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인공지능AI반도체'에 해당되는 글 23건

  1. 2024.09.04 엔비디아 반독점법 위반 혐의 미국 경쟁당국 조사 착수 주가 폭락세 1
  2. 2024.08.11 미래반도체 인공지능 AI 반도체 시장 성장과 반도체 시황 회복 수혜 기대감 2
  3. 2024.08.05 SK하이닉스 엔비디아 AI플랫폼 "블랙웰B200" 설계결험 발견 양산 지연 실적 둔화 우려
  4. 2024.07.04 SK하이닉스 엔디비아 HBM반도체 독점 공급 체제 붕괴 우려 외국인투자자 차익실현 우려
  5. 2024.07.01 램테크놀로지 삼성전기와 협력 유리기판용 식각액 개발 중 급등세
  6. 2024.04.20 솔루스첨단소재 북미향 인공지능AI 데이타센터용 동박 양산승인 실적호전 기대감
  7. 2024.04.12 삼화콘덴서 인공지능AI 반도체 전력수요와 현대차 미국 전기차 공장 10월 가동 수혜 기대감
  8. 2024.03.26 한미반도체 미국 인공지능AI 투자 확대 HBM 수요증가 수혜
  9. 2024.03.09 SK하이닉스 외국인투자자 앞에 놓여 있는 두가지 카드 M&A와 공매도
  10. 2024.03.04 고영 인공지능 AI 반도체 HBM 수요 급증 반도체 3D 검사장비 교체수요 증가
  11. 2024.03.04 HBM장비 관련주 인공지능 AI 반도체 시장 성장 수혜
  12. 2024.03.03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인공지능AI 5년내 모든 시험 통과 자신
  13. 2024.02.25 SK하이닉스 주가 사상 최고가 2023년 실적9조원대 손실 기록
  14. 2024.02.11 한미반도체 200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 화끈한 주주환원 정책에 주가도 화답 2
  15. 2024.02.11 온디바이스AI 관련주 엔디비아 주가 700불 돌파 소식에 동반 강세 2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인공지능 Ai데이타센터에 대한 투자붐으로 가장 큰 수혜를 누리고 있던 엔비디아에 대해 프랑스 반독점당국의 조사에 이어 미국 반독점당국도 조사에 착수했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증시에서 9%대 폭락세가 나왔습니다

 

미국 법무부가 인공지능(AI) 칩 시장의 선두주자인 엔비디아에 소환장을 발송했다고 블룸버그 뉴스를 인용해 로이터 통신이 3일(현지시각) 보도했는데 이는 엔비디아의 반독점 관행에 대한 조사가 심화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 법무부는 이전에 엔비디아에 설문지를 전달했으며, 이번에는 법적 구속력이 있는 소환장을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고 다른 회사들도 소환장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 법무부는 엔비디아가 다른 공급업체로의 전환을 어렵게 만들고, 자사 AI 칩을 독점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구매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등 시장 지배력을 남용하고 있다는 의혹을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엔비디아는 지난주 실적 발표에서 분기 매출 전망치가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주가가 급락했는데 5일 정규 거래에서 9.5% 폭락한 엔비디아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도 2.5% 추가 하락하며 하루 만에 시가총액이 2,790억 달러나 증발했습니다

 

엔비디아에 대한 미 법무부의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는 엔비디아의 독점 시장을 붕괴시킬 수 있는 파워를 갖고 있는데 시장점유율을 인위적으로 낮추거나 가격인상에 제한을 가하는 등 독점에서 나오는 수익을 벌금 등으로 환수할 수도 있어 엔비디아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삼성전자의 엔비디아향 HBM3E 양산승인 기대감이 미래반도체의 반도체 유통에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모습입니다

 

미래반도체는 삼성전자 반도체 유통 뿐 아니라 메모리 사후관리서비스 대행 계약을 맺고 세계 유일의 메모리 AS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미래반도체는 삼성전자 반도체 유통파트너 계약을 시작으로 전장용반도체, 시스템반도체 시장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는데 동사의 주요 거래처는 삼성전자가 직접 상대하는 대형 거래처가 아니라 중소형 거래처들로 다양한 거래선을 확보하고 있어 안정적인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D램과 낸드 생산량이 회복세를 나타내고 전장과 전자분야 해외시장이 살아나면서 미래반도체가 거래하는 해외 중소형사들의 실적이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국내 경기는 침체로 빠져 들고 있지만 해외 경기는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어 중소형 전자회사들도 반도체 수요량을 늘려가고 있어 미래반도체의 실적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11일 한국무역협회 통계 시스템 'K-stat'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1위 품목인 반도체와 2위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0.3%, 11.4%로 집계됐습니다

 

한국 수출의 주력인 반도체 수출은 지난 1978년 3억달러를 시작으로, 1994년 100억달러를 넘어선 데 이어 2018년에는 1천억달러 수출 시대를 여는 등 성장을 거듭하고 있고 단일부품 기준 수출이 1천억달러를 넘긴 것은 한국의 반도체가 세계 최초였습니다.

 

반도체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4분기(20.01%) 처음으로 분기 기준 20%를 넘긴 후 최근까지 10% 후반∼20% 초반을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반도체 시황 부진으로 수출에서 고전하면서 이 비중이 1분기 13.6%, 2분기 14.5%로 낮아졌으나, 올해 반도체 시황이 개선되면서 1분기 19.0%에 이어 2분기 20.3%로 상승해 다시 20% 선으로 올라섰습니다

 

반도체 시장 회복은 미래반도체의 고객사 수요가 늘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미래반도체의 실적 개선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미래반도체의 1분기 실적 기준 적정주가 2만원으로 저평가된 주가가 실적을 따라가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미래반도체 23년4Q IR자료.pdf
3.96MB
미래반도체 20230622 신한투자증권.pdf
1.34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DOonjIynmQA?si=yi6UYJIbVB3zL8Xa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공지능 AI반도체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엔비디아가 런칭을 예고한 차세대 인공지능 AI반도체 "블랙웰 B200"의 설계 결함을 발견해 양산 시기를 몇 개월 연기하기로 했습니다

 

엔비디아가 고객사인 마이크로소프트(MS)와 다른 1곳의 클라우드 업체에 AI 칩 신제품 블랙웰 B200 생산 지연 사실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3월 엔비디아는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GTC)에서 AI 칩 신제품 B200이 올해 안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는데 이때 세운양산 스케줄이 다 순연될 수 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CNBC 방송 인터뷰에서 B200 칩 가격이 3만∼4만달러(약 4000만∼5400만원) 정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가, 이후 엔비디아가 컴퓨팅 시스템에 새 칩을 포함할 예정이며 가격은 제공되는 가치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부연하기도 했습니다.

 

B200은 현존하는 최신 AI 칩으로 평가받는 엔비디아의 호퍼 아키텍처 기반 H100의 성능을 뛰어넘는 차세대 AI 칩으로 차세대 AI 모델 개발 경쟁이 불붙은 빅테크들은 앞다퉈 블랙웰을 주문했고, 내년 1분기쯤부터 자사 데이터센터에서 이를 활용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습니다.

 

메타·구글은 GB200을 100억 달러 이상 구매했고, MS는 자사뿐 아니라 오픈AI가 쓸 물량을 최대 6만 5000개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블랙웰의 양산 일정이 늦어지면서 AI반도체 시장 판도에도 변화가 불가피해 졌는데 지금까지 시장을 선점한 엔비디아의 개발 속도에 맞춰 빠르게 AI 모델 개발 경쟁을 벌여왔던 빅테크들이 엔비디아의 AI반도체 가격 인상과 물량 공급속도에 불만을 가져왔는데 자체 AI반도체 개발 계획은 세우고 있는 메타와 구글 그리고 MS 등은 삼성전자와 손을 잡을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AI반도체에 맞춘 8단 HBM3E 양산에 주력해 왔는데 하반기 중 12단 HBM3E를 양산할 것으로 알려져왔는데 블랙웰 양산 지연으로 실적둔화 우려가 커지게 되었습니다

 

Sk하이닉스가 독점하고 있는 HBM3E 시장에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도 8단 HBM3E 양산을 예고하고 있고 삼성전자도 8단 HBM3E 승인을 받을 것으로 보여 엔비디아의 SK하이닉스 HBM3E 납품가격 인하요구가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향에서 뒤쳐진 HBM 메모리반도체를 메타와 구글 그리고 MS 등과 협력하여 시장점유율을 늘려갈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Vl_3pxW_sik?si=kzTPsJyosF1_Wmk8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D램시장 불황에도 고대역폭메모리 HBM에 올인한 SK하이닉스는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실적을 내놓으며 엔디비아에 대한 독점공급의 위상을 드높였습니다

 

SK하이닉스의 1분기 실적은 어닝 서프라이즈라고 할만하는데 매출액도 영업이익도 당기순이익도 모두 2023년 실적을 돌려 놓으며 흑자전환을 시장에 알려주었습니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앞지르며 먼저 개발하고 양산수율을 잡은 HBM메모리반도체가 효자상품이 되어 SK하이닉스를 위기에서 구해주는 구원자가 되어주고 있고 2023년 일년 내내 적자였어도 SK하이닉스를 외국인투자자들이 사주면서 SK하이닉스는 적자실적 속에 랠리라는 진기록을 세우게 되었습니다

 

외국인투자자들이 볼 때 SK하이닉스는 코스피 시장 싯가총액 3위이자 메모리반도체 글로벌 2위 사업자로 충분히 사 볼만한 상장사로 2023년 글로벌 경기불황으로 반도체 수요가 급감하면서 어려움에 봉착했지만 외국인투자자들은 엔디비아의 협력사로서 SK하이닉스가 HBM반도체를 독점적으로 납품한다는 사실에 매수에 동참해왔습니다

 

올 해 1분기 SK하이닉스 실적이 공개되면서 인공지능AI 반도체 1위 기업인 엔디비아와 SK하이닉스의 관계가 독점적 관계라는 사실을 다시한번 확인시켜주면서 SK하이닉스에 대한 매수이유를 긍정시켜 준 것 같습니다

 

하지만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SK하이닉스가 현재 독점해 엔비디아에 납품하고 있는 8단 HBM3E 반도체를 하반기부터 엔비디아에 납품할 것으로 알려졌고 삼성전자도12단 HBM3E 퀄테스트를 하반기 중에 엔비디아의 승인을 받고 공급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여기다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설계용역 회사인 '파두'의 엉터리 상장으로 금융감독원의 압수수색까지 당하고나니 SK하이닉스의 이미지가 땅에 떨어지는 느낌입니다

 

향후 엔비디아에 대한 SK하이닉스의 HBM 독점 납품이 깨질 때 본격적인 외국인투자자들의 차익실현 매물이 들장할 것으로 보이며 조금은 조금 성급한 외국인투자자들이 차익실현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Cloo7hcF-T0?si=uAPdwPRVGW5_B51B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리기판은 기존 플립칩-볼그리드어레이(FC-BGA) 등 패키지 기판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는 차세대 기판으로 인공지능 AI시대에 필요한 AI반도체용 기판으로 개발되고 있는 차세대용 기판입니다

 

TGV 식각 공정은 유리기판 양산 핵심 공정 중 하나로 TGV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일종의 홀로 운용되고 이후, 구리를 충진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데 쓰이고 있는데 TGV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반도체에 쓰이는 실리콘관통전극(TSV)과 유사한 개념입니다.

램테크놀로지는 삼성전기의 유리기판 상용화 시기인 2026년에 맞춰 TGV용 식각액 양산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용 가속기에 기존 패키지기판으로서는 방열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어 유리기판으로 발전하는 것은 불가피한 선택으로 국내 PCB업체들이 선도적으로 개발에 착수하고 있는 소재입니다

 

아직 인텔, 엔비디아, AMD 등 고객사가 구체적인 유리기판 사용 로드맵을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삼성전기는 협력업체들과 선도적으로 투자를 하고 개발을 서두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양산까지는 아직 시간이 남아 있지만 개발에 함께 참여하는 업체들이 나중에 양산할 때 물량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삼성전기와 함께 유리기판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램테크놀로지에 투자자들도 선취매를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올 해 상반기 증시는 인공지능AI 관련주들이 주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하반기는 자동차에 넘겨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유리기판은 인공지능AI 관련주로 여전히 시장을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램테크놀로지 IR 2023.pdf
1.88MB
유리기판 20240729 하이투자증권.pdf
0.4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QUKmBbcNHaA?si=0Tx5TwuN4kx5t1MB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지박 시장에서 3위를 달리고 있는 솔루스첨단소재가 인공지능AI용 동박에서 북미 빅테크로부터 양산 승인을 받으면서 실적호전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규모의 경제에서 밀리고 있는 상황으로 대규모 투자를 통해 생산케파를 늘리는데 올인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솔루스첨단소재의 양대 주력사업인 전지박과 동박 시장은 성장성이 큰 시장으로 평가되지만 최근들어 전기차용 2차전지인 전기차배터리가 전기차 가격인하 경쟁속에 성장성 둔화를 보이고 있어 생각보다 빨리 공급과잉에 빠져들 조짐을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테슬라가 전기차 가격인하를 공격적으로 추진하면서 가격경쟁력이 없는 기존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신차 모델들이 재고로 쌓이고 있어 전기차배터리 생산량이 둔화되고 있어 전지박 수요도 둔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국내 시장에서도 전지박 시장점유율 3위 업체로 이름을 올리고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서는 중국 업체에도 밀리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대규모 투자를 지속하며 생산케파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지박 보다는 동박 시장이 그나마 나은 편인데 인공지능AI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AI데이타센터에 대한 투자가 급증하고 있어 AI반도체 가속기용 동박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전지박가 함께 동박도 생산케파를 늘리기 위한 투자를 늘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 들어 솔루스첨단소재가 북미향 인공지능AI 데이타센터용 동박 양산승인을 받으면서 일본 업체들이 독점하던 부문에 출사표를 던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동박시장을 중심으로 실적회복을 보여줄 가능성이 있어 전지박의 부진을 만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솔루스첨단소재 2023Q4 실적발표.pdf
2.7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QuzIIPtqC7Y?si=43joGaXWxMvjRpwp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삼화콘덴서는 전력용 콘덴서(FILM), 단층 세라믹 콘덴서, 적층형 콘덴서(MLCC)를 생산하고 있는데 전력용 콘덴서와 전장용 MLCC 시장의 성장으로 수혜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가 활발해지면서 삼화콘덴서의 전력용 콘덴서도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인공지능AI반도체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AI데이타센터가 증가하고 있고 여기에 전력수요도 늘면서 전력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수혜를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전력망에 대한 투자가 그 동안 더디게 이뤄졌기 때문에 앞으로 전력망 투자가 급증할 것으로 보이고 여기에 전력용콘덴서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력용 콘덴서는 전세계의 전력 효율 증대와 대체 에너지인 풍력, 태양광 시장 등의 고속성장, 친환경자동차 시장의 확대로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전기차 대중화에 따라 전장용 콘덴서의 수요도 덩달아 늘고 있는데 자동차전장화는 필연적으로 전장용 콘덴서의 수요를 급증시킬 수 밖에 없습니다

 

자동차 전장용 MLCC의 수요는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급증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현대차그룹이 전기차 생산량을 5년동안 6배 키우겠다고 하면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시장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삼화콘덴서는 종합 콘덴서 메이커로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 주문에 의해 생산하고 있는데 수출 비중이 국내 매출 비중보다 높은 전형적 수출기업이기도 합니다

 

삼화콘덴서는 인공지능Ai 시대와 자동차 전장화에 따라 전장용 콘덴서 수요의 증가로 수혜를 입고 있고 지난 해 실적기준 적정주가 5만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지난 해 실적을 주가에 반영하는 주가 흐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삼화콘덴서 2023 미래에셋증권.pdf
0.57MB
삼화콘덴서 2024 하이투자증권.pdf
0.62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oOPviJDBUmY?si=zXuJSXZ8ib-8xkgS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공지능AI 반도체에 대한 투자확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HBM투자확대를 가져오고 있어 한미반도체의 TC본드 장비의 수요도 꾸준히 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미반도체의 HBM 관련 TSV-TCB 장비와 수율 관리를 위한 검사장비 수요가 동시에 증가할 것으로 보여 실적호전이 올 해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8단 HBM 메모리반도체를 엔디비아에 납품하게 되면서 삼성전자는 뒤늦게 12단 HBM 메모리반도체에 대한 품질검증을 끝내고 엔비디아에 대한 납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경쟁에 한미반도체는 TSV-TCB 장비 뿐 아니라 수율 관리를 위한 검사장비까지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수요가 살아 있는 한 HBM 수요도 이어질 수 밖에 없어 한미반도체 TSV-TCB 장비와 검사장비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실적에 따른 주가 상승 기대감이 큰 상황입니다

 

한미반도체는 연초부터 SK하이닉스에 고대역폭 메모리(HBM) 제조용 장비 '듀얼 TC 본더 1.0 그리핀'을 추가로 수주해 지금까지 약 2000억원대 장비 수주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미반도체의 지난 해 4분기 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10만원으로 이미 주가는 이를 넘어서고 있어 올 해 늘어날 실적을 주가가 선반영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한미반도체는 이런 실적호전을 배경으로 주주환원도 꾸준히 늘려가고 있는데 최근 200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을 공시했는데 올 해 4월 소각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한미반도체가 적극적으로 주주가치 제고에 나선 것은 경영권 승계가 끝나면서 상속세 문제에서 자유롭게 되면서 최대주주의 이익에 고주가가 유리하기 때문일 겁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한미반도체 20240119 삼성증권.pdf
0.4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WUNKjw13ZZo?si=1pDwLnvHyi5xwtHp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SK하이닉스가 지난 해 9조원대 당기순순실을 기록했지만 외국인투자자들의 러브콜에 사상 최고가 행진을 벌이고 있습니다

 

실적과 반대로 가는 주가움직임이 투자자들로 하여금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드는데 SK하이닉스의 실적은 SK그룹이 책임지기에 부담되는 수준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지난 4분기 영업이익을 흑자로 돌려놓았지만 중국공장에 대한 미국 정부의 반도체 규제 예외를 연장해 주면서 미국 반도체장비가 수입되면서 이뤄진 것으로 그나마 중국 기업들이 원하던 첨단 반도체를 SK하이닉스가 만들어 낼 수 있게 되면서 실적개선이 나타난 것입니다

 

미국 대선이 있는 하반기로 갈수록 미국 정부의 대중국 견제가 더 강화될 수 있어 지난 해의 예외허용이 철회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의 중국공장이 전체 매출액의 약 40%를 책임지고 있는데 제 역할을 다하려면 미국산 반도체장비들이 수입되어야 합니다

 

미국 정부가 대중국 견제의 일환으로 중국에 첨단 반도체장비가 수출되지 않도록 하는 정책은 미국 반도체 장비회사의 실적도 급감시키는 것으로 2019년 일본 아베전수상의 정책과 마찬가지같은 자해공갈단식 통상정책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 AI 반도체 바람을 타고 HBM 시장 선점 효과를 누리고 있지만 삼성전자가 대대적인 투자를 통해 추격하고 있어 SK하이닉스의 시장 리드가 이어지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최태원 회장은 상의회장을 연장하면서 SK그룹의 위기에 대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라 Sk그룹의 위기는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SK하이닉스의 적자가 올 해도 이어진다면 조만간 SK스퀘어가 유상증자에 나설 수 밖에 없을텐데 과연 SK그룹이 그런 조단위 자금을 동원할 능력이 될 지 의문이 듭니다

 

결국 SK하이닉스 앞에는 M&A에 나서 경영권을 매각하여 리스크를 헷지하던지 아니면 증자를 통해 위험을 키우던지 선택의 기로에 서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의 사업구조는 메모리반도체 단일 사업으로 D램사업부는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탐을 낼만하고 낸드사업부는 미국 인텔이 다시 받아갈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외국인투자자들은 공매도가 중지된 상황에서 돈의 힘으로 SK하이닉스 주가를 끌어올리고 이제 총선 이후 공매도가 다시 허용되면 SK하이닉스 주가를 폭락시키며 수익을 챙겨갈 수 있을 겁니다

 

SK하이닉스의 현 주가는 실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측면이 많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SK하이닉스 2023Q4 실적발표.pdf
2.89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iSJz9VcVqCo?si=58HJqLrTAST5EPEJ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반도체 3D 검사장비 제조업체 고영의 실적에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모습인데 지난 해 주요 거래처인 삼성전자의 평택공장 2단계 사업이 중단되면서 실적둔화가 나타났지만 인공지능 AI반도체 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고대역폭메모리 HBM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반도체 검사장비의 교체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고영은 반도체 생산용 3D 납도포검사기 세계 1위 업체로 HBM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반도체 검사장비의 교체수요가 늘어나는데 수혜를 입고 있습니다

 

고영의 주요 제품 3D SPI 장비와  3D AOI 장비를 중심으로 SMT 전체 검사장비 시장(SPI+AOI)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고 있어 고객사의 투자가 다시 늘어나면서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고영의 지난 해 실적부진이 반도체 업황 부진에 따른 고객사 투자이연의 결과라는 점에서 올 해는 지난 해 이연된 투자가 집행되고 반도체 시장의 고도화에 장비투자가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여기다 고영의 신규사업인 의료수술 분야에서 뇌수술은 의료대란에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여 대형병원 위주로 추가적인 납품이 진행될 것으로 보이고 국내 시장에서 인정받으면서 해외수출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고영의 뇌수술로봇은 빅데이타 기반에 수술 완치률에 대한 검증이 된 치료법으로 앞으로 성장성이 큰 시장이면서 의사수 부족에 따른 대안으로 의료수술로봇의 수요가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고영은 해외인증을 받으며 해외수출도 서두르고 있는데 이에 따라 신규사업이지만 사업다각화에 한 축으로 자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고영은 반도체 검사장비 업체로써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의료수술로봇과 스마트팩토리 검사장비쪽으로 신규사업을 확장하고 있고 사업다각화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망을 만들려 하고 있습니다

 

고영의 최대주주는 지주회사 고영홀딩스로 약 20%대 지분을 확보하고 있지만 주요주주로 외국인투자자들인 Allianz Global Investors GmbH(10.17%), First Sentier Investors (Australia) IM Ltd(6.11%), Baillie Gifford Overseas Limited(5.84%) 등이 주요주주로 들어와 있어 실제 유통가능 주식수가 30%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영이 인공지능 AI 반도체 수요급증과 의료대란을 통해 실적 개선을 빠르게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고영 2023Q4 IR.pdf
0.60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고대역폭메모리(HBM) 장비 관련주에 시장참여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인공지능 AI 반도체 시장의 성장 수혜를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양산에 있어 SK하이닉스가 한발 앞서 있는데 삼성전자는 양산수율을 잡지 못해 수주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를 고객사로 잡았고 삼성전자는 AMD를 잡았기 때문에 실적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AI 반도체 분야 GPU에 있어서는 엔비디아와 AMD의 시장점유율 차이가 7대3 정도라 엔비디아를 고객으로 모신 SK하이닉스의 HBM 생산 실적에서  앞서고 있습니다

 

HBM 생산에 있어 수율을 잡기 위한 테스트, 검사·계측, 세정, 어닐링장비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여 관련 장비업체들의 실적도 꾸준히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세정장비는 TSV 식각공정을 통해 형성된 1024개 Via 홀에 남은 잔류물을 제거해주는 장비로 관련 세정장비 업체로는 PSK홀딩스(건식), 제우스(습식), 엘티씨(습식)등이 있습니다

 

어닐링 장비는 웨이퍼 표면의 계면결함을 개선해줌으로써 수율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데 관련 어닐링 장비 업체는 HPSP, 이오테크닉스, 디아이티, 원익IPS가 있습니다

 

HBM장비주들의 실적이 인공지능AI반도체 시장의 성장과 함께 지속적으로 개선될 수 있어 장기간 우상향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HBM장비주

테크윙

오로스테크놀로지

한미반도체

인텍플러스

제우스

이오테크닉스

디아이

넥스틴 

와이아이케이

고영

엘티씨

HPSP

디아이티

원익IPS

HBM정비주 20240123 삼성증권.pdf
0.49MB
KB지식비타민_인공지능 시대 새로운 성장 동력 HBM(고대역폭메모리).pdf
0.64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젠슨 황 엔비디아CEO

안녕하세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한 포럼에 참석해 ‘인간처럼 생각하는 컴퓨터가 언제 등장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인공지능(AI)이 5년 이내에 인간의 모든 시험을 통과할 것이다.” 말했는데 그는 “목표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답은 달라질 수 있다”며 “범용인공지능(AGI)을 인간이 만들어낸 모든 테스트를 통과하는 능력으로 정의한다면 머지않아 도래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지금까지 "사"짜 들어가는 전문직은 시험을 통해 자격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일할 사람들을 선별해왔는데 이런 일자리를 인공지능AI가 모두 대체할 수 있다는 주장이기도 합니다

 

실제로 인공지능AI의 발전속도가 나날이 빨라지고 있어 체스나 바둑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을 뛰어넘고 있어 젠슨 황 엔비디아CEO의 주장이 빈말로 느껴지지는 않습니다

 

지금 우리 사회에 의사부족을 이유로 의대정원을 한번에 2000명씩 늘리겠다는 동네바보는 20세기 시대인식으로 21세기 정책을 펴고 있는 것으로 한마디로 시대착오적인 헛짓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미 IBM 왓슨으로 시작된 영상진단은 상당부분이 인공지능AI로 넘어가고 있고 이제 일부 수술도 로봇에게 넘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은 의사가 로봇의 수술을 지켜보며 개입하고 있지만 의사의 역할을 인공지능AI가 대신하게 될 경우 인공지능AI와 로봇이 수술을 대신하기 때문에 의사수요는 더 줄어들게 됩니다

 

서울아산병원과 삼성의료원의 경우 인공지능Ai 영상진단과 수술로봇을 이용해 빠르게 의사수를 줄여나갈 수 있고 이에 따라 영리병원으로 막대한 수익을 거두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어 의료민영화 정책을 지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젠슨 황 CEO는 전날 미국 캘리포니아주 팔로알토 스탠퍼드대에서 열린 경제정책 연구소 포럼에 참석해 “현재 AI는 변호사 시험 등의 시험을 통과할 수 있지만, 소화기 내과 등 전문적인 의학 시험에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하지만 5년 안에는 그 어떤 시험도 통과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최근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AI 반도체 공급망 확대를 위한 자금조달을 추진 중인데 엔비디아가 독과점하고 있는 AI반도체 공급망을 분산시키기 위해서인데 투자금은 최대 7조달러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 1일 전날보다 4.0% 오른 822.79달러에 마감하면서 종가 기준으로 시총 2조달러를 돌파했는데 엔비디아 시총은 지난달 23일 장중 2조달러를 넘어선 적이 있지만 종가 기준으로는 이번이 처음인데 엔비디아는 미국 상장기업 중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에 이어 3위에 올라가 있습니다

 

엔비디아가 독과점하고 있는 AI반도체 공급망 개선을 위해 마크 저커버그 메타플랫폼CEO가 우리나라를 찾아 동네바보와 삼성전자 이재용회장을 만나기도 했습니다

 

최근 샘 알트만 오픈AI CEO도 이재용 회장과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만난 것으로 전해집니다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을 가능케하는 AI반도체의 공급이 지금처럼 엔비디아에 의해 독과점 되면 발전 속도가 더디게 될 수 밖에 없어 결국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AI반도체 개발과 시장 진입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SK하이닉스가 앞서 있는 HBM(고대역폭 메모리) 분야에서 삼성전자도 투자를 증가시키며 빠르게 추격하고 있는데 이런 경쟁이 AI서버 분야에 엔비디아가 약 70% 독과점하고 있는 GPU(그래픽처리장치) 분야로 확장된다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경쟁력도 빠르게 살아날 것입니다

 

엔비디아의 경쟁사 AMD도 가성비를 앞세워 빠르게 추격하고 있는데 HBM 3세대와 5세대인 HBM3E를 채용하여 칩의 성능을 빠르게 개선하고 있고 이 과정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존재감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반도체 경쟁은 단순히 하드웨어 싸움을 넘어 우리 인간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게기가 될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SK하이닉스의 주가가 연일 사상 최고가 경신 행진을 벌이고 있어 2023년 실적과 반대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3일 사상 최고가인 166,900원을 기록하기도 했는데 2023년 1월 3일 73,100원에서 꾸준히 반등세를 나타내며 줄기차세 상승한 결과입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한 11조3055억원, 영업이익은 346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는데 분기 기준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한 건 2022년 4분기 이후 1년 만입니다.

 

지난해 주력 제품인 HBM(고대역폭메모리)과 DDR(더블데이트레이트)5 매출이 전년 대비 각각 4배, 5배 이상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5세대 HBM HBM3e가 올해 상반기 양산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며 AI 시장 부흥으로 DDR5 고용량 모듈, MCRDIMM(고용량 서 버용 모듈), LPCAMM2(고성능 모바일 모듈)등의 판매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2024년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큰 상황입니다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 시장 성장에 따른 HBM(고대역폭메모리)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삼성전자보다 조기에 수율 안정화를 이룬 것이 실적호전에 주요한 상황입니다

 

SK하이닉스 올해 1분기 매출액은 11조8800억 원, 영업이익은 7300억 원으로 전망되고 있어 증권사들 목표주가도 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SK하이닉스의 중국공장 가동율이 떨어지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는데 화웨이 최신 스마트폰에서 SK하이닉스 반도체가 나오면서 미국쪽 색안경도 부담되는 상황입니다

 

여기다 낸드 가격 회복이 더디게 나오면서 실적호전 속도가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지금처럼중국 공장 가동율이 떨어지고 중국 고객사들의 수요가 살아나지 않으면 SK하이닉스의 실적호전은 반짝으로 끝날 수 있고 결국 D램 부문과 낸드 부문이 나뉘어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와 인텔에 인수될 수 있습니다

 

SK하이닉스의 2023년 손실폭이 9조원대를 넘기면서 모회사인 SK스퀘어도 지분법 손실로 영업손실 2조3397억원, 순손실 1조314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SK스퀘어는 자산매각을 통해 손실을 메꾸고 있는데 올 해 SK하이닉스 실적이 턴어라운드 하지 못할 경우 유상증자 없이 버티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SK하이닉스는 빠르게 실적개선을 시키던지 아니면 SK하이닉스 자체를 매각할 수 밖에 없을 겁니다

 

SK하이닉스 생산 설비의 약 40%가 중국에 있고 이들 중국공장 가동율을 끌어올리지 못하면 완전한 턴어라운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올 해 SK하이닉스의 실적호전은 여전히 불확실한 측면이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6idqsLTqRGg?si=tw3gLkLgmCIcJDTi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한미반도체가 지난 해 인공지능 AI 반도체 열풍으로 HBM용 장비 판매가 급증하면서 주주환원정책을 화끈하게 펼치고 있습니다

한미반도체는 지난 해 주당 420원씩 총 407억원대 현금배당을 실시하여 창사이래 최대규모의 배당잔치를 한데 이어 이번에는 자사주 소각으로 약 200억원대 주주환원도 실시할 예정입니다

한미반도체의 현금배당은 올 해 3월 7일까지 주식을 보유한 투자자들에게 지급될 예정입니다

HBM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앞서고 있다고 평가되는 SK하이닉스가 지난 2일 단일 기준 창사 최대규모인 860억원대 HBM 생산용 3세대 '듀얼TC본더 그래핀'을 수주하기도 했는데 누적 수주액이 1872억원에 달합니다

한미반도체는 인공지능 AI반도체 시대가 들어서면서 고성능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관련 반도체 제조장비에 대한 발주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한미반도체의 화끈한 주주환원정책은 인공지능AI반도체 시장에 대한 자신감의 표현으로 볼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삼성전자 갤럭시S24에 온디바이스AI가 올라가 인기를 얻으면서 시장내 온디바이스AI 관련주 찾기 광풍이 불었습니다

온디바이스AI 테마는 레거시 반도체 소재 부품 장비 업체보다는 반도체를 설계하는 팹리스 기업들이 수혜로 거론되고 있는데 그 동안 소외되었던 저전력반도체LPDDR을 취급하는 팹리스 업체들에 관심이 많아진 모습입니다

갤럭시S24의 초기 인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올 해 AI PC와 생성형 AI 스마트폰 출하량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AI PC와 생성형 AI 스마트폰은 AI 작업을 최적화하고 가속화하도록 설계된 기기를 뜻합니다

온디바이스AI 테마는 저전력반도체 뿐 아니라 제조장비로도 확대되고 있는데 PCB공정자동화설비 전문기업 태공의 주가 급등은 이를 반영한 흐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도체 분야에서 HBM 관련주로 재미를 본 투자자들이 외연을 확장한 것이 온디바이스AI 테마로 볼 수 있는데 저전력반도체를 넘어 제조 장비로도 확대되고 있고 소재로도 눈길을 돌리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내년 스마트폰 신제품에도 온디바이스AI 기술을 접목할 것이라 예고하고 있어 내년까지 인기가 이어질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국내 시장 뿐 아니라 미국시장에서도 엔비디아의 주가 급등은 온디바이스 AI 관련주의 주가 급등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온디바이스AI 관련주

한미반도체

유니퀘스트

퀄리타스반도체

제주반도체

칩스앤미디어

가온칩스

오픈엣지테크놀로지

폴라리스오피스

태성

리노공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