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전기차부품'에 해당되는 글 119건

  1. 2023.07.04 대우부품 아진산업 전기차부품 사업 성장 수혜 동반 강세
  2. 2023.07.03 아진산업 현대차와 기아 북미 전기차 공장 추가 건설 수혜 기대감
  3. 2023.07.01 성창오토텍 자동차 공조부품에서 전기차 부품 인버터 생산으로 수익성 개선 중
  4. 2023.06.30 삼보모터스 현대차 전기차부품 3557억 원 규모 장기계약 수주
  5. 2023.06.27 모베이스전자 사실상 지배주주 손병준 회장 보유지분 매각 물량 소화 완료 2
  6. 2023.06.23 에코플라스틱 1분기 어닝서프라이즈에 미국 현대차 조지아 전기차 공장 건설 수혜 기대감
  7. 2023.06.21 유라테크 현대차 2030년까지 전기차 200만대 판매 목표 수혜 기대감
  8. 2023.06.14 애경케미칼 삼성SDI와 2차전지 음극재 양산 테스트 전기차 차량경량화 부품 개발 가속화
  9. 2023.06.11 명신산업 미국 테슬라 사이버트럭 부품 납품 부각
  10. 2023.06.08 포스코인터내셔널 현대차 전기차에 구동모터코어 납품 소식에 52주 신고가
  11. 2023.06.03 디아이씨 현대차와 기아 미국 판매율 증가와 미국 자회사 대일USA 구동모터 현지 생산 기대감 2
  12. 2023.06.03 SJM과 SJM홀딩스 전기차 냉각기술 보유 엠에이치기술개발 경영권 인수 부각 2
  13. 2023.06.01 세종공업 현대차 5월 실적 증가 수혜 기대감
  14. 2023.05.15 에코플라스틱 2023년 1분기 실적발표 어닝서프라이즈
  15. 2023.05.11 네오오토 전기차 핵심부품 감속기 설계 개발 성공 소식에 급등세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wAmeCj57sUY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대우부품은 아진산업에 인수된 이후 전장부품 사업을 강화하며 전장매출이 증가하고 있어 기존 전자부품에서 자동차 전장부품으로 업종의 주력이 변경되었습니다

 

대우부품의 주요 국내고객처로는 한온시스템,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현대모비스 등이 있으며, 해외 수출 거래처로는 Borgwarner, Ficosa 등이 있습니다.  

 

아울러 대우부품은 현대차와 기아의 1차 협력사로 인정받고 전기차 배터리 히터 3종과 PTC히터 제품을 현대차와 기아에 직접 납품하고 있습니다

 

대우부품의 주력 제품인 전기차 Heater류, 전기차 탑재형 충전기(OBC) 등  대표적인 전기차 부품의 필수부품으로 전기차 시장은 국가적인 환경오염 관심도 증가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소주법인을 통해 중국 전기차 업체에 전기차 부품을 납품하고 있어 고객사 다변화에도 성공한 모습입니다

 

현재 대우부품의 주력사업은 자동차전장부품으로 전장매출 27,585백만원(97.4%)으로 비중이 높으며, 콘덴서 매출 732백만원(2.6%)입니다

 

최근 대우부품은 현대차로부터 북미향 523억원 규모 전기차용 배터리 히터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는데 현대차의 주력전기차모델인 아이오닉6의 전기차용 배터리 히터를 납품하는 계약입니다

 

이를 통해 현대차와 기아의 전기차 부품사로 인정받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대우부품 20160126_유진투자증권.pdf
0.99MB
대우부품 IR 2021.pdf
2.24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eFwg66LiU90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진산업은 1978년 설립한 자동차 부품사로 업력이 꽤된 기업으로 현대차와 기아에 주로 납품을 하는 기술력 있는 자동차부품업체입니다

 

아진산업은 차체부품을 비롯해 전기차 등 전장 부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전기차에 들어가는 부품 EWP(Electronic Water Pump), CCH(Climate Control Head), 공조장치와 전압제어기, 조향장치, 차량용 블랙박스, 어라운드 뷰(AVM) 등 자동차 IT 부품 등을 생산 중에 있습니다.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공장에도 동반 진출하여 자동차 부품을 납품하고 있어 이번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 전기차공장 건설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최근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때문에 미국 조지아의 현대차 전기차 전용공장의 완공을 2024년 상반기로 앞당기고 있어 2024년 하반기부터 미국 조지아 공장에서 전기차 양산에 나설 것으로 보여 아진산업 미국법인들도 이에 대한 투자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아진산업은 미국 조지아주에 4,400억원을 투자해 전기차 부품공장을 설립할 계획인데 2024년 상반기 중에 완공 예정이며, 2024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할 예정으로 양산 이후에는 HMGMA 부품을 납품할 계획입니다

 

아진산업의 미국 자회사 JOON INC가 조지아주 불로크 카운티 브루스 얀 커머스 파크에 3억 1,700만 달러(원화 약 4,432억 원)를 투자해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협력 부품기업의 1호 공장을 준공한 것입니다

 

현대차와 기아는 전동화전략에 따라 글로벌 생산거점을 추가로 구축하고 있는데 캐나다에도 전기차 전용 공장 건설을 검토하고 있어 아진산업의 북미 캐나다 공장도 동반 진출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아진산업의 투자는 급증하고 있지만 현대차그룹의 전동환전략과 향후 생산량 을 6배까지 끌어올리기로 한 이상 아진산업도 생산CAPA 증가를 위한 적극적 투자에 나서고 있는 모습입니다

 

아진산업의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12,000원으로 평가되어 현주가대비 상승폭이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아진산업 20230412 한국신용평가.pdf
0.7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r9tSHIMC1_4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성창오토텍은 자동차 공조회사로 자동차 공조분야 캐빈 에어필터를 국내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한 공조분야 기술력을 인정받는 자동차부품사입니다

 

주로 OEM(주문자생산방식) 부품을 생산하며 한온시스템, 현대모비스 등 자동차 종합부품업체를 통해 현대차,기아차 등 국내.외 완성차업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성창오토텍과 연결회사의 국내생산 제품의 대부분은 자동차용 공조시스템 관련 제품이며, 해외생산 제품의 대부분은 자동차용 사출제품으로 매출은 국내 49%, 해외 51%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부품 중 사출과 에어필터 분야가 전체 매출액의 약 62%정도를 차지하고 전기차 부품인 인버터는 22.8%를 차지해 1분기에는 전기차 부품 매출이 줄어든 것으로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국내 생산 전기차에 대해 미국 정부의 보조금 혜택이 사라지자 현대차와 기아가 전기차 부품 수급을 조절하고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기존 사출과 에어필터 등의 공조부품의 마진이 낮은 상태에서 비교적 마진이 좋은 전기차 부품의 매출 비중이 줄면서 수익성이 줄어든 모습입니다

 

다만 현대차와 기아가 미국 조지아 전기차전용공장의 조기완공을 통해 2024년 하반기 양산을 준비하고 있어 성창오토텍도 생산 증가를 위한 추가투자에 나서고 있습니다

 

올 해는 전기차부품 생산케파를 늘리기 위한 투자가 이어지고 있어 주주들에게 돌려줄 주주환원정책은 줄어들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성창오토텍의 주가가 52주 신저가를 기록하는 등의 부진한 모습은 내연기관차 중심의 공조부품은 점차 발주량이 줄어들 것으로 보이고 전기차 부품인 인버터의 발주는 IRA법 때문에 늘지 않을 것으로 보여 최악의 한해가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외국인 지분율도 꾸준히 감소하여 1.86%까지 줄어들게 되었는데 기본적인 수익이 있기 때문에 6천원에 접근하면 저가매수세가 어김없이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성창오토텍의 올 해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1만원대로 평가되고 있어 IRA법 영향으로 주가할인이 일어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성창오토텍 20211202.pdf
0.99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BQzRYzPoZc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삼보모터스가 현대차로부터 전기차 전용 핵심 부품을 대량 수주했다는 소식에 급등하고 있는데 3557억 원 규모로 시총에 2배가 넘는 규모의 수주를 받았습니다.



30일 오후 3시 16분 현재 삼보모터스는 전 거래일 대비 21.82% 오른 7370원에 거래 중입니다.



삼보모터스는 전기차 전용 부품인 250Kw(킬로와트)급 Rotor ASSY(로터 아세이)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는데 수주 대상은 주요 고객사인 현대자동차입니다.

 

로터 아세이는 전기차 모터를 구동케 하는 핵심 부품으로 전기차 모터가 전력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외관을 감싸주는 역할을 합니다.

 

삼보모터스의 로터 아세이 수주 물량 확보는 이번이 처음으로 기존엔 전력 전달 부품인 버스바 등을 주로 생산, 납품해왔습니다.

 

이번 수주 총 금액은 3557억원(2022년 연결 매출액의 29.6%, 별도 매출액의 102% 규모)으로 계약기간은 오는 2025년 11월부터 2036년 12월까지로 삼보모터스는 실제 제품 양산에 앞서 생산 설비 확충 등 준비 기간을 갖게되어 대규모 투자를 하게 되었습니다.

 

매출은 개별 발주가 접수되는 시점부터 발생할 것으로 10년에 걸친 장기 수주계약입니다

 

삼보모터스는 기존 내연기관 엔진 부품에서 전기차부품 업체로 현대차와 협력관계를 맺으며 성공적으로 변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 같습니다

 

삼보모터스 1분기 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6천원 정도로 평가되고 있어 이번 대규모 수주가 주가 상승의 모멘텀이 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삼보모터스 2022 기업IR협의회.pdf
2.11MB
삼보모터스 IR 2022.pdf
4.49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모베이스전자는 차량용 스마트키, 파워 윈도우 및 운전대에 붙는 다기능 스위치, 차량용 전력 제어 장비, 무선 충전기 등의 차량용 전자 부품을 생산하는 회사로 스마트키 시스템의 경우 국내 자동차 회사 대상 납품 물량의 8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고 스위치, 전력 제어 장비, 무선 충전기 등의 부품도 관련 업계 1위로 평가 받고 있는 강소기업입니다.

 

2023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305억원, 영업이익 84억원, 당기순이익 51억을 기록했다고 발표해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모베이스전자는 현대기아차 등 완성차 업체의 실적 호조와 반도체 수급 문제가 해결되면서 전장부품 판매량 증가가 실적 성장을 이끌었다고 설명했고 또한 최근 자동차 사양의 고급화에 따라 터치 디스플레이 및 필기 인식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가 늘어남으로써 영업이익 역시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모베이스전자의 지난 1분기 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3천원으로 지난 연말과 비교해 50%가 상향한 것으로 매출 1조원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지난 해 전환사채 전환권 행사로 사실상 지배주주이면서 최대주주인 손병준 회장이 보유하고 있던 1,238,390주를 3,024원에 5월 17일 전량 매도하면서 주가가 조정받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사실상 지배주주인 손병준 회장의 주식전량매도는 투자자들에게 주가 고점에 대한 우려를 갖게 했고 함께 매도한 투자자들도 많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현대차와 기아의 2분기 실적도 견조할 것으로 보여 모베이스전자의 실적도 견조한 증가세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3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xbBGxIGFpn4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에코플라스틱은 플라스틱 범퍼 분야 국내 1위 업체로 전기차 시대를 맞이해 차량경량화 기술개발로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 전기차 공장 건설에 동반 진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에코플라스틱은 지난 1분기에 매출액 5019억원, 영업이익 153억원, 순이익 110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액은 31.1% 늘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411.8%, 527.8% 증가해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회사 측은 올 1분기에 플라스틱 범퍼 매출은 1258억원을 달성하며 국내 시장 1등 지위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현대차와 기아에 납품하고 있는 콘솔사양 고급화로 인한 납품가격 상승을 가져와 올해 1분기 1020억원 매출을 달성했는데 앞으로 자율주행차 시대를 대비해 다양한 기능의 콘솔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전기차에 있어서 차량경량화는 배터리 무게만큼 다른 부품 무게를 줄여 에너지 효율화를 달성하려는 것으로 현대차그룹의 전동화 전략 가속화에 수혜를 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에코플라스틱은 모회사인 서진오토모티브와 함께 전기차 부품 사업에 집중하고 있어 수익성도 개선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에코플라스틱은 전기차 내외장재의 무게를 경량화해 주행거리를 늘리는 기술개발에 동참하고 있고 현대차와 기아의 협력사로 양사의 전기차 개발에 함께 참여하고 있는 기술력 있는 기업입니다

 

에코플라스틱의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8천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지난 5월 4일 8,440원을 찍고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가격조정을 받은 바 있습니다

 

이제 시장은 2분기 실적에 관심을 가지며 투자시기를 조율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에코플라스틱 20230502_기업IR협의회.pdf
2.54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lBRH-1hPYuQ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현대차가 2030년까지 전기차 200만대 판매를 핵심 목표로 제시하면서 자동차부품주들이 동반 강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지난 20일 현대차는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투자자, 애널리스트 등을 대상으로 '2023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새로운 중장기 사업 전략 및 재무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현대차는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 전기차 판매 목표를 올해 33만대에 이어 2026년 94만대, 2030년에는 200만대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는데 지난해 목표치보다 2026년은 10만대, 2030년은 13만대 상향 조정한 것으로 현대차그룹의 전동화 속도에 가속도가 붙은 모습입니다.

 

현대차 그룹이 제시한 목표가 달성되면 현대차·제네시스의 전기차 판매 비중은 올해 8%에서 2026년 18%, 2030년에는 34%로 급증하게 되고 2030년 주요 지역(미국·유럽·한국) 전기차 판매 비중은 53%에 육박할 전망이라 전기차 대중화가 한발 앞으로 다가온 느낌입니다

 

유라테크는 자동차용 점화 코일, 점화 플러그를 제조 판매하는 자동차부품전문업체로 현대·기아자동차, 현대모비스 등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을 올리고 있는데 유라테크가 공급하고 있는 전기차 고전압 시스템 부품으로는 '전기차 고전압 정션 블록' 및 '충전 인렛' 등이 있어 현대차의 전동화 전략에 맞춰 실적증가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유라테크는 엔진부품이 갖고 있는 고민과 전기차 부품업체로써의 기대감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는데 내연기관의 시장 퇴출이 선진국 시장에서 먼저 이뤄지고 있어 수출감소가 확인되고 있지만 이를 커버해 줄 전기차 부품 증가세는 더디기만 하기 때문입니다

 

영국은 2030년부터 내연기관차 판매를 금지하겠다고 발표했고, 미국 캘리포니아주도 2035년에 내연기관차 판매를 금지하겠다고 했고 윤석열 정부도 2035년까지 내연기관차 퇴출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제너럴 모터스(GM)는 2035년부터, 볼보는 2030년부터는 전기차만 팔겠다고 선언해 내연기관 엔진부품으로 유라테크의 미래가 불안해 질 것 같습니다.

 

유라테크의 주력 매출 중 74.9%(3월 31일 기준)가 점화코일과 점화플러그 등 내연차에만 쓰이는 부품이란 점이 실적둔화에 대한 우려감을 키우고 있는데 현대차가 전동화에 가속화하겠다는 전략은 유라테크의 전기차부품 사업의 규모의 경제 달성에 파란불을 켜주고 있습니다

 

유라테크의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14,000원으로 평가되어 지금은 실적을 주가에 반영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유라테크 2021.pdf
0.9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g_wcq58UleE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애경케미칼이 전기차 시장 성장에 발빠르게 대처하고 있는데 실리콘 음극재용 바인더를 필두로 이차전지 소재 사업에도 진출하기 시작했습니다. 

 

실리콘 음극재용 바인더는 음극재에 흑연 대신 실리콘을 쓴 배터리의 경우 충전 속도를 압도적으로 단축하면서 용량을 4~10배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실리콘 음극재에 부풀어오르는 문제도 해결했는데 애경케미칼은 실리콘의 부피가 변하더라도 접착력 및 전극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바인더를 개발하는 것에 성공해 국내외에서 특허 등록을 마치고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테스트가 완료되면 삼성SDI의 2차전지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은 기술입니다

 

애경케미칼은 전기차 소재 부문 사업 아이템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간다는 방침으로 2차전지 실리콘 음극제에서 차량경량화 소재로 사업영역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애경케미칼은 탄소섬유 기반의 '프리프레그(AKAPREG)'와 'SMC(Sheet Molding Compound)'를 활용해 전기차 경량화 부품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으로 배터리를 장착해 일반 차량 대비 30% 정도 무거운 전기차의 특성상 고강도·경량화 소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무거운 배터리의 무게만큼 다른 부품을 가볍게 만들어 한번 충전 시 이동거리를 늘리는 것이 전기차 성능의 관건이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애경케미칼은 삼성SDI와 사업협력관계를 맺고 차량경량화에서 현대차와 기아 협력사와 협력할 수 있어 시장확대에 장점을 갖고 있는 회사이기도 합니다

 

 

애결실리콘의 2023년 1분기 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32,000원으로 점프업한 상황으로 삼성SDI와의 실리콘음극재에 대한 양산테스트 결과를 선반영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애경케미칼 20221027.pdf
1.6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YipNzpeR_YQ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명신산업은 현대차와 기아 그리고 해외업체로 테슬라에 납품하고 있는 자동차 차체 부품업체로 특히 핫스탬핑 공법으로 경량화시켜 만든 제품을 자동차 차체 부품업체에 납품하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명신산업은 2차 협력사로 자동차 부품을 만드는 업체로 1차 협력업체에 납품하여 최종 완성차 업체에 납품하는 구조로 수익구조가 만들어져 있습니다

 

명신산업의 핫스탬핑 공법은 차량경량화 추세와 맞는 부품을 제작하는 기법으로 전기차 시대에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 매출 1조원을 돌파하였습니다

 

명신산업의 미국법인인 미국심원,북미심원은 전기차를 생산하는 테슬라의 1차 납품업체이며, 중국에 진출한 상해심원, 상숙심원 역시 테슬라 중국법인의 1차 납품업체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정부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이어 연비와 탄소규제를 강화하고 있고 이러한 규제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전기차의 판매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명신산업의 핫스탬핑 공법은 자동차 경량화 수요에 따라 전기차부품으로 부각되고 있는 경량화 공법중 양산화가 가장 용이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인하여 원가경쟁력을 보유하여 완성차 업체들 사이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도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명신산업은 국내에서 현대차와 기아의 2차 밴더로 납품하고 있어 미국에서는 테슬라의 2차 밴더로 역할을 하고 있지만 1차 밴더와의 유기적인 협력관계로 꾸준한 납품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테슬라의 사이버트럭 양산은 명신산업의 실적에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데 일론머스크는 연례 주주총회에서 전기 픽업 트럭인 사이버트럭이 올해 처음으로 고객에게 인도될 것이며 생산이 시작되면 연간 25만~50만대를 인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명신산업이 보유한 핫스탬핑(금속을 가열해 성형한 뒤 급속 냉각하며 모양을 만드는 공법) 방식의 경량 차체 부품들은 전기차 경량화 추세에 맞는 부품으로 실적성장의 기대감을 갖게하고 있습니다

 

명신산업의 지난 1분기 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25,000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추가적인 주가상승을 기대해 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명신산업_주식회사_IR_Book_2021.pdf
1.84MB
명신산업_20230214 하나투자증권.pdf
0.62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B_WQH0-XcI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주력사업인 철강유통이 살아나고 해외자원개발사업에서도 LNG가격 상승으로 수익성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데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공들여 키우고 있는 전기차 구동모터코어 사업이 국내 전기차 시장 1위 기업인 현대차와 협력업체로 올라서며 실적개선이 빠르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종속회사인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이 현대자동차가 생산예정인 eM(JG EV) 차세대 전기차 전용플랫폼용 구동모터코아 공급업체로 선정됐다고 이날 공시했는데 2025년부터 2034년까지 총 250만대에 대하여 납품할 예정이라 추후 수량을 변동될 수 있습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포스코에너지를 합병하면서 향후 몇년간 조 단위의 신규투자금이 필요하다는 우려로 주가 발목을 잡고 있었는데 오히려 LNG가격 상승으로 미얀마 가스전의 가치가 부각되고 있고 주력사업인 상사업에서 POSCO 철강유통이 증가하고 있고 중국 철강사들의 구조조정으로 POSCO철강 가격이 상승하는 등 호재성 재료들이 하루가 멀다하고 날라들고 있습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종속회사인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으 전기차 구동모터코어는 신규사업으로 성장성이 큰 사업으로 기대되고 있었는데 이번에 국내 전기차 1위 업체인 현대차와 협력업체가 되고 현대차와 기아의 해외전기차시장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어 동반 성장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해외자원개발이 아킬레스건이 되고 있지만 미국 오마하의 현인 워런버핏이 일본 종합상사주에 투자하면서 해외자원개발을 주요 이유로 대면서 포스코인터내셔널의 해외자원개발이 호재가 되고 있습니다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업이 시장의 인기테마와 제대로 맞아 떨어지면서 52주 신고가를 기록하고 있는데 지난 분기 국민연금의 보유지분 축소를 너무 성급한 판단이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어 국민연금의 주식운용력에 문제가 있다는 말도 나오고 있습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지난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31000원대로 평가되는데 2분기 실적 기대감으로 40000원대로 적정주가가 올라간 느낌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포스코인터내셔널_20230605 대신증권.pdf
1.3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qhbPIRHhamQ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디아이씨는 현대차와 기아의 변속기와 엔진부품을 주로 납품하는 자동차 부품사로 굴삭기 부품도 생산하고 있는 자동차 및 중장비 파워트레인 핵심부품을 생산하는 기술력 있는 부품사입니다

 

디아이씨는 지난 1월 미국 지역으로 공급하는 현대 트랜시스향 변속기 공급업체로 선정되며 미국향 수주 증가가 본격화되고 있는데 미국 현지법인 대일USA에 800만달러 설비투자를 확정하고 시험가동을 거쳐 올 하반기 본격적인 매출이 기대되고 있는데 대일USA는 유통전문회사에서 미국 제조공장으로 변신하고 있습니다

 

대일USA는 오는 2024년부터 1차적으로 현대차그룹 조지아 전기차전용공장에 공급하는 구동모터용 로토 샤프트(Rotor Shaft)와 로토 어세이(Rotor Ass’y) 등의 주요 부품과 감속기를 생산할 예정으로 2025년에는 전기차(EV) 구동 모듈까지 생산 제품을 확대해 주요 고객사에 공급할 예정입니다.

 

 디아이씨는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 조지아 전기차전용공장 가동에 맞춰 유통전문법인이었던 대일USA를 구동모터를 직접 생산하는 제조법인으로 변경하고 있는데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로 인해 현대차와 기아가 전기차 완성차를 미국 현지에서 생산할 필요가 생겼기 때문입니다

 

여기다 미국내 현대차와 기아의 내연기관모델 판매가 늘고 있어 꾸준히 미국향 제품의 실적이 늘고 있는데 대일USA의 실적 또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전체적으로 실적증가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디아이씨의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8천원으로 현 주가는 저평가 구간에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pWacsxzGwXA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SJM홀딩스(구 SJM)는 1975년 3월 설립한 지주회사로 이 회사는 2010년 자동차 부품 사업 부문을 인적 분할해 에스제이엠을 설립한 이후 에스제이엠홀딩스로 상호를 변경해 지주회사 체제를 만들었습니다

 

SJM홀딩스는 향후 전기차 시대에 자동차 부품 기업으로의 입지를 다지고자 '제이엘튜브(ZLTube)' 기술을 개발한 엠에이치기술개발에 지분 투자하고 경영권을 획득한 것이 호재가 디어 주가급등이 나타나시도 했습니다

 

ZLTube기술은 BEV와 HEV의 냉각에 이용되는 기술로 기존 냉각관은 누수문제로 인해 냉각효율이 떨어져 차량의 화재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ZLTube 기술은 기존 기술에 비해 누수율을 획기적으로 줄여 냉각효율을 극대화했고, 그 결과 과열로 인한 위험을 줄이는 신기술입니다.

 

엠에이치기술개발은 자동차 기술이 앞서 있는 독일차에도 ZLTube 기술로 냉각관을 만들어 샘플을 보내고 테스트를 거치기도 했습니다

 

엠에이치기술개발은 현대차 연구원 출신들이 만든 자동차 부품 회사로 유진호 대표는 현대차 연구원으로 10여년 넘게 자동차 부품을 연구해온 창업자입니다

 

엠에이치기술개발이 개발한 전기차용 냉각수 관로 ZLTube는 전기차의 냉각 방식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킨 기술혁신 부품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전기차 완성차 업체들이 샘플을 받아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어 정식 채택될 경우 상당한 실적 점프업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SJM홀딩스에 인수되면서 SJM의 영업망을 타고 완성차 업체들과 접촉할 수 있어 전기차 부품으로 채택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엠에이치기술개발을 SJM홀딩스가 인수하면서 SJM홀딩스와 SJM이 동반해서 재평가를 받고 있는데 전기차용 냉각수 관로 ZLTube가 완성차 업체에 정식 부품으로 채택될 경우 상당한 실적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SJM과 SJM홀딩스의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2만원으로 여전히 저평가되어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fl-6xT3GioE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현대차의 5월 실적이 공개되었는데 전년 동기 대비 차량 판매가 7.8% 증가추세를 내놓아 지동차 부품주들에 대한 시장참여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세종공업은 자동차의 환경유해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컨버터와 소음진동을 줄이는 부품인 머플러를 주로 생산해 현대차와 기아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세종공업의 주거래처는 현대차와 기아로 양사의 국내 시장점유율을 감안할 경우 세종공업의 관련 바동차부품 시장점유율은 약 27%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세종공업은 기존 내연기관차의 컨버터와 머플러 이외에도 전기차 부품으로 배터리팩 조립업무에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데 덕연산업과 서연이화와 함께 전기차배터리팩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세종공업은 당해사업연도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74.27억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고 같은 기간 매출 액은 전년대비 27.69% 증가한 4,814.56억원, 순이익은 전년대비 흑자전환한 98.9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별도기준 매출액은 1,130.92억원으로 전년대비 18.87%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50.23억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으며, 순이익은 83.09억원으로 전년대비 2,350.50% 증가한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현대차가 하이브리드차 배터리를 자체 개발하면서 배터리팩 협력사 세종공업의 실적이 동반 강세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하이브리드차 배터리를 자체 개발, 내년 출시 예정 차량에 적용할 것으로 알려졌는데 세종공업과 덕양산업, 서연이화가 배터리팩 제조에 협력업체로 동참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현대차의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12,000원으로 지난해 적정주가보다 올라가고 있어 실적호전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gvk8XPrP5HQ

안녕하세요

에코플라스틱은 플라스틱 범퍼 분야 국내 1위 업체로 전기차 시대를 맞이해 신기술과 신제품을 개발해 사업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1위 기업으로 나아가 시장을 선도해 나간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는데 전기차 시대로 나아갈수록 차량경량화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어 에코플라스틱의 기술이 경쟁력을 갖고 있습니다

 

에코플라스틱은 분기보고서를 통해 당해사업연도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52.68억원으로 전년대비 411.76% 증가했다고 밝혔고 같 은 기간 매출액은 전년대비 31.10% 증가한 5,019.30억원, 순이익은 전년대비 527.76% 증가한 110.10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별도기준 매출액은 2,940.99억원으로 전년대비 33.47%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83.86억원으로 전년대비 263.14%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72.67억원으로 전년대비 178.48% 증가해 확실한 어닝서프라이즈가 무엇인지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에코플라스틱은 차량경량화 관련주로 전기차의 핵심 목표가 되고 있는 1회 충전시 이동거리 향상을 위해 자동차부품의 경량화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에코플라스틱은 전기차 내외장재의 무게를 경량화해 주행거리를 늘리는 기술개발에 동참하고 있고 현대차와 기아의 협력사로 양사의 전기차 개발에 함께 참여하고 있는 기술력 있는 기업입니다

 

1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어닝서프라이즈를 확인시켜주면서 전기차 시대에 차량경량화 관련 대표주로 거듭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에코플라스틱의 어닝서프라이즈는 모회사인 서진오토모티브의 주가도 동반해 끌어올리고 있는 모습인데 전기차 시대에 성공적으로 전기차부품사로 변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에코플라스틱의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8천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당분간 실적호전에 따른 주가상승이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H84wEGPTEbM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네오오토가 전기차에 적용되는 감속기를 자체 설계 개발에 성공하고 완성차 업체와의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는 소식에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0일 오후 3시 2분 현재 네오오토는 전날 보다 21.60% 오른 1021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네오오토는 자동차 시장의 전동화분야로의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전기차용 2단 변속기 등 친환경 자동차와 관련된 특허권을 출원하여 기술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고 그 결과 FCA 퍼시픽카에 적용되는 PHEV용 모터 샤프트, 현대트랜시스 쏘렌토, 산타페, K5등에 장착되는 HEV용 트랜스미션의 피니언기어를 수주하여 2020년부터 양산 납품중에 있습니다.



또 최근 전동화 부품 수주 노력의 결과로 현대 트랜시스의 전기차 감속기 부품 중 니로 후속, 코나 후속, 아이오닉 6 등에 적용되는 DIFF DRIVE GEAR와 DIFF ASSEMBLY를 수주해 2022년부터 양산 중에 있습니다.

 

네오오토는 초미니 전기차와 승용, 상용 전기차에 적용되는 감속기를 자체 설계, 개발하여 시험을 통한 성능 및 내구성 검증을 완료했습니다.

 

양산 적용을 위해 완성차 업체와 다방면으로 협의 진행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정부과제를 통해 승용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2단 변속기를 독자 개발 진행하고 있으며, 자체 시험을 통한 내구성능에 대한 검증을 완료하고 실차 시험중에 있습니다.

 

현대차가 향후 5년간 전기차 생산량을 6배 늘리겠다고 하고 있어 전기차 부품 업체를 찾으려는 투자자들의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네오오토는 내연기관차의 핵심부품인 엔진 변속기를 현대차그룹에 납품하는 몇 안되는 업체로 기술력을 인정받아 왔는데 이번에 전기차용 감속기를 개발해 내면서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네오오토의 2022년 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1만원대로 평가되고 있어 이번 주가 급등으로 작년 실적을 다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네오오토 20201022.pdf
1.19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