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deqooSbm61w

안녕하세요

한온시스템이 10일 실적 부진 등의 여파로 증시에서 약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이후 거래량이 터지면서 저가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습니다



오후 1시 26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한온시스템은 전 거래일보다 7.95% 급등한  8천97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3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투자심리가 약화되었고 주가도 10월 17일 52주 신저가 7,100원을 기록하고 이후 저가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한온시스템의 3분기 매출은 2조2천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29%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618억원으로 12% 감소했습니다.

 

정용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온시스템의 3분기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를 20% 밑돈다"며 "원재료비와 물류비 등 비용이 늘어나면서 낮은 수익성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고 그는 "높은 유럽 비중이 단기적으로 실적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한온시스템 목표주가를 1만3천원에서 1만원으로 내렸습니다.

 

유럽이 인플레이션과 러시아 우크라이나전쟁으로 소비가 위축되고 경기가 위축될 수 있어 실적회복이 더디게 나타날 수 있어 주가는 아주 서서히 회복되는 모습입니다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도 "제조와 판매 비용 부담으로 실적이 부진했다"며 한온시스템 목표주가를 1만500원에서 1만원으로 낮췄습니다.

 

3분기 실적만 놓고보면 한온시스템의 주가하락은 추가로 더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이는데 하반기 4000억원 규모 공모 회사채 발행을 추진하다가 시장 금리가 급등하면서 포기했는데 조만간 다시 추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온시스템의 회사채 잔액은 9월 25일 기준, 1조5700억원 수준으로 올해 갚아야 하는 회사채 물량은 없지만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만기물량이 도래하는데 내년 만기 도래 물량만 4600억원에 달합니다

 

한온시스템은 주가를 끌어올려 유상증자에 나서든 회사채 차환발행을 하든 해서 회사채 만기에 대응할 필요가 있는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한온시스템 3Q22 Hanon Systems Earnings Release_1.pdf
0.53MB
한온시스템 20221110_유진투자증권.pdf
0.99MB
한온시스템 20221110 미래에셋증권.pdf
1.25MB
한온시스템 20221110 하나증권.pdf
0.77MB
한온시스템 20221111 하이투자증권.pdf
3.75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C05NpFhXP8c

안녕하세요

테슬라가 북미 지역에 전기차 공장을 추가할 전망인 가운데 캐나다가 유력하다는 소식에 대성파인텍이 강세입니다. 

 

대성파인텍이 LG전자와 캐나다 마그나 인터내셔널 간 합작사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에 핵심기술 특허 부품을 공급한 바 있어 관심이 몰린 것으로 보입니다.

 

 
10일 오전 11시 47분 현재 대성파인텍은 전 거래일 대비 420원(29.79%) 오른 1830원에 거래 중입니다.

 


8일(현지시각)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에 따르면 테슬라는 캐나다 온타리오주와 신규 생산라인 구축 관련 논의를 진행 중입니다.

 

일렉트렉은 지난달 테슬라가 제출한 서류를 인용해 “테슬라는 첨단 제조 시설을 마련하기 위한 인센티브를 조율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현재 테슬라는 미국 중국 독일 등에 기가팩토리를 두고 있는데 캐나다행이 확정되면 6번째 기가팩토리가 세워지는 것으로 현지 언론에서는 연내 구체적인 계획이 발표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캐나다는 글로벌 전기차 및 배터리 업체 생산거점으로 떠오르고 있는데 범정부 차원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세금 감면과 보조금을 제공하는 덕분입니다.

 

캐나다 연방정부는 배터리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집니다.

 


최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텍사스 본사에서 열린 연례 주주총회에서 “올해 안에 기가팩토리6 신축 계획을 발표할 수 있다”고 예고했고 캐나다를 겨냥한 발언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한편 대성파인텍은 마그나에 파인 블랭킹(Fine Blanking) 기술을 적용한 도어락(Door Lock) 등 부품 제조에 필요한 금형을 공급한 바 있습니다.

 

자동차공장이 하나 만들어지면 그만큼 생산량이 증가하게 되고 부품사들은 생산량 증가에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

 

대성파인텍은 마그나와 거래관계가 있어 전기차 시장의 성장은 수혜를 기대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여기다 대성파인텍은 고점대비 1/3토막이 난 주가에 저가매수세가 유입될 수 있는 가격대까지 흘러내린 상황이라 개인투자자들의 저가매수세의 묻지마 매수에 쉽게 상한가까지 급등하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대성파인텍 2021.pdf
1.4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IKtUV9BCwJg

안녕하세요

전기차 감속기(변속기) 기업 다아이씨가 폐배터리 사업 진출 소식에 급등 해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4일 장종료 현재 디아이씨는 전 거래일 대비 30% 오른 403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날 디아이씨는 계열사 에코셀을 신설해 폐배터리 사업에 진출한다고 공개했는데 에코셀은 디아이씨의 100% 자회사인 제인모터스가 51%, 폐배터리 전문 기업인 솔라라이트코리아가 49%를 출자한 조인트벤처(JV)로 설립했습니다. 

 

제인모터스가 위치한 대구공장 내 자리를 잡아 2차 전지 재활용과 재제조 사업을 집중적으로 공략한다는 계획으로 제인모터스는 소형전기트럭 개발 제조회사 였으나 양산에 실패해 유명무실해 진 회사로 대구공장의 활용을 위해 폐배터리 재생사업을 시작하는 겁니다.



회사 측은 에코셀은 신설 JV이지만 기존 솔라라이트의 경주 공장을 활용할 수 있어 곧바로 사업을 개시할 수 있다고 밝혔는데 솔라라이트는 폐배터리 처리 전문 기업으로 기존 습식 방법에서 발생하는 환경 및 안정성 문제를 해결한 건식완전방전 기술 관련 특허를 다량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디아이씨는 전기차 감속기 기업으로, 현대기아차와 테슬라의 전기차 및 수소차에 고정밀 감속기 주요 부품을 공급하고 있어 전기차 부품사로 투자자들에게 인식되고 있습니다.

 

디아이씨의 상반기 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5,500원대로 평가되어 오늘의 상한가가 상반기 실적을 반영하는 흐름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xraIYTzV_s4

안녕하세요

삼성SDI가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연구를 진행 중인 가운데 내년 설계를 확정하고 본격 생산에 들어가면서 삼진엘앤디 등 관련주에 장중 매수세가 몰리고 있습니다.



14일 오후 12시 40분 현재 삼진엘앤디는 전일 대비 6.45% 오른 33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최훈 삼성SDI 중국 법인장이 지난달 26~28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 및 하이난에서 열린 '2022 세계 신에너지 자동차 컨퍼런스'에서 46mm 배터리의 개발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삼성SDI는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의 개발 단계에 있고 내년에 설계를 결정할 계획으로 업계에서는 삼성SDI가 개발 중인 원통형 배터리가 LG에너지솔루션이 내년 하반기 양산 목표로 개발 중인 원통형 배터리와 비슷하거나 더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잇습니다.



삼진엘앤디는 액정표시장치(LCD)와 2차전지 부품업체로 삼성SDI에 원통형 2차전지의 뚜껑 역할을 하는 가스켓을 70% 수준으로 공급하고 있어 삼성 SDI가 원통형배터리를 본격 생산할 경우 수혜가 예상되고 있어 실적호전을 예상한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SDI가 연구하고 있는 원통형배터리는 전기차배터리로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약 30%정도 저장용량을 늘린 배터리로 1회 충전에 500km이상 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삼진엘앤디는 삼성SDI 협력사로 이번 원통형배터리 개발에 수혜가 예상되는 기업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삼진엘앤디20220120.pdf
0.81MB

https://youtu.be/apS96-3nMy4

https://youtu.be/-6cAYnz-XIw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upn5NcWwXQ0

안녕하세요

농기계 국내 1위 기업인 대동의 핵심 계열사 대동기어는 농기계와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를 주력으로 삼고 있는 기업으로 최근의 식량대란의 수혜를 받고 있는 종목입니다

 

전체 매출의 약 60%가 농기계용 부품으로 농기계중심의 사업구조에 농촌인구의 노인화에 따라 자율주행 농기계에 대한 연구개발에 많은 투자와 성과를 내고 있는 종목입니다

 

최근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국제 농산물 가격의 급등으로 농기계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어 대동기어의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농촌인구의 노인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자율주행 농기계에 대한 수요도 늘고 있는데 관련 R&D에 투자를 많이하고 있어 관련 연구성과도 나오고 있습니다

 

올 해 상반기 매출액 1144억원에 영업이익 45억원, 순이익 26억을 기록하여 매출외형은 성장했지만 순이익은 줄어든 모습인데 원재료비 상승에 따른 비용증가가 순익 감소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데 반기 실적기준 15,000원이 적정주가로 평가되기 때문에 실적에 따른 주가 재평가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는 종목입니다

 

특히 내년 식량대란의 위험이 더 커지고 있어 농기계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여 대동기어의 실적도 더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대동기업 20220622 한국신용평가.pdf
0.69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oJF1DwSVFc4

안녕하세요

한온시스템이 2분기 양호한 실적을 내놓았지만 시장내 반응은 시큰둥한 모습입니다

 

한온시스템은 2022년2분기 실적에서 매출액은 2조1천억원대를 기록하여 사상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지만 수익성에서 악화된 지표를 내놓아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영업이익은 600억원이고 순이익은 145억원에 불과해 영업이익률이 겨우 2.85%에 불과해 수익성이 언제 적자로 돌아설지 모르는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온시스템의 매출 상승은 전기차 모델증가에 따른 외형성장이 가능했기 때문인데 현대차 아이오닉5의 히트로 공장 가동률이 올라간 것이 호재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차량용반도체 부족과 운송료 부담이 증가하면서 수익성은 오히려 나빠졌는데 이런 상태에서 기업가치는 오히려 줄어드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최대주주인 사모펀드 한앤코의 한온시스템 경영권 매각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작년부터 추진한 한온시스템의 경영권매각이 원하는 가격을 제시하는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으면서 지지부진한 상황인데 외형만 크지 수익성이 의문인 기업을 인수하는데 3조원 이상의 가격을 써낼 인수자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한앤코 지분 50%와 한국타이어 지분 약 20%를 한꺼번에 매각해야 하기 때문에 경영권을 가져가는 곳은 필수적인 경영권 이외의 지분을 떠안는 문제가 있습니다

 

현대차 아이오닉5의 뒤를 이어 아이오닉6에도 한온시스템의 히트펌프가 장착될 것으로 보이지만 수익성이 빠르게 개선되지 않으면 원만한 인수자 찾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지난 6월 23일 최저가 9360원을 찍고 현금배당 90원 발표에 소폭 반등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너무 많은 주식수와 경영권 매각의 불확실성이 주가발목을 잡고 있는 형국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2Q22 Hanon Systems Earnings Release_1.pdf
0.85MB
한온시스템 20220615 삼성증권.pdf
0.84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q9j3ei2FgDQ

안녕하세요

에코캡이 1875억원 규모 포드용 BDU부품 공급계약 소식에 주가 급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8일 오후 12시 47분 에코캡은 전거래일 대비 1130원(15.72%) 오른 8320원에 거래되고 있는데 공시가 나왔을 때 25.17% 급등해 9,000원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2007년 설립된 에코캡은 자동차용 케이블·전장부품 제조 전문 회사로 전기자동차(EV) 전용 고전압 케이블, 2차전지 기타 부품 및 전자 모듈화 제품과 전장 케이블 어셈블리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날 에코캡은 LS e-모빌리티솔루션과 포드용 BDU부품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는데 BDU는 전기차 배터리 팩의 전원과 내부 회로 사이에서 전력 연결·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입니다.



계약금액은 1875억643만원으로 이는 지난해 매출 대비 219.6%에 해당하는 규모이고 계약기간은 2030년 12월 31일까지의 장기납품계약입니다.

 

이번 수주는 에코캡 멕시코 공장에서 엘에스이모빌리티솔루션 멕시코 공장으로 2024년 말부터 납품할 예정으로 실제 매출에 잡히는 것은 2024년부터 입니다

 

에코캡은 국내 유일 특허제품인 와이어링하네스 인서트그로멧(INSERT GROMMET)'을 GM에 최초 적용했으며 리비안 외에도 현대차, 기아, 마그나, 포드 등 다양한 자동차 회사에 공급하고 있어 추가적인 납품 가능성도 큰 상황입니다.

 

 최근에 657,030주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해 7,610원에 신주를 발행했고 약 49억 9천만원대의 현금을 확보하였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에코캡 20210603 KB증권.pdf
0.61MB
에코캡 20220310.pdf
1.3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3Ol9SP93xPQ

안녕하세요

센트랄모텍의 주가가 급등하고 있는데 미국 완성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가 글로벌 모빌리티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전기와 자율주행자동차 기술 개발에 350억달러(약 45조원) 이상의 자금을 투자한다는 소식이 센트랄모텍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29일 장종료 현재 센트랄모텍은 전일 대비 29.71% 상승한 2만3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센트랄모텍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알루미늄 컨트롤암 생산 능력을 갖춘 업체로 알루미늄 컨트롤암은 자동차 본체와 바퀴를 연결하는 부품입니다.

 

센트랄모텍은 테슬라에 알루미늄 컨트롤 암을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GM과 BMW 등을 대상으로 점유율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실판 아민(Shilpan Amin) GM 해외사업부문 사장은 지난 28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에서 GM 해외사업부문에 속한 각 시장별 최고 리더십을 대상으로 진행된 US 드라이브 프로그램에서 “GM은 기후변화와 교통체증, 도로안전 등 전 세계 고객과 지역사회의 요구에 맞춰 자동차산업의 변화를 주도하기 위한 투자를 지속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메리 바라 GM 회장은 정기 주주총회에서 전기차 중심의 사업 투자 계획에 대해 “GM은 전기차 중심의 전환에 350억달러의 투자를 약속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센트랄모텍은 납품처인 미국GM의 대규모 투자에 수혜를 받을 수 밖에 없어 기대감이 주가에 선반영되는 모습입니다

 

자동차부품업종은 납품처의 투자와 성공모델의 존재 여부가 실적에 바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센트랄모텍 20210112 - 유안타.pdf
0.90MB
센트랄모텍 20211208 한국투자증권.pdf
0.81MB
센트랄모텍_2020111 SK증권.pdf
1.23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dm6Pr_Fq4VQ

안녕하세요

현대자동차 핵심 협력사 자동차 부품업체 뉴인텍이 전북 군산에 새 공장을 가동한 가운데 폭스바겐그룹과 BMW 등유럽 완성차업체의 방문이 예정됐다는 소식에 주가가 강세를 나타내 상한가로 급등했습니다. 



27일 오후 1시 20분 현재 뉴인텍은 전거래일대비 955원(29.89%) 오른 415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뉴인텍은 1977년 설립된 뉴인텍은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등 친환경차에 들어가는 커패시터(축전지) 전문 제조업체입니다.

 

업계에 따르면 외국 완성차업체들이 뉴인텍의 공장을 찾아오는 것은 기술력 때문인데 뉴인텍의 커패시터는 현대차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E-GMP)에 들어가 있어 현대차가 선보이는 모든 전기차에 기본으로 장착됩니다.

 

800V 충전시스템을 적용한 아이오닉 5가 지난해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면서 800V급 커패시터를 공급한 뉴인텍에 자연스레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의 이목이 쏠리게 됐다는 평가입니다.



세계적으로 800V급 커패시터를 양산할 수 있는 기업은 손에 꼽을 정도로 현재 뉴인텍을 비롯해 2~3개 기업만이 생산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습니다.

 

충전속도를 높이고 안정적으로 전기충전을 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고 있는 커패시터를 생산할 수 있는 뉴인텍의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Wtxcpedq72Q

안녕하세요

LG에너지솔루션이 글로벌 배터리 업계의 ‘게임체인저’로 불리는 4680 원통형 제품을 세계에서 가장 빨리 양산하게 된다는 소식에 세아메카닉스가 강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20일 오전 9시 20분 현재 세아메카닉스는 전 거래일 대비 860원(9.62%) 오른 9800원에 거래 중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13일 5800억원을 들여 오창 2공장 내 4680 배터리를 생산하기 위한 라인을 신설한다고 공시했는데 1500억원을 투자해 오창 1공장 내 2170(지름 21㎜·길이 70㎜) 배터리 라인도 증설합니다.

 

내년 양산할 계획인 4680 배터리에는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양극재를 적용해 니켈 함량을 85~90%로 높이고, 알루미늄을 첨가합니다.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은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원통형 배터리에 대한 관심이 커져 공급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이번 투자를 결정했다”고 말했습니다.

 


4680은 차세대 배터리로 꼽히는 전고체 제품 이전에 나올 수 있는 가장 개선된 형태로 기존 배터리보다 에너지 용량을 높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데 양산 중인 2170 배터리에 비해 크기를 키우면서 에너지 밀도는 5배, 출력은 6배 개선돼 전기차 주행거리도 16% 늘어납니다.

 


세아메카닉스는 1999년에 설립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전문 업체로 LG전자와 협력 관계를 체결한 뒤 기구 관련 기술 흡수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 장치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다수 등록해 오고 있습니다.

 


지난달 세아메카닉스는 LG에너지솔루션 및 LG에너지솔루션의 자회사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부품 공급계약 2건을 체결한 바 있는데 계약금액은 2건을 합쳐 총 1988억9627만원 규모로 계약기간은 각각 2031년 12월31일까지, 2030년 12월31일까지다.

 

세아메카닉스가 LG에너지솔루션에서 대형 수주를 잇따라 따내면서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세아메카닉스 20220310 유진투자증권.pdf
1.93MB
세아메카닉스 IPO IR.pdf
11.64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zlSmvUuoPu0

안녕하세요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완성차 산업의 주요 변곡점을 맞아 오는 2025년까지 4년 동안 국내에 63조원을 투자한다는 소식에 엠에스오토텍이 강세입니다. 

 

엠에스오토텍은 자동차 부품 제조사로 32년간 현대차의 1차 벤더사로 현대차의 실적 여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아왔습니다.

 


25일 오후 2시 37분 현재 엠에스오토텍은 전 거래일 대비 200원(3.95%) 오른 5520원에 거래 중입니다.

 

 
전날 현대자동차·기아·현대모비스 등 현대차그룹 주요 3사는 이날 전동화·친환경, 신기술·신사업, 기존 사업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향후 4년 간 국내에 63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는데 시장참여자들은 관련주 찾기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현대차그룹 3사는 오는 2025년까지 모빌리티 같은 신규 사업뿐만 아니라 기존 고객 수요가 유지되고 있는 내연기관 사업에 대한 투자도 병행하는데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사업 영역을 개척하고 목적기반모빌리티(PBV·Purpose Built Vehicle)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선도 업체로 도약하는 동시에 산업 패러다임 격변의 과도기에 대처하려는 것 같습니다.

 


현대차그룹은 우선 미래 성장의 핵심축인 전동화와 친환경 사업 고도화에 주력하고 이 분야에 현대차·기아·모비스는 총 16조2000억원을 투자합니다.

 


이를 통해 현대차그룹 3사는 순수 전기차를 비롯해 수소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전동화와 친환경 전 분야에서 기술 우위를 확보한다는 방침입니다.

 


국내 순수 전기차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서 PBV 전기차 전용공장 신설,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혼류 생산 시스템 구축, 기존 공장의 전기차 전용 라인 증설 등을 추진합니다.

 

 
한편 자동차 부품업체 엠에스오토텍은 지난 2019년 6월 전기차 위탁생산을 위해 GM군산공장을 1130억원에 취득했고 이후 자회사 명신의 파트너사 페러데이퓨쳐의 전기차 생산기지로 전환 중입니다.

 

 
엠에스오토텍은 연간 생산능력 8만대 수준의 전기차 조립·생산 설비를 구축, 중국계 전기차 스타트업 업체의 위탁생산 물량에 대응, 2024년 본격적인 전기차 조립·생산 개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엠에스오토텍은 궁극적으로 전기차 업체로 성장할 수 있어 현대차의 공격적인 투자에 수혜를 볼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q9j3ei2FgDQ

안녕하세요

에코캡은 지난 10일 비아모터스와 전장 케이블 어셈블리 공급 관련 투자의향서(LOI)를 수일 내에 발행 예정임을 통보 받았다고 12일 공개하면서 상한가로 급등했습니다

 

회사 관계자는 “멕시코 현지 공장을 통한 미주 지역의 상업용 전기자동차 분야의 부품 공급을 위한 새로운 고객을 개발하고 시장 확대 우위를 선점할 기회를 가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에코캡은 2007년 설립된 자동차용 케이블 및 전장부품 제조 전문기업으로 전기자동차(EV) 전용 고전압 케이블, 2차전지 기타 부품 및 전자 모듈화 제품과 전장 케이블 어셈블리 등을 전문으로 생산하는데 정부가 선정한 2017년 ‘월드 클래스 300’기업 및 2021년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100’ 에 선정된 바 있습니다.

 

비아 모터스는 미국 유타주 오렘에 본사를 두고 있는데 모기업인 이데아노믹스 의 지원을 받아 클래스 2부터 클래스 5까지 화물차, 트럭, 버스 등 전기 상용차를 생산하고 있고 비아 모터스는 단거리, 중간 마일 배송을 위한 자율 전기자동차를 제공하기 위해 자율 기술 회사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번 LOI 이후 계약이 성사된다면 2026년까지 연매출 최소 5000만달러(총매출 2억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에코캡 관계자는 “작년 12월 LS ELECTRIC 과의 전기차 분야의 MOU(양해각서)와 2022년 02월 미국 St. Clair (세인트 클레어)와의 미국 시장 차량용 부품 공급 MOU를 바탕으로 북미 전기자동차 분야의 부품 공급 확대 및 추가 수주에 가시적인 성과를 보인다”고 주장했습니다.

 

에코캡의 지난해 실적은 실망스런 수준인데 연초부터 유상증자에 나설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이번에 모집한 350억원대 공모자금은 대부분 은행빚을 갚는데 사용딜 것으로 보입니다

 

에코캡은 이번 유상증자가 실패할 경우 만기가 돌아오는 은행부채를 상환할 길이 없어 유상증자 성공을 위해 호재성 재료들을 많이 내놓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에코캡 IR 2019.pdf
6.7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lQcfUysfgtA

안녕하세요

카메라 모듈 부품사업에 신규 투자를 진행한다고 밝힌 자화전자가 장 초반 강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14일 오전 9시 35분 자화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5000원(20.70%) 상승한 2만915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지난 13일 자화전자는 1910억 규모의 카메라 모듈 부품사업 신규시설투자를 진행한다고 발표했는데 사업경쟁력을 확보하고 신모델 생산량을 늘리기 위함으로 이번 신규시설투자 규모는 자기자본 대비 63.9%에 해당하는 대규모 투자로 그만큼 자신이 있기 때문일겁니다.

 

박형우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글로벌 고객사향 부품이 공급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폴디드줌 카메라용 AFA 서브모듈은 기존 AFA 보다 공급단가가 2~3배 높다"고 했고 이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자화전자 이상의 AFA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기업은 일본의 ALPS, 삼성전자 정도"라며 "국내 고객사 내 점유율 하락이 예상되나 글로벌 고객사와의 통상적인 수익성 격차를 고려하면 큰 문제는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애플 아이폰이 프리미엄 스마트폰과 함께 중저가폰까지 커버하면서 수익율 뿐 아니라 시장점유율도 늘고 있는데 삼성전자는 폴더블폰 외에는 프리미엄폰 시장에서 애플 아이폰에게 잠식 당하고 있고 중저가폰에서는 중국 폰에 잠식당하면서 스마트폰 시장에서 위상이 낮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자화전자는 애플 부품업체로 포함되면서 실적성장의 점프를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시장참여자들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카메라모듈의 경우 스마트폰을 넘어 애플자율주행전기차에도 채용될 수 있어 시장성장성에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자화전자의 성장은 삼성전자 카메라부품사인 해성옵틱스와 극명한 대비를 보여주고 있는데 삼성전기를 통해 삼성전자 갤럭시 스마트폰에 카메라모듈을 납품하는 해성옵틱스는 매출외형은 늘었을 지 몰라도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구조조정 대상으로 전락해 경영권이 넘어갔지만 자화전자는 애플 아이폰 부품사로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것은 삼성전자의 하청업체 관리에 문제가 있다는 반증이기도 합니다

 

결국 삼성전자는 부품업체들의 부실화로 스스로의 스마트폰 사업 수명을 깍아 먹고 있는 것으로 LG전자의 뒤를 따를 가능성이 큰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8A5qAgqzfG8

안녕하세요

미국 전기차 업체 리비안이 향후 출시할 전기트럭, 밴, SUV에 LFP(리튬, 인산, 철) 배터리를 탑재할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아모그린텍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5일 오전 9시 현재 아모그린텍은 전 거래일 대비 11.66% 오른 1만2450원에 거래를 시작했습니다.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은 지난해 4·4분기 주주 서한에서 앞으로 전기트럭, 밴, SUV에 LFP 배터리를 탑재할 계획임을 밝혔는데 일반 전기차에는 니켈이나 코발트가 들어가지 않는 LFP 배터리를 탑재할 예정이며 장거리용 특수 차량에는 고니켈 베터리를 장착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아모그린텍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플렉서블 배터리, 나노멤브레인, 박막필름 등 4차산업 핵심 소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ESS 사업부문에서 LEP 배터리의 중국 등 해외 매출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아모그린텍은 글로벌 전기차 기업 테슬라와 BYD, 리비안 등에도 고효율성 자성소재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아모그린텍 주가는 테슬라 주가에 연동되는 특징이 있는데 전일 미국시장에서 테슬라 주가가 급등하면서 동반 강세를 나타내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PE06SJKbsmc

안녕하세요

태양금속은 1954년 설립 이후 자회사와 함께 자동차 및 전자부품용 냉간단조제품과 관련 부품을 생산판매 중인데 자동차 조립용 볼트 제품 국내 시장 점유율 36%를 차지하고 있는 1위 기업입니다

 

태양금속은 오전 10시 44분 태양금속은 전 거래일 대비 가격제한폭(29.77%)까지 치솟은 1700원에 거래 되고 있습니다.

 

태양금속이 LG에너지솔루션과 테슬라 등에 부품을 납품한다는 소식에 장 초반 상한가로 급등했는데 태양금속은 LG에너지솔루션과 전기차 배터리케이스를 조립하는 데 필요한 길이 350㎜ 장볼트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지난해부터 연간 1만개 이상 공급 중인 것으로 알려졌고 또한 자회사를 통해 자동차 바퀴의 방향을 바꿀 때 사용되는 조향장치(ITR·OTR)를 2020년부터 테슬라 등에 연간 1만7,000개 이상 생산공급하고 있습니다.

 


태양금속은 자동차 조립에 사용하는 볼트 제품 국내 시장 점유율 36%를 차지하고 있는 1위 기업으로 2010년부터 현대차 최우수부품 기업 등급인 '파이브스타'를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 GM과 클라이슬러, 일본 스바루와 마쓰다 등이 주요 고객사입니다

 

지난 3분기까지는 적자를 기록하면서 주가는 지난 1월 28일 최저가 1070원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LG엔솔과 테슬라에 부품을 공급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저가매수세가 유입되는 터닝포인트가 되었는데 올 해 실적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하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