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국이 중국 통신장비가 미국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며 제재 고삐를 죄고 있는데 세계 최대 통신장비 업체인 화웨이를 포함해 ZTE 등 5개 기업이 명단에 포함됐습니다.
12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화웨이, ZTE, 하이테라, 하이크비전, 다화 등 5개 중국 기업을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는 기업으로 지목했습니다.
FCC는 이들 기업을 미국의 통신망을 보호하기 위해 2019년 제정된 '안전하고 신뢰할 만한 통신 네트워크법'에 따라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는 기업으로 지정한다고 설명했는데 이 법은 FCC에 미국의 국가안보 또는 미국인의 안보·안전에 받아들일 수 없는 위험을 제기하는 통신장비와 서비스를 생산·제공하는 기업을 파악하도록 의무를 지웠습니다.
FCC 의장 대행 제시카 로젠워슬은 "명단은 차세대 통신망이 미국 전역에 구축되면서 실수를 되풀이하거나 미국의 국가안보 또는 미국인의 안보, 안전에 위협을 제기하는 장비·서비스를 쓰지 않도록 보장하는 의미있는 지침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FCC는 이에 앞서 지난해에도 화웨이와 ZTE를 국가안보 위협으로 지정해 이들 기업으로부터 장비를 구입하는 미국 업체들은 83억달러 규모의 정부 기금을 이용할 수 없게 됐는데 화웨이는 지난 달 이런 지정에 반발해 미 항소법원에 항소를 제기한 바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 시작된 화웨이 등 중국 정보기술(IT) 기업을 겨냥한 미국 행정부의 제재는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이어지는 것으로 보이는데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11일 화웨이의 5G(5세대 이동통신) 장치에 쓰일 수 있는 품목의 공급을 제한하는 형태로 이미 부과된 수출 승인 조건을 더 까다롭게 하는 조치를 시행한 바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통신장비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에게 뒤쳐진 것으로 나오는데 미국 정부의 중국 통신장비 규제는 이를 만회할 수 있는 시간과 기회를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통신장비 시장은 지난 10여년 동안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에 대부분 중국 기업에 의존하는 상황으로 바뀌었는데 이제는 탈중국화가 이뤄지려 하는 것 같습니다
특히 중국 통신장비 기피가 가격이나 성능 같은 경제적인 이유가 아닌 안보이슈가 차지하고 있어 삼성전자를 비롯한 우리 기업들에게는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5G통신장비주
삼성전자
머큐리
다산네트웍스
알에프텍
알엔투테크놀로지
웨이브일렉트로
케이엠더블류
대한광통신
유비쿼스
유비쿼스홀딩스
이노와이어리스
오이솔루션
에프알텍
RFHIC
코위버
유엔젤
코다코
텔레필드
에이스테크
쏠리드
기산텔레콤
전파기지국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소전기차 관련주 현대차 넥소 수소차 일본 도요타 미라이 제끼고 글로벌 판매 1위 등극 수혜 기대감 (0) | 2021.03.13 |
---|---|
중국 화웨이 스마트워치 2020년 글로벌 스마트워치 시장 2위 등극 (0) | 2021.03.13 |
남북경협주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한일순방 보따리 뭐가 들었나? (0) | 2021.03.13 |
미국증시 조 바이든 경기부양책 실행으로 마지막 유동성 파티 다우지수 사상 최고치 경시 (0) | 2021.03.13 |
세계보건기구(WHO) 12일(현지시간) 미국 제약사 존슨앤드존슨(J&J) 개발 코로나19백신 긴급사용승인 (0) | 2021.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