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4R3oVOcKEQo

미국산 대전차미사일 재블린

안녕하세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뒤 단 시일안에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브를 점령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크림반도를 러시아에 빼앗기고 서방 무기로 무장한 우크라이나군의 강한 저항에 러시아군이 좀처럼 진격속도를 못 내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있어 자칫 장기전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개전 초기 러시아군의 기습으로 우크라이나군이 흔들리기는 했지만 끝까지 수도 키이브를 지키고 있는 젤렌스키 대통령과 조국을 지키기 위해 자원하는 우크라이나 젊은이들의 용기에 우크라이나군은 저항을 키우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산 대전차미사일 재블린은 러시아 전차킬러로 러시아군의 진격을 막고 있는 유용한 무기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가격이 미사일 한 발당 8만 달러(약 9600만원)에 달해 비싸긴 해도 미국은 미군이 참전하는 대신 재블린 미사일을 포함해 대공 시스템‧방탄복 등 3억5000만 달러(약 4216억 원) 규모의 무기를 추가 지원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영국산 차세대 경(輕) 대전차 무기 NLAW(Next generation Light Anti-tank Weapon)도 러시아군을 겁나게 하는 무기인데 비교적 단거리에서 러시아군의 경전차와 장갑차들을 사냥하고 있어 러시아군의 진격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무기시장에서 미국과 영국은 전통의 강자로써 이번에도 실전에서 확인시켜주고 있는데 러시아군의 장갑차들이 휴대용 대전차무기들에 의해 박살이 나면서 러시아는 대량살상무기에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이 아닌가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미국산과 영국산 무기들이 성능을 확인시켜 주고 있고 우크라이나 주변 폴란드와 슬로바키아, 헝가리 등은 우리나라의 K-9자주포와 FA-50 경공격기 등 가성비 좋은 무기들에 관심을 갖고 있는 모습입니다

 

미국산 대전차미사일 재플린과 영국산 경전차 미사일 NLAW와 비교되는 우리의 현궁 대전차미사일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미 전력화되어 판매가 되고 있는 무기입니다

 

국산 방위산업 관련주들은 수출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는데 내수 뿐 아니라 수출에서도 실적을 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방위산업관련주

한화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솔트웍스

STX엔진

휴니드

퍼스텍

스페코

빅텍

한일단조

 

 ‘성스러운 재블린’(St. Javelin)
현궁 대전차미사일
현궁 대전차미사일

https://youtu.be/lIVtB-8fQ7E

영국산 대전차미사일 NLAW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718ojZhTxxM

안녕하세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되었습니다

 

지난 번 크림반도를 무력점령한 때와 똑같은 수순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개시된 것인대 그 때도 친러 주민들의 주민투표를 빌미로 군사행동을 개시했는데 사전에 러시아군을 친런반군으로 둔갑시켜 무련분쟁을 만들어내고 이를 막고 평화유지 활동을 빌미로 러시아군이 침공해 영토를 강탈했습니다

 

다만 역사적으로 크림반도는 러시아인들이 집단 거주하여온 곳이고 우크라이나인들과는 구분되는 거주지라 러시아군의 점령에 반발이 별로 없던 지역입니다

 

돈바스 지역도 라시아계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으로 이미 주민투표를 통해 러시아에 넘어가기를 바라는 지역인 공통점이 있는데 사람만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영토도 함께 넘어가게 되어 우크라이나에게는 결코 물러설 수 없는 선이 되고 있습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돈바스 지역에 대한 러시아군 진군을 크림반도 때와 같이 보는 것 같은데 그때와 지금은 우크라이나군의 무장 정도와 훈련 정도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러시아군이 크림반도를 점령할 때와 같이 쉽지만은 않을 겁니다

 

푸틴은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영토에 진입해도 미국과 서방이 군사적으로 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러시아군을 진군시킨 것으로 이번 전쟁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국지전으로 제한하려는 것 같습니다

 

미군은 폴란드와 루마니아와 같이 우크라이나 주변에 머물 뿐 우크라이나 영내로 진입하지 않고 있는 것도 핵무기를 보유한 국가끼리 직접 무력충돌을 피하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보입니다

 

지난 번 문재인 대통령의 동유럽 국빈방문에서 원전수출과 함께 방위산업 수출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뤄졌는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미국산 무기구매도 이뤄지겠지만 K방위산업의 수출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K-9자주포와 FA-50경공격기는 동유럽 국가들의 예산안에서 충분히 구매할 수 있는 첨단무기라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현실화 될 경우 서방과 함께 제재에 동참할 것이라고 선언해 놓은 상황이라 우리나라 방위산업의 한국산 무기들은 동유럽 국가들의 선호하는 무기가 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러시아는 미국산 무기의 철수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고 가성비가 좋은 한국산 무기에 동유럽 국가들이 관심이 많은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방위산업관련주

한화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솔트웍스

STX엔진

휴니드

퍼스텍

스페코

빅텍

한일단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If6XkwDKXew

안녕하세요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연일 이어지면서 한반도 평화가 물건너가는 것이 아닌가 우려되는 시점인데 북한이 대결구도를 강화시키면서 북미정상회담인 싱가폴 선언 이후 중단했던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과 핵실험을 다시 재개할 수 있다는 위협을 해 오고 있습니다

 

미국이 유엔을 통한 대북제재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북한 최고지도자인 김정일 국무위원장이 직접 ICBM발사 재개와 핵실험을 언급했다는 측면에서 긴장도가 최고조에 도달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엔안보리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의 대북제재를 견제하면서 미국의 뜻대로 북한측 인사들에 대한 추가제재는 실제로 추가되지 않았습니다

 

퍼스텍은 방위사업주 중에서 가장 민감하게 주가가 반응하고 있는데 후성그룹 계열사로 항공우주와 유도무기, 지상무기, 해상수중무기, 무인전투로봇 등 다양한 방위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퍼스텍은 대표적인 방위사업체로 알려지면서 묻지마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데 시장이 불안해 지면서 그나마 상승하고 있는 종목에 매수세가 더 집중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vmmADg6hF70

안녕하세요

퍼스텍이 삼성전자의 로봇인수합병(M&A) 기대감에 거래량이 터지면서 상한가까지 급등했습니다

 

퍼스텍은 2018년 산업통상자원부 로봇산업융합핵심기술 개발사업인 수직이착륙 비행로봇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는데 2012년 지식경제부의 로봇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일환으로 진행했는데 퍼스텍이 주관하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카이스트, 드론 개발 전문업체 유콘시스템 등이 개발에 참여했습니다

 

퍼스텍은 군사용 무인로봇에 이전부터 투자해 왔는데 드론 전문기업인 유콘시스템을 인수하면서 군사용드론 시장도 진출한 상황입니다

 

한편 삼성전자는 "CES2022"에서 한종희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이 로봇 M&A 추진 가능성을 언급해 국내 증시의 로봇관련주를 들썩이게 만들었습니다

 

LG전자는 로보로보와 SG로보틱스를 인수하여 일찌감치 로봇시장에 뛰어들었고 현대차그룹은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일본 소프트뱅크로부터 인수하여 본격적인 로봇시장 진출을 선언한 상황입니다

 

삼성전자도 삼성봇을 자체 개발하여 로봇시장 진출을 선언한 상황이지만 다른 그룹에 비해 뒤쳐진 양상을 보여주고 있어 M&A를 통해 단번에 상황을 역전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퍼스텍은 군사용 무인로봇 시장에 강점을 가진 상장사로 삼성전자가 탐낼 수 있는 기술과 시장을 갖고 있는 기업으로 인식되고 있어 최근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CBq0RFsguc

안녕하세요

퍼스텍 주가가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로봇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영향을 받는 모습입니다

 

삼성전자가 대형 인수·합병(M&A)에 나설 가능성이 주목 받으면서 로봇 관련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 로봇 부문도 삼성전자의 M&A 유력 분야 가운데 하나로 꼽히고 있기 때문인데 삼성전자는 자체 개발한 첨단 로봇 기술을 보행 보조, 서빙, 가정생활 보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등 로봇 사업을 육성하고 있고 또 최근 로봇사업화 태스크포스(TF)'를 '로봇사업팀'으로 격상해 사업 강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퍼스텍은 7일 오전 11시37분 기준 전거래일 대비 14.4%(350원) 오른 2815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한종희 삼성전자 DX부문장(부회장)은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전자·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2' 현장에서 M&A 추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조만간 좋은 소식이 있을 것 같다"고 말하면서 삼성전자가 M&A에 나설 기업이 어디인지 시장참여자들의 기대심을 올려좋고 있습니다




퍼스텍은 국가 방위사업체로 지정된 이후 T-50, 수리온, 단거리지대지, 지대공 유도무기, K-9 자주포, K-10 탄약운반차 등 굵직한 체계사업에 참여하고 있는데 다양한 분야에서 발사통제장비, 구동장치, 환경조절장치, 열교환기, 자동소화장치 등을 개발·생산하며 퍼스텍의 기술 및 품질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퍼스텍은 2018년 산업통상자원부 로봇산업융합핵심기술 개발사업인 수직이착륙 비행로봇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는데 2012년 지식경제부의 로봇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일환으로 진행했고 퍼스텍이 주관하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카이스트, 드론 개발 전문업체 유콘시스템 등이 개발에 참여했습니다.




퍼스텍은 지상시스템 및 체계 기술을 담당하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카이스트, 유콘시스템은 ▲비행체 및 정밀제어 ▲목표물 추적 ▲항전장비와 임무장비 기술을 각각 담당했습니다.

 

동부전선에서 월북사건이발생하면서 155마일 휴전선에 대한 감시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드론을 통한 감시체계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퍼스텍은 자회사인 유콘시스템을 통해 드론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방위산업으로 관련기술의 수익화를 시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퍼스텍 방위사업체.pdf
2.56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퍼스텍이 산업통상자원부 국책과제의 일환으로 삼성과 로봇산업융합핵심기술개발사업을 진행했다는 소식에 상한가로 급등했는데 삼성이 연말 로봇사업팀을 신설한데 따른 영향이 만든 결과입니다.

 



27일 장 종료 현재 퍼스텍은 전일 대비 29.89% 오른 289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퍼스텍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수행한 로봇산업융합핵심기술개발사업에 참여했는데 여기에는 삼성도 함께 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글로벌 로봇 시장의 성장세가 예상되면서 국내 대기업들이 미래먹거리로 선정하고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최근 조직개편을 통해 기존 ‘로봇사업화 태스크포스(TF)’를 ‘로봇사업팀’으로 격상 시켜 상설 조직으로 바꿨고 앞서 삼성전자는 올해 초 김현석 전 삼성전자 소비자가전(CE) 부문 사장 직속으로 임시 조직인 로봇 TF를 신설한 바 있습니다

 

로봇산업이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으로 산업용 로봇 뿐 아니라 서비스로봇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어 가전업체들의 시장 진출이 활발한 상황입니다

 

일본은 대표적인 노인국가로 노인돌봄을 반려로봇을 통해 해결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지자체를 중심으로 노인돌봄 로봇의 도입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스마트폰 사업에서 철수했지만 서비스로봇에 대한 투자를 늘리면서 신시장에 대한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대기업의 투자에 퍼스텍 같은 중소벤처기업들은 보유기술을 가지고 이들 대기업과 협력하면서 시장성장에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로봇산업기술개발사업 RFP 및 품목서.hwp
6.9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jBPWUAOveoc

안녕하세요

증권사에서도 탄소배출권 거래가 가능해집니다.

 

한국거래소는 오는 20일부터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등 증권사 20곳이 배출권 거래를 시작한다고 19일 공개했습니다.



기존에는 할당업체 650여곳 및 시장조성자 5곳(한국산업은행·중소기업은행·한국투자증권·SK증권·하나금융투자)만 배출권을 거래해왔으나 배출권 시장 활성화를 위해 증권사도 회원으로 허용했는데 이번에 참가하는 증권사는 교보증권, 대신증권, 메리츠증권, 미래에셋증권, 부국증권, 삼성증권 등입니다.



거래 대상은 정부가 기업에 할당한 할당배출권(KAU)으로 할당배출권이란 정부가 업체별로 정한 배출허용량에 해당하는 배출권을 할당한 것을 뜻하는데 이들 증권사는 고유 재산을 운영하는 자기매매만 할 수 있고 고객 재산을 운영하는 위탁매매는 향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거래소는 "증권사의 시장 참여를 계기로 배출권 시장에 합리적인 탄소 가격이 형성돼 정부의 '탄소중립 추진전략' 이행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한편 배출권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2018년 16억원, 2019년 20억원에서 작년 25억원으로 증가했고 지난 15일 기준 일평균 거래대금은 23억원입니다.

 

아직 탄소배출권 거래를 통해 큰 시세를 내기에는 시장이 작지만 증권사들이 참여한 이상 탄소배출권 시장의 거래규모도 빠르게 커질 수 있고 수익성도 빠르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탄소배출권시장의 성장은 정부의 탄소배출 감축속도 가속화로 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탄소배출권 관련주

후성

한솔홈데코

퍼스텍

에코프로

휴켐스

시노펙스

KC코트렐

그린케미칼

에코바이오

클라우드에어

한화솔루션

OCI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 방산·기계·에너지 업체들이 국내 최대 드론 전시회 ‘드론쇼 코리아’에 참가하며 다양한 드론 신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이는데 수소드론에서부터 군 전투체계에 특화된 솔루션까지 각 업체들간 드론 기술력 경쟁이 펼쳐질 예정입니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부산시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가 공동 주최하는 ‘2021 드론쇼 코리아’가 다음달 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데 드론쇼 코리아는 2016년 시작해 올해로 5회째인 국내 최대 규모의 드론 전문 전시회입니다

올해는 LIG넥스원, SK E&S,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이하 DMI) 등 다양한 업계 기업들 134개사가 참여하는데 올해 행사는 ‘드론, 산업을 연결하다’라는 주제로 드론으로 구현될 산업간 융복합 사례, 최신 기술이 적용된 드론 등이 전시됩니다.

방산업계에선 LIG넥스원 등이 참여하는데 LIG넥스원은 이번 전시회에서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이 주도하는 민군기술협력사업으로 개발 중인 ‘다목적 무인헬기’와 신속시범획득사업으로 진행 중인 ‘소형 정찰·타격 복합형 드론’을 비롯해 국가 주요 시설 보호를 위한 핵심 장비인 ‘차량형 대드론방호시스템’을 전시했고 또한 소형 영상레이다(SAR), 광학/적외선/주·야간카메라(EO/IR/LRF), 지상통제장비, 국산 드론용 모터 등 첨단 장비도 선보였습니다.

두산그룹에선 드론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이하 DMI)가 올해 전시회에서 자사 드론 신제품 ‘DS30W’를 선보이는데 DS30W는 기존 드론대비 내풍성이 강화돼 평균 풍속 12m/s, 순간풍속 15m/s까지 견딜 수 있어 악천후 속에서도 임무 수행이 가능하며 궂은 날씨와 분진 등 험한 환경에서도 비행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췄으며 이 외에도 △비행거리 증가(평균 45Km→60Km) △쉬운 암·랜딩 기어 조립 △부품간 체결 강도 향상 △기체 효율 향상으로 인한 소비전력 감소 등 성능이 개선됐습니다

SK그룹에선 에너지 계열사인 SK E&S가 참여하는데 SK E&S는 이번 전시회에서 총 7개 수소드론 전문기업과 손잡고 ‘SK E&S-수소드론 협력관’을 공동 운영, 액화수소드론을 포함한 20여종의 수소드론을 선보이는데 직접 전시장을 찾은 추형욱 SK E&S 대표는 “액화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드론이 미래 수소 모빌리티 범용화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SK E&S는 수소 생산은 물론 유통과 다양한 산업분야로의 활용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수소생태계를 구축하고, 수소생태계 내에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들과 함께 성장해 나가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습니다.

드론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데 드론이라는 하드웨ㅐ어 제조는 중국이 단연 세계 최고 기업들을 보유하고 있지만 드론을 이용한 다양한 활용법은 우리나라가 한발 앞서 있는 상황으로 '2021 드론쇼 코리아'에 참여하는 대기업 뿐 아니라 중소기업들의 다양한 기술과 사업들은 미래 먹거리로 주목해 봐야 할 것입니다

특히 군사분야 드론의 활용은 가성비에서 앞서 있어 가난한 국가들의 첨단무기로 주목도가 크기 때문에 수출방위산업으로도 활용도가 큰 분야입니다

코스닥에 상장해 있는 드론관련주도 이런 뉴스가 나왔을 때 반짝하는 경향이 있어 주목해야 할 때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드론관련주

LIG넥스원

네온테크

제이씨현

피씨디렉트

퍼스텍

파인디앤씨

뉴로스

엠씨넥스

해성옵틱스

로보로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