022.12.26 에어부산 설연휴 임시 항공편 투입 국제선 증편 추진
  12. 2022.10.29 항공주 일본노선 증편 경쟁 치열 코로나19엔데믹 알짜노선 선점경쟁 2
  13. 2022.10.15 항공주 여행주 일본노선 예약 폭발 제주도 여행객 바가지요금 피해 엔저 일본으로 여행지 변경 3
  14. 2022.10.12 항공주 여행주 일본 무비자 자유여행 허용 수혜 기대감
  15. 2022.10.05 에어부산 대규모 유상증자 신주 상장 부담에 투매 발생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j2gIIyc6XdY?si=oxCJiuXW-Ous2Rbv

안녕하세요

28일 밤 김해공항 주기장에서 이륙을 준비하던 홍콩행 에어부산 항공기에서 화재가 발생했는데 소방당국은 비행기에 탑승했던 승객 169명과 승무원 7명 등 176명은 모두 비상 탈출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10시26분께 사고 여객기 후미 상단에서 불이 났다는 신고가 접수됐고 이에 공항 내 진압대가 출동해 8분 만인 오후 10시34분께 현장에 도착, 진화에 나섰습니다

 

소방당국은 4분 뒤인 오후 10시38분께 대응 1단계를 발령해 인근 소방력을 진화 작전에 투입해 진화에 성공했습니다

 

소방당국은 항공기 내 사람이 남아 있는지 수색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번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로 에어부산의 안전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졌었는데 이번 사고가 나서 안전에 대한 불안감을 키우게 되었습니다

 

설연휴 저비용 항공사들의 탑승객이 급증하는 시기에 발생한 사건이라 향후 항공기 여행객이 줄어들 수 있어 실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에어부산은 진에어와 합병하여 인천공항을 근거지로 하는 대형 저비용항공사로 재탄생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었는데 이번 사고로 이용객이 줄어들 경우 통합 저비용항공사의 실적에 대한 우려도 커지게 되었습니다

 

최근의 잦은 사고는 항공기 탑승객들이 증가하면서 저비용항공사들이 무리하게 항공스케줄을 가져가면서 항공기 정비에 헛점이 발생한 것이 아닌가 우려되는 대목인데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발생한 손실을 조기에 메꾸기 위해 무리하게 스케줄을 짜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구심이 들고 있습니다

 

제주항공도 무안공항 사고 이후 동계 스케줄을 대폭 줄이면서 안전운항을 위한 스케줄 조정에 들어간 모습입니다

 

인명사고가 발생하지 않아 그나마 다행한 것 같은데 이번 사고가 향후 에어부산 실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화재가 진압되고 사고기에 탑승한승객들이 기자들과 인터뷰하면서 승객이 비행기에 갖고 탄 짐 속에 있던 배터리 폭발이 화재 원인일 수 있다는 말이 나왔는데 최소한 비행기 정비 문제가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승객들의 탈출과정에서 승무원들의 대피안내가 없었고 승객들이 항공기 문을 직접 열고 슬라이드를 펼쳐 직접 탈출했다는 증언이 나와 에어부산의 승무원 교육이 위기시에는 제 역할을 못했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에어부산_Q3_KOR_3Q24.pdf
0.93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YO1nIX7jcuc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올해 3분기 월평균 여객기 운항 시간이 418시간으로 국내 6개 항공사 가운데 가장 긴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대형항공사(FSC)인 대한항공(355시간)과 아시아나항공(335시간)은 물론 다른 저비용항공사(LCC)인 진에어(371시간), 티웨이항공(386시간), 에어부산(340시간)보다도 길었습니다.

 

월평균 운항 시간은 총 유상 비행시간을 운영 대수로 나눠 계산하는데 제주항공이 수익성 극대화를 위해 가동률을 과도하게 끌어올렸다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어 사고의 한 이유가 되지 않았나 의구심이 들고 있습니다.

 

이번에 사고가 난 제주항공 7C2216편도 사고 직전 이틀 동안 6개국의 주요 공항을 12차례 운항하면서도 정비와 점검을 할 수 있는 공항 체류 시간이 대부분 1시간 남짓에 불과했던 것으로 드러나 정비 불량 의구심을 사고 있습니다

 

사고 초기 새떼에 의한 버드 스트라이크에 대한 보도가 많았지만 이후 정비 불량 문제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언론사들은 제주항공의 모회사인 애경그룹의 눈치를 살필 수 밖에 없는데 광고수익이 걸려 있기 때문에 애경 눈 밖에 나는 보도를 자제하는 모습입니다

 

제주항공은 8개 국적 항공사 가운데 항공기 평균 기령(사용 연수)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항공기술정보시스템(ATIS)에 따르면, 제주항공 평균 기령은 14.4년으로 대한항공(11.4년), 아시아나항공(12.3년)보다 2, 3년 많았고 같은 LCC인 에어부산(9.7년), 진에어(12.7년), 티웨이항공(13.0년)과도 차이가 났습니다.

 

법규 위반으로 항공 당국으로부터 받은 행정제재도 제주항공이 가장 많았는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항공사별 행정처분 및 과징금, 과태료 등 행정제재 부과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올해 9월까지 10개 국적 항공사가 항공안전법 등 위반으로 총 36차례의 행정처분을 받았습니다.

 

이 중 제주항공이 행정처분을 받은 횟수가 9회로 가장 많았고 이어 대한항공 8회, 티웨이항공 7회, 아시아나항공 4회, 에어인천·진에어 각 2회, 이스타항공·에어서울·에어부산·에어로케이 각 1회였습니다.

 

제주항공은 지난해 운항 및 정비규정 위반으로 11일의 운항 정지 처분을 받았으며, 지난 2022년에도 운항 규정 위반과 위험물 운송으로 각각 7일, 20일의 운항 정지가 내려졌습니다.

 

2019년 이후 올해 8월까지 납부한 과징금 액수도 제주항공이 가장 많는데 제주항공은 37억3800만 원으로 유일하게 30억 원을 넘겼고, 이어 이스타항공(28억6000만 원), 티웨이항공(24억3900만 원), 대한항공(16억2000만 원), 아시아나항공(15억5400만 원), 진에어(13억5900만 원), 에어서울(2억1000만 원), 에어부산(2000만 원) 순이었습니다

 

여기서 눈여겨 볼 수 있는 것은 에어부산이 행정처분도 가장 적었고 과징금 액수도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나 가장 안전한 운항을 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게 됩니다

 

에어부산은 이번 사고기종인 보잉 737-800이 없고 모든 항공기가 에어버스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눈에 띄는 장면입니다

 

국토교통부 항공기 등록 정보에 따르면 현재 B737-800 기종을 101대 운용 중인데 제주항공이 39대로 가장 많고, ▲티웨이항공 27대 ▲진에어 19대 ▲이스타항공 10대 ▲에어인천 4대 ▲대한항공 2대 등으로 에어부산은 A321-200 등 에어버스 여객기로 기단을 구성하고 있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보잉은 사고 소식이 알려지고 곧바로 제주항공과 접촉해 사고 원인 분석애 동참하기로 한 상태로 사고기종이 30년 전에 개발된 기종이고 가장 많이 판매된 기종이기도 해 이번 사고에 보잉이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에어부산은 이번 사고로 가장 큰 반사이익을 볼 것으로 보이는데 진에어와의 합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말들이 나오고 있는데 부산지역 상공인들은 여전히 에어부산의 분리매각을 희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항공기 사고가 나면 항공주와 여행주 전체가 악영향을 받는데 에어부산은 가장 먼저 위기를 벗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에어부산의 경우 항공업계에서 유일하게 2013년부터 현재까지 10만 편 이상을 운항한 국내 항공사 가운데 항공기 사고·준사고가 없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에어부산은 3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 3,500원으로 저평가 구간에 들어 있는 상황으로 이번 사고로 안전한 항공사라는 이미지에 반사이익을 볼 것으로 기대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에어부산_Q3_KOR_3Q24.pdf
0.93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진에어가 3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올해 3분기 매출 3천646억원, 영업이익 402억원, 당기순이익 420억원의 실적을 냈다고 공시했는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3천225억원)보다 13.1% 증가해 역대 3분기 기준 최대를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326억원)보다 23.1% 늘어났으며 2022년 4분기 이래 8개 분기 연속 흑자였습니다.



올해 1∼3분기 누적 실적은 매출 1조1천30억원, 영업이익 1천396억원, 당기순이익 1천44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진에어의 3분기 실적 어닝서프라이즈는 수익이 높은 중거리 노선인 인천공항 홍콩 노선이 복항되고 근거리 노선인 인천공항 일본 다카마쓰 노선의 신규 취항으로 수익성이 빠르게 개선되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일본 노선은 도쿄와 오사카 같은 대도시 뿐 아니라 지방 소도시까지 신규취항을 하기 때문에 일본여행을 즐기는 분들이 대도시를 벗어나 일본 지방소도시를 많이 찾으면서 수요를 제대로 맞춘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진에어는 4분기부터 중국의 15일 미만 무비자 방문을 허용하면서 중국 노선도 신규 취항을 준비하고 있어 추가적인 실적개선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진에어는 모회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통합국적기 탄생 기대감에 아시아나항공의 저비용항공사인 에어부산과 에어서울 같에 통합 저비용항공사 탄생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에어부산에 대해 부산지역 상공인들이 연고지를 지켜줘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어 현 정부에서 통합 저비용항공사 연고지를 부산으로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물론 독과점 우려에 따라 진에어의 매각 가능성도 있는데 이럴 경우 진에어 몸값은 더 올라갈 수 있어 진에어는 주가 재평가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누가 되었던 진에어 인수와 다른 저비용 항공사를 추가로 인수하면 제2 국적기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진에어의 3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 13,500원으로 주가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진에어 2024Q3 실적발표.pdf
4.7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QM95Z5qmKgs?si=w38E-FBXcSvPi-Qu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해외여행 수요가 살아나면서 국내 저비용항공사들의 실적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데 에어부산도 실적호전에 힘 입어 주가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9일 기준 최근 1개월 동안 유가증권시장에서 신용잔고 증가율이 가장 큰 종목은 에어부산으로 파악됐는데 신용잔고는 투자자가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로부터 자금을 빌린 뒤 변제를 마치지 않은 금액으로, 이 잔고가 늘었다는 것은 레버리지(차입) 투자가 증가했다는 의미입니다.

 

에어부산은 한 달 사이 신용잔고가 2천800만원에서 8억9천600만원으로 3천100% 늘어났는데 같은 기간 유가증권시장 전체 신용잔고가 10조2천154억원에서 9조9천810억원으로 2% 감소한 것과 대조적인 모습입니다

 

항공주들은 국제유가가 하락 안정세를 나타내면서 항공유에 대한 부담도 줄어들면서 국내외 항공수요가 빠르게 살아나고 있어 실적회복도 가속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2분기는 여름휴가와 함께 항공수요가 가장 많이 늘어나는 시기라 항공주들의 실적호전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에어부산은 모기업인 아시아나항공이 대한항공과 통합을 앞두고 있어 계열 저비용항공사인 진에어와 에어서울 등과의 관계가 정리되야 할 필요가 있는 상황입니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 총선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보내 준 부산 시민들에게 보답하는 차원에서 에어부산을 중심으로 진에어와 에어서울의 통합을 추진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주가에 선반영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부산엑스포 유치가 29 대 119라는 초라한 성적표로 글로벌 X망신을 당했는데도 불구하고 부산시민들이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를 보내준 데 대한 보답이 필요하다는 PK정서를 윤석열 정부가 외면할 수 없다는 분위기입니다

 

부산 상공인들은 에어부산을 부산 연고의 기업에 매각하던지 아니면 3개 저비용항공사를 통합해 부산에 연고를 두기를 희망하고 있어 무엇이 되었던 에어부산에 유리한 통합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WvBbQYJ0F1M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항공주들의 실적이 호전되는 여름휴가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지난 해 연말부터 급증하기 시작한 해외여행 수요가 올 해도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아직 항공좌석의 수가 부족하고 유류할증료가 비싸 수요 증가 속도가 느려지기도 했지만 국제유가가 급락하면서 유류할증료가 빠르게 내려갈 것으로 보여 항공권 가격 하락세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항공료 인하는 여객수요의 증가를 예고한 것으로 항공사들은 살아나는 해외여행 수요를 살리기 위해 빠르게 항공기도 늘리며 수요를 맞추려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항공주들은 인력구인과 항공기 구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그만큼 해외여행 수요가 급격하게 늘고 있는 실정입니다

 

특히 여름 성수기가 다가오면서 미국과 유럽 등 장거리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는 모습인데 중국의 경우 리오프닝 효과에 힘입어 여객 수가 3개월 사이 4배 넘게 확대됐습니다.

 

휴가철 성수기와 추석 연휴가 겹치면서 저비용항공사의 주가 향방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이 미국의 반대로 실패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중장거리노선을 늘리면서 실적이 빠르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항공주

한진칼

한진칼우

대한항공

대한항공우

진에어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AK홀딩스

티웨이항공

티웨이홀딩스

예림당

 

항공운송 20230530_유진투자증권.pdf
3.33MB
항공운송업 20230613 대신증권.pdf
0.41MB
항공주 20230124 삼성증권.pdf
1.63MB
항공주 20230410_유진투자증권.pdf
0.65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L5z3TyqAk-Q

안녕하세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가족단위 해외여행객들이 늘고 있는데 가까운 일본여행은 시간과 비용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어 항공사들도 일본노선 확대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일본의 수도인 도쿄 뿐 아니라 나고야와 후쿠오카 같은 대도시들과 가고시마, 홋가이도 같은 지방 중소도시들도 많은 가족단위 여행객들을 맞을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적극적으로 해외여행객들을 받아들여 지방경제 부흥에 나서려하고 있는데 지난 1분기 일본을 찾은 해외여행객들 3명중 1명이 한국인일만큼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찾는 나라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1분기 방일외국인 수는 479만명으로 지난해(10만명) 대비 크게 늘었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3월의 65.8% 수준으로 방일외국인 1~2위 국가인 한국과 대만 월간 방문객 수는 코로나19 이전의 79.7%, 69.3%에 불과해 아직 성장세가 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나라는 일본여행과 함께 많은 소비도 함께하고 있는데 일본 지자체는 한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4월29일~5월3일 중국 노동절과 4월29일~5월7일 일본 골든위크를 앞두고 일본 여행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5월8일부터는 일본 방역 규제가 종료되고 중국 여행객 대상 규제도 완화되기 때문에 우리나라를 거쳐 일본을 여행하는 중국인관광객들도 늘어날 것으로 보여 국내 저비용항공사들도 이에 대한 준비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일본 관광청의 ‘관광 입국 추진 기본 계획’도 주목받고 있는데 2025년까지 방일외국인과 1인당 여행 소비액을 늘리고 일본 국내 여행을 활성화한다는 내용으로 일본의 리오프닝에 우리나라 일본관광객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여 국내 저비용항공사들의 실적호전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저비용항공사들은 중국 노선보다 일본노선에 집중하며 빠르게 일본지방도시 노선을 회복시키고있습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유럽과 미주 노선과 같은 장거리 노선에 여객기를 더 투입해 고수익선 노선을 빠르게 회복시키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항공주

한진칼

한진칼우

대한항공

대한항공우

진에어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AK홀딩스

티웨이항공

티웨이홀딩스

예림당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pOzlohkZzpM

안녕하세요

지난 하반기부터 상승세를 타던 항공주들이 올 해 들어와 가격 조정을 받고 있는 모습인데 너무 성급하게 주가를 끌어올렸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유류할증료 때문에라도 비싼 항공료에 생각만큼 해외여행이 급증하지 않아 차익실현이 나온 때문인 것 같습니다

 

아직은 해외노선이 다 회복되지 않아 일본과 동남아를 중심으로 해외노선을 늘려왔는데 중국노선은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열릴 것으로 보여 2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과 2월 김포공항과 인천공항을 이용한 국제선 여객은 각각 397만7806명, 388만9373명으로 집계됐고 전년 1월(35만8862명)·2월(32만1052명)과 비교하면 10배 넘게 증가한 수치입니다.

 

중국이 그동안 엄격하게 시행했던 '제로 코로나' 정책을 일부 완화하면서 중국행 항공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 중국 당국은 지난달 26일부터 시작된 항공업계 하계 스케줄에서 국제선 정기 노선을 지난달 초 주 790편에서 주 6772편까지 8배 이상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항공사들도 빠르게 노선을 확대하고 있는데 대한항공은 현재 주 13편이었던 중국 노선을 이달 말 84편, 5월부터는 주 99편까지 확대하고 아시아나항공은 현재 주 10편인 중국 노선을 오는 26일부터 본격적으로 증편해 4월 주 89회까지 늘릴 예정입니다.

 

LCC도 중국 노선 확대 경쟁에 뛰어들었는데 예를 들어 제주항공은 중국 노선 편수를 기존 주 5회에서 주 16회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몽골은 관광뿐만 아니라 유학생, 비즈니스, 근로자 등 수요가 꾸준했던 지역이어서 알짜 노선으로 꼽히지만 인천국제공항과 부산공항 단 두 곳에서만 운항해왔는데 그 동안 인천~몽골행 운수권을 가진 항공사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뿐이었지만 지난해부터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역시 여름 성수기에 한해 비행기를 띄울 수 있게 되면서 몽골 노선 확대에 공을 들이고 있고 제주항공은 오는 6월 1일부터 주 4회 일정으로 인천~몽골 울란바토르 노선을 운항한다고 9일 밝혔습니다.

 

김포공항도 중국노선을 다시 오픈하여 이제는 인천공항과 함께 김포공항으로 중국여행을 손쉽게 갈 수 있는 시대가 왔습니다

 

일본관광객 증가추세와 맞물려 중국인 한국방문이 증가할수록 항공사들의 실적회복 속도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이는데 중국인 단체관광객 허용이 막혀 있는데도 개인자유여행으로도 명동거리가 북적이는 것은 중국인 여행객 증가를 단적으로보여주는 증거이고 이는 항공사들의 발빠른 중국 항공노선 확대로 연결되고 있습니다

 

항공사들의 실적이 본격적으로 회복되는 시기가 도래하여 상반기 중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하는 항공사가 나올 것도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항공주

한진칼

한진칼우

대한항공

대한항공우

진에어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AK홀딩스

티웨이항공

티웨이홀딩스

예림당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nanA-SQMBy4

안녕하세요

우리 정부가 중국인들에 대한 방역을 완화하자 중국 정부도 동일한 조치를 취하며 한국인에 대한 단기입국비자 발급을 재개했습니다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은 일본 노선 뿐 아니라 중국노선에서도 수익개선 기회가 생겨 빠르게 실적개선에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관광객 유치는 각국 정부가 침체된 내수경제를 살리는 지름길로 여기고 있는데 일본정부는 내수침체를 개선하고 지방경제를 살리기 위해 방역지침을 조기에 완화하고 해외관광객을 받으면서 우리나라 관광객들이 급증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3시간 내외로 갈 수 있는 해외여행지가 늘어난 것으로 저비용항공사들의 주력노선에서 갈 곳이 많아졌다는 사실이기도 합니다

 

중국지역은 마지막까지 코로나19가 기승이라 재개방이 늦어졌지만 싼 해외여행지로 중국만한 곳이 없기 때문에 효도관광으로 많이 가던 곳이라 여행사들에게도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근거리 해외여행지로 중국과 일본이 저비용항공사와 여행사들에게 주요 수익처가 되어 왔던 곳들이라 해외여행 수요가 빠르게 정상화될 것 같습니다

 

다만 현 정부의 외교안보라인을 잡고 있는 뉴라이트들이 친일정책과 혐중론에 경도된 사람들이라 중국과 외교마찰을 빚을 일을 또 만들 경우 중국 여행 시장이 얼어붙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저비용항공사들도 일본여행 시장이 폭발적으로 급증하면서 일본노선을 빠르게 늘리고 있지만 중국시장은 혐중론에 효도관광외에는 아직 별다른 움직임이 없는 것 같습니다

 

 윤석열 정부는 중국의 단기 비자 발급 재개에 따라 이달 말까지 주 62회인 한·중 간 국제선 항공편을 주 80회로, 다음 달부터는 주 100회까지 단계적으로 늘려 나갈 계획입니다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한 국내단체여행이 풀려야 항공사와 여행사들도 수익이 확실히 증가할텐데 이 부분에 대한 해제는 아직 불확실해 보이는 측면이 있어 항공주와 여행주의 발목을 잡는 사안이 되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혐중론에 입각한 멍청한 정책으로 중국인 단체관광객을 받아들여 우리 상품과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 개선과 여행수지 개선의 절호의 기회를 놓친 꼴이다 중국 정부의 압력에 굴복해 먼저 중국인에 대한 한국단기비자 재개를 한 꼴이라 국격이 우습게 된 모습입니다

 

도데체가 윤석열 정부의 멍청한 외교안보정책을 어떤 바보들이 하고 있는 것인지 한심할 따름인데 우리 기업들만 손해 보는 꼴이라 마치 2019년 7월 일본우익 아베정부가 자해공갈단처럼 우리나라에 대해 수출규제를 들고 나온 것과 다를 바 없는 정책이라 생각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여행주

노랑풍선

하나투어

모두투어

참좋은여행

레드캡투어

세중

GKL

강원랜드

파라다이스

호텔신라

글로벌텍스프리

항공주

한진칼

한진칼우

대한항공

대한항공우

진에어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AK홀딩스

티웨이항공

티웨이홀딩스

예림당

 

항공 여행 20230113_유진투자증권.pdf
0.66MB
항공여객_20230214 하나증권.pdf
2.8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dwhbwad3aRw

안녕하세요

설연휴 해외여행객의 폭발적 급증에 여행주와 항공주가 간만에 급화색이 돌고 있는 모습입니다

 

코로나19팬데믹에 해외여행 욕구가 억눌려져 있다가 이번 설연휴에 폭발한 것으로 아이들이 있는 가정들은 괌과 사이판 그리고 동남아 휴양지를 중심으로 해외여행을 갔고 어르신을 모시고 가는 가족여행과 지인끼리의 여행은 가까운 일본으로 몰린 양상입니다

 

이번 설연휴를 전후해서 일본노선에 대해 저비용항공사들의 특가항공권 마케팅이 먹힌 것으로 일본 방문객 중 우리나라 사람들의 비중이 30%에 육박한다는 통계가 나올 정도로 급증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1시간 10분 비행거리는 큐슈지역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몰리면서 오래간만에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는데 2019년 7월 일본우익 아베정부의 수출규제정책으로 촉발된 안티일본운동과 코로나19팬데믹으로 일본 지역경제와 관광업계가 폭망했는데 이후 처음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다시 일본여행을 시작하고 있어 큐슈지역은 오랜만의 손님맞이에 신이 난 모습입니다

 

후쿠오카시의 관광객은 대부분이 한국인이라고 할만큼 우리나라 사람들에 대한 관광의존도가 높은데 일본우익 기시다 정부의 혐한론에 기반한 정부관료의 발언이나 정책이 나올 때마다 후쿠오카시가 나서서 항의하는 모습은 오랜만에 찾아와 달러를 풀어대고 있는 한국인 고객들을 놓치기 싫기 때문일 겁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20~24일 5일간 약 61만 6074명, 일 평균 기준 약 12만 3215명의 여객이 인천공항을 이용할 전망인데 이는 지난해 설 연휴 대비 1291% 증가한 수치로 다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대비로는 61% 회복한 수준이라 아직은 갈 길이 먼 모습입니다.



이번 설 연휴 기간 중 이용객이 가장 많은 날은 21일로 13만 1250명이 인천공항을 이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반면 같은기간 제주를 찾는 관광객은 감소할 전망으로 제주관광협회에 따르면 제주도 입도객은 18만8000명으로 지난해 설 연휴 기간에 비해 1만5000명(7.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는데 제주지역 물가가 여행객들에게 바가지 상술이라 느끼게 한 것이 해외여행에 대한 선호도를 높인 결과로 나오고 있습니다.

 

동남아지역 해외여행객 수요가 증가하면서 저비용항공사들의 중장거리 노선용 항공기도입도 증가하고 있는데 단거리 알짜 노선인 일본노선용 단거리 비행기 뿐 아니라 싱가폴과 호주 여행이 가능한 중장거리 노선용 항공기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모습입니다

 

저비용항공사들은 일본노선 확대를 위해 일본 지방도시 재취항도 서두르고 있는데 일본우익 정부는 지방정부의 요구에 재취항을 허가해 주고 있는 상황으로 저비용항공사들은 빠르게 실적을 개선해 올 해 흑자전환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다만 이미 설 연휴 전 주가 급등이 나온 상태라 오히려 단기 급등에 대한 피로감으로 차익실현 매물이 등장할 수 있어 숨고르기 양상을 일시적으로보일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해외여행이 급증한 만큼 외국인 관광객들이 늘어줘야 여행수지가 균형을 이룰텐데 중국인단체관광객이 막혀 있어 여행수지는 적자를 나타낼 가능성이 커 올 해 경상수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여행주

노랑풍선

하나투어

모두투어

참좋은여행

레드캡투어

세중

GKL

강원랜드

파라다이스

호텔신라

글로벌텍스프리

항공주

한진칼

한진칼우

대한항공

대한항공우

진에어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AK홀딩스

티웨이항공

티웨이홀딩스

예림당

항공주 20230124 삼성증권.pdf
1.63MB
항공 여행 20230113_유진투자증권.pdf
0.66MB
관광 트렌드 전망 전문가 및 소비자 조사 보고서_통합(최종).pdf
6.35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BGAjMYvJfDE

안녕하세요

저비용항공사들의 주가가 날개를 달고 있는 모습인데 코로나19팬데믹이 끝나면서 격리없이 해외여행이 가능해 지고 있어 항공사들이 마케팅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정부가 해외관광객들을 유치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저비용항공사들에게는 실적회복의 호기를 맺고 있습니다

 

일본 여행이 본격적으로 재개되면서 항공주들의 주가를 끌어 올린 것으로 분석되는데 증권가에 따르면 작년 12월 국제여객 수는 407만명으로 전월대비 32% 상승했고 주요 노선 별로는 미주 40만명, 유럽 26만명, 일본 81만명, 동남아 139만명, 중국 8만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작년 10월 이후 저가항공사를 중심으로 국내 항공사들의 일본 노선 증편이 가파르게 이루어지면서 일본 여객 수는 전월대비 46% 올랐습니다.

 

에어부산은 부산지역을 근거지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노선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어 일본여행 자유화가 이뤄지면서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에어부산은 코로나19팬데믹으로 미뤄두었던 중형기 도입을 서두르고 있어 중장거리 노선도 확대해 갈 것으로 보여 빠르게 실적회복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에어부산은 모회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통합국적기 탄생에 따라 에어서울과 진에어와의 합병 가능성도 커지고 있고 때에 따라서는 매각대상이 될 수 있어 몸값이 추가적으로 올라가는 측면이 있습니다

 

실적과 M&A 재료로 에어부산은 오버슈팅에 들어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에어부산 2019 BNK투자증권.pdf
0.92MB
2019년 자료
2019년 자료

https://youtu.be/glrlDWfB8fY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com/shorts/N6cgUfZY5i8?feature=share 

 

안녕하세요

에어부산이 본격적인 해외여행객 증가에 발맞춰 해외노선의 증편에 나서고 있습니다

 

에어부산은 ▲오사카 ▲후쿠오카 ▲타이베이 ▲다낭 등 관광객이 몰리고 있는 인기여행 노선의 항공편 수를 확대 운영하는데 우선 내년 설 연휴 기간(1월 20일~24일)동안 현재 매일 왕복 2회 운항 중인 부산-오사카 노선을 3회로 증편해 운항하며 매일 1회 운항 중인 부산-타이베이 노선은왕복 2회 운항할 예정입니다.



인천공항에서도 후쿠오카 노선은 1회에서 2회로, 오사카 노선은 1월 21일과 24일에 한 해 3회로 증편하여 운항하며 베트남 다낭에는 부정기편을 투입해 매일 왕복 1회 운항할 계획으로 이에 따라 에어부산은 설 연휴 기간 동안 총 5개 노선에 38편의 항공편을 추가로 투입하게 됩니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올해 정상적인 노선 운영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탄력적인 항공편 운영을 통해 틈새시장을 발굴, 매출증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며 "내년 설 연휴도 이러한 전략에 따라 인기 노선에 추가 항공편을 투입하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에어부산은 통합국저기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에 맞춰 저비용항공사들의 구조조정에 대비해야 하는데 진에어와 에어부산, 에어서울이 하나의 저비용항공사LCC로 통합하여 통합국적기의 자회사로 남거나 아니면 각자 매각되거나 선택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지주회사법에 따라 자회사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 3사 통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이에 따른 비용과 독과점 문제가 이슈가 될 수 있어 매각도 고려해 볼 수 있는 상황입니다

 

무엇이 되었던 실적을 개선해야 제대로 몸값을 평가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무리해서라도 해외노선 증편에 나서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에어부산을 매각한다면 CJ그룹과 한화그룹이 탐낼만 한데 다른 중견그룹들도 욕심을 낼만한 매물이라 인수대기자들은 많기 때문에 실적만 회복시키면 충분히 좋은 몸값에 매각할 수 있을 겁니다

 

항공업이 허가제 사업이라 시장 진입에 제한이 가기 때문에 항공사 매물은 제값을 받을 수 있는 물건입니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감안하면 에어부산의 주가는 너무 낮아졌다는 느낌이 듭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VLDQnCi5hI

안녕하세요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아 중단됐던 일본 노선이 운항을 재개하는 가운데 11월 재운항하는 노선들이 늘고 있습니다.

 


대한항공은 김포~하네다 노선에 KE 2101/2, 2103/4를 투입 각각 투입해 매일 운항하고 또, 인천 ~나리타의 경우, KE703/704, KE705/706을 투입해 매일 운항할 예정이며 아울러, 인천~오사카의 경우, KE723/724, KE725/726을 투입해 매일 운항할 계획이고 인천~후쿠오카의 경우, 10월에는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 운항했지만 11월부터 KE 787/788을 투입해 매일 운항합니다.

 



인천~나고야의 경우, 10월 간 운영하던 수, 목, 토, 일 운항편을 11월 20일까지 진행한 뒤, 21일부터 매일 운항하는 것으로 변경하고 부산~나리타의 경우, 이달 12일까지 수, 금, 일요일 운영했으며, 13일부터 11월 한달에도 KE2129/2130 편을 투입해 매일 운항할 예정입니다.

 



LCC인 제주항공의 경우, 인천~나리타의 경우 11월 22일 기준 10월 30일과 비교해 21회에서 28회로 증편하고 또, 인천~오사카의 경우 11월 4일부로 14회에서 21회로 늘리며 인천~후쿠오카의 경우, 21회에서 28일로 늘리고 이에 10월 30일 기준 주 126회, 11월 22일 기준 154회로 늘리는 데 이어 12월 기준 주 168회까지 늘릴 예정입니다.

 



티웨이항공의 경우, 현재 운항 중인 일본 도시는 인천~도쿄, 오사카, 후쿠오카로 11월부터는 인천~삿포로, 대구~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및 부산~오사카, 제주~오사카를 재운항할 예정이며 12월의 경우, 인천~오키나와를 재운항할 계획입니다.



에어서울은 30일부터 인천~오사카, 인천~후쿠오카 노선의 운항을 재개하는데 두 노선 모두 하루 한 편, 주 7회 운항으로 시작하며, 인천~오사카는 11월 21일부터는 각각 하루 두 편씩 주 14회 운항으로 증편하며 현재 주 2회 운항 중인 인천~도쿄(나리타) 노선 역시 10월 30일부로 주 7회로 증편하며, 11월 21일부터는 주 14회로 증편할 예정이며 또한, 11월 23일에는 인천~다카마쓰 노선에 재취항할 예정으로 일본 소도시 지방공항 노선이 재개되는 것은 국적항공사 중 에어서울이 처음입니다.



에어서울 관계자는 “일본의 무비자 입국이 재개되고 난 후 일본 노선 수요가 크게 늘었다”며 “연말에는 일본 여행 수요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고, 일본 노선 취항 및 증편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본노선은 항공사들에게 알짜배기 노선으로 평소에도 왕래가 많은 편인데다 겨울철 온천관광수요가 있어 빈자리 없이 운항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여행자유화로 격리 걱정없이 방문할 수 있는데다 엔화약세로 이전보다 싸게 일본여행을 할 수 있어 많은이들이 찾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항공사들은 항공권이 비교적 비쌀 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재취향을 빠르게 복항시키고 있고 신규로 일본 중소도시 취항을 서두르고 있어 조만간 항공료 인하경쟁이 재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해외여행의 시작을 일본부터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사실은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다녀올 수 있고 비행시간이 짧은 것도 일본여행 증가의 한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일본노선의 증가로 항공료는 점차 내려가겠지만 그 만큼 일본 방문객들도 증가하고 있어 저비용항공사들의 수익성 회복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항공주

한진칼

한진칼우

대한항공

대한항공우

진에어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AK홀딩스

티웨이항공

티웨이홀딩스

예림당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VLDQnCi5hI

안녕하세요

코로나19펜데믹 상황에서 해외여행의 제약이 늘면서 국내 여행지인 제주도 여행객들이 급증했는데 국내 저비용항공사들도 제주도 노선을 늘리면서 치열한 경쟁에 빠져들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엔데믹 상황으로 바뀌자 예전에 인기 여행지였던 제주도가 바가지요금과 렌트카 불편에 일본으로 여행지를 변경하는 여행객들이 늘고 있습니다

 

중국은 코로나제로정책으로 여전히 봉쇄정책을 고집하고 있어 여행객이 늘지않고 있지만 일본은 엔저에 여행자유화를 추진하면서 해외여행객들을 유인하고 있습니다

 

저비용항공사들은 일본여행객들이 급증하자 여기에 맞춰 일본노선 증편을 서두르고 있는데 아직까지는 일본 항공권이 코로나19팬데믹 이전보다 최소 3배가 비싼 상황이지만 모처럼 열린 해외여행에 예약석이 금새 동나고 있습니다

 

저비용항공사들도 일본노선이 예전에도 효자노선으로 하루에 2회이상 운항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익성이 좋은 노선으로 인식되어 오고 있습니다

 

여기다 엔저로 일본여행객들의 부담이 덜해지면서 일본항공노선이 저비용항공사의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항공주와 여행주들이 모처럼 살아나는 해외여행 수요에 신상품들을 내놓고 있는데 유류할증료가 떨어지지 않고 있어 아직은 항공료가 싸질 것 같지는 않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여행주

노랑풍선

하나투어

모두투어

참좋은여행

레드캡투어

세중

GKL

강원랜드

파라다이스

호텔신라

글로벌텍스프리

항공주

한진칼

한진칼우

대한항공

대한항공우

진에어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AK홀딩스

티웨이항공

티웨이홀딩스

예림당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j6VQ4wCk2TI

안녕하세요

일본이 경기침체와 엔화가치 폭락에 결국 자유여행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위기를 넘기기로 하면서 항공사와 여행사가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항공사들가 여행사들은 일본여행상품을 늘리고 있는데도 예약이 넘치면서 항공권 가격도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항공사들은 코로나19 의료서비스와 방역대책 등으로 중국보다 일본관광시장이 호황을 보일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노선은 하루 2회 이상 비행이 가능한 가까운 여행지로 항공사들에게는 황금알을 낳는 노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부분의 일본 노선은 만석에 가까울 정도로 예약률이 높은 것으로 전해습니졌다

.

이날 기준 제주항공의 10월 인천~나리타 예약률은 90% 중반에 육박하는데 지난달 21일 기준 50% 후반에 머물렀던 예약률이 최근 폭등하며 노선도 늘리고 있습니다.



인천~오사카, 인천~후쿠오카, 부산~나리타도 예약률이 90% 초반에 달하며, 부산~오사카·후쿠오카는 각각 80% 후반, 80% 초반의 예약률을 기록 중입니다.



티웨이항공 역시 일본 노선 예약률이 지난달 26일 기준 67%에서 전날 기준 90% 이상으로 치솟았고 항공사들은 일본행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증편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대한항공은 이날부터 인천~나리타·오사카를 기존 주 7회에서 14회로 증편했고 인천~후쿠오카는 이달 14일부터 주 3회 일정으로 운항을 재개하고, 인천 삿포로는 이달 30일부터 운항을 재개합니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달 30일부터 인천∼나리타를 주 10회에서 12회로, 인천∼오사카를 주 7회에서 10회로, 인천∼후쿠오카를 주 3회에서 7회로, 인천∼나고야를 주 2회에서 3회로 각각 증편합니다.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도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등의 노선을 증편할 예정인데 항공사들의 증편이 계속되면 일본 노선 운항 규모는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의 절반 수준까지 회복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 항공사 관계자는 "무비자 입국 허용 첫날인 오늘을 포함해 10월 일본 노선 항공편 대부분이 만석에 가깝게 예매됐다"며 "증편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면 공급 부족 문제가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여행업계도 무비자 입국 허용 이후 일본 여행 예약률이 급증했습니다.



하나투어는 지난달 일본 여행 예약률이 8월 대비 625% 증가했으며 모두투어는 1천200% 올랐다고 밝혔습니다.

 

모두투어의 경우 전체 예약 중 일본 여행 비중은 22% 수준으로 도쿄·오사카 에어텔 상품 인기가 높았습니다.

 

참좋은여행은 10월 일본 여행 출발자 수가 9월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3천664명이라고 밝혔고 이는 불매운동 이전이던 2018년 4천838명의 약 76% 수준입니다.



참좋은여행 관계자는 "일본 무비자 입국 재개와 더불어 일본 여행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며 "올겨울 일본 여행 수요는 불매운동 이전 수준을 거의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여행사들은 일본 무비자 여행 재개에 발맞춰 항공권 최저가 보상제 등의 각종 프로모션도 전개하고 있습니다. 



유통·면세업계는 일본 여행 수요 증가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했습니다.



G마켓은 지난달 23∼30일까지 일본 여행상품 판매가 전월 같은 기간보다 1천816% 증가함에 따라 패키지/에어텔 상품에 할인쿠폰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롯데면세점은 할인쿠폰을, 신라면세점은 환율 보상 혜택 등을 제공합니다.

 

여행업계와 항공업계가 모처럼 활짝 열린 일본자유여행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모션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여행주

노랑풍선

하나투어

모두투어

참좋은여행

레드캡투어

세중

GKL

강원랜드

파라다이스

호텔신라

글로벌텍스프리

항공주

한진칼

한진칼우

대한항공

대한항공우

진에어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AK홀딩스

티웨이항공

티웨이홀딩스

예림당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qzL7arzgsz4

안녕하세요

대규모 유상증자를 진행한 에어부산이 신주 상장을 앞두고 급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5일 장 종료 기준 에어부산은 전 거래일 대비 24.31% 급락한 2,32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에어부산의 주가 급락은 유상증자 신주 출회에 따른 ‘오버행’(잠재적 매도물량) 우려에 개인투자자와 기관투자자에서 투매에 가까운 매물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앞서 에어부산은 자본잠식 해소를 위해 무상감자와 1339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동시에 진행했는데 발행 신주는 5200만주로 발행주식총수(6464만주, 무상감자 기준)의 76.49%에 해당하는데 지난달 구주주청약 및 실권주 일반청약을 마무리했으며, 오는 7일 신주가 상장할 예정입니다.

 

한편, 코로나19 이후 에어부산의 유증은 총 세 차례 이어졌는데 지난 2020년 유상증자로 836억원을 확보했고 1년 뒤 두 번째 유증을 통해 2271억원의 자금을 확보했고 이번이 세 번째 유증으로 1,339억원을 마련했는데 유상증자 신주가격은 2,575원으로 오늘 폭락으로 신주 가격보다 낮아지게 된 것입니다

 

거래량도 642만여주가 거래되면서 이성을 읽은 거래도 많았던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성을 찾은 투자자들은 다시 유상신주가격보다 낮아진 가격에 저가매수에 나설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