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vE0VJhKHBwk?si=cBBiMA2cYHeBIs92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미국이 동맹국의 화웨이 통신장비 사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법안 마련에 속도를 내면서 우리나라 통신장비주들이 반사이익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통신 시장에서 중국산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겠다는 취지로 최근 ‘화웨이 5G폰 쇼크’로 대(對) 중국 제재 공세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화웨이 통신장비를 도입한 국내 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인데 14일 미국 의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수전 와일드 하원의원이 발의한 ‘해외 비신뢰통신 대응에 관한 법안’이 상원 외교위원회에 회부됐습니다.
공화당과 민주당의 초당적 지지를 끌어내며 지난 4월 하원 본회의를 통과한 이 법안은 상원 표결을 거쳐 대통령 인가를 받으면 발효됩니다.
법안에는 미국과 집단방위조약 맺은 국가의 화웨이·ZTE 통신장비 사용 실태에 대한 보고서를 미 국무부가 조사해 의회에 보고하도록 의무화하는 내용이 담겼는데 한국을 포함한 영국·독일·일본 등 53개국이 대상입니다.
해당 보고서에는 5G 네트워크에 화웨이 장비를 사용 중인 이동통신사와 그렇지 않은 통신사를 구분해 열거하도록 했는데 코어망 또는 무선망 적용 여부, 추가 도입 또는 교체 계획까지도 명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현행 네트워크뿐 아니라 오픈랜과 향후 6G 네트워크에도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려는 사업자를 모두 파악하겠다는 계획으로 중국산 통신장비로 인한 해외 미국 대사관의 보안 취약점을 차단하고 동맹국 안보를 보호하겠다는 것이 지만 중국의 통신시장에 대한 헤게모니를 인정할 수 없다는 것으로 미중패권전쟁의 한 단면이 되고 있습니다.
화웨이 장비를 사용 중인 사업자에 대한 제재 조치는 법안에 명시하지 않았지만, 유무형 압박을 통해 동맹국 통신 네트워크 생태계에서 화웨이 장비 퇴출을 가속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되는데 미국 정부는 백도어 우려 등을 이유로 화웨이와 ZTE가 제조한 모든 통신장비 수입과 판매를 전면 금지했습니다.
영국과 캐나다, 호주 등 앵글로색슨계열 국가들이 화웨이 장비 퇴출에 동참했으며 유럽연합(EU)도 회원사에 도입 금지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이번 ‘비신뢰 해외통신 대응법안’이 정식 발효되면 국내에도 상당한 여파가 미칠 전망인데 화웨이 네트워크 장비는 가격과 성능이 우수해 통신사뿐 아니라 제조사 등 국내 기업 다수가 도입한 상태로 LG유플러스 경우 서울 및 수도권 지역 일부 5G 기지국에 화웨이 장비를 사용 중에 있는데 다만 코어망이 아닌 무선망에만 도입했으며 최근 서울 일부지역 5G 기지국을 노키아와 협업한 오픈랜 장비로 교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한미군은 LG유플러스의 통신망 사용을 기피하는 권고를 내린 것으로 알려져 있어 사실상 LG유플러스에 화웨이장비 퇴출을 강요하고 있어 조단위 비용이 들어가게 생긴 상황입니다
국내 통신장비는 삼성전자를 통해 해외통신사에 공급되는데 중국 화웨이와 ZTE에 대한 미국 정부의 규제는 삼성전자가 중국 통신장비사의 시장을 잠식해 가는데 유리한 위치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를 통해 해외 5G통신투자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고 특히 미국 조바이든 정부의 5G인프라투자에 수혜를 보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통신장비주
삼성전자
머큐리
다산네트웍스
알에프텍
알엔투테크놀로지
웨이브일렉트로
케이엠더블유
대한광통신
유비쿼스
유비쿼스홀딩스
이노와이어리스
오이솔루션
기가레인
서진시스템
에프알텍
RFHIC
코위버
유엔젤
코다코
텔레필드
에이스테크
쏠리드
기산텔레콤
전파기지국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버나인 삼성전자 의료기기 사업 파트너 선정 상한가 (0) | 2023.09.20 |
---|---|
오이솔루션 자율주행차 핵심 기술 라이다용 레이저 시장 진출 저궤도위성통신 시장과 함께 수익개선 기대감 (0) | 2023.09.20 |
파이버프로 편광제어기술 통한 드론테마주 바람 (0) | 2023.09.19 |
원전관련주 한국수력원자력 미국 원전기업 웨스팅하우스에 특허소송 승리 한국 원전 수출 가능성 (0) | 2023.09.19 |
우수AMS 전기차용 부품 개발 국책과제 기술특허 등록 완료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