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탐욕스런 CJCGV가 영화 관람료를 또 인상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여파로 극장에 방문하는 관객들이 감소하자 일부 영화관들이 개봉을 연기하는 등의 선택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이를 만회하기 위해 영화관을 찾는 이들에게 바가지를 씌우겠다는 멍청하기 그지 없는 전략입니다.
5일 CGV에 따르면 지난 4일부터 성인 2D 영화관람료가 1000원 상향 조정돼 주중 1만4000원, 주말 1만5000원으로 올렸는데 IMAX를 비롯한 4DX, ScreenX, SPHEREX, 스타리움 등 기술 특별관은 2000원 인상됐고 씨네드쉐프, 템퍼시네마, 골드클래스 등 고급관은 5000원씩 올랐고 무비머니(영화관람권)도 동일하게 인상됐습니다.
CGV는 임차료 및 관리비 등 고정비 증가, 상영관 취식 금지로 인한 매점 매출 급감, 영업시간 제한, 좌석 띄어앉기, 방역비 부담 증가 등으로 인해 지난 2년 코로나19 여파로 국내에서만 약 3668억원에 달하는 누적 영업손실을 기록했습니다.
CGV 측은 "코로나19 이후 영업시간 제한과 띄어앉기 등의 제약으로 관객이 급감했고 이로 인해 주요 기대작들이 개봉을 미루며 영화산업 악순환이 심화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영화관의 적자는 누적돼 경영 위기가 가중돼 제작 및 투자·배급 등 영화산업 생태계 전체가 더 이상 버틸 힘이 없어 생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가격을 인상하게 됐다"고 말했는데 코로나19 이전에도 매년 똑같은 논리로 가격을 인상해 왔기 때문에 그냥 매년 되면 올리는 것으로 영화관을 찾는 멍청한 관객들이 얼마까지 낼 수 있나 시험하는 것 같습니다.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2021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자료'에 따르면 2021년 한국 영화산업은 1조239억원의 매출로 2년 연속 감소했는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2조5093억원 대비 약 60% 가까이 줄어들었고 같은 기간 극장 매출 감소율은 이보다 더 높아 2019년 1조9140억 대비 70% 줄었습니다.
코로나19펜데믹 가운데 이미 많은 고객들이 넷플릭스와 애플플러스, 구글플레이 등 안방에서 즐길 수 있는 온라인 상영관으로 이동했고 이들은 왠만해서는 극장을 다시 찾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CJ CGV는 모르나 봅니다
매년 가격을 인상하여 지금 영화 한편 볼 돈으로 한달동안 다양한 컨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사실을 CJ CGV 경영진은 아직 모르고 있나 봅니다
독과점 되어 있는 극장가에 한 회사가 올리면 나머지가 따라 올리는 시스템이라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도 따라 올릴 가능성이 큰데 그렇게 될 경우 관객들은 더더욱 극장을 찾지 않게 될 것입니다
이제 극장을 찾아영화를 소비하는 사람들은 극장에서 영화를 보던 세대의 추억을 느끼려 찾는 나이든 세대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가격을 올려도 손님은 계속 찾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멍청한 생각을 하고있는 경영진들로 회사가 더 망가질 것 같습니다
위드 코로나 시대에 보복소비 심리로 다시 극장을 찾는 관객들이 생겨날 수 있지만 비싸진 극장 관람료에 이들의 재구매가 일어나지 않으면 결국 장기적으로 극장을 찾는 관객은 줄 수 밖에 없어 보여 극장에서 영화를 보는 시대가 저물고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나미 경영권 승계 완료 형제간 재산분할 위해 공격적 투자 기대감 (0) | 2022.04.05 |
---|---|
방위사업 관련주 김여정 핵위협 담화 학습효과 묻지마 매수 기대감 세상이 바뀐 걸 알아야 (0) | 2022.04.05 |
일론머스크 트위터 지분 9% 인수 단일 최대주주 등극 (0) | 2022.04.04 |
쌍용차 인수전 쌍방울그룹과 중소기업 이엔플러스 참여 상한가 (0) | 2022.04.04 |
엔지켐생명과학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임상2상 중단 급락세 (0) | 2022.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