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sU7wKVd0TbU

안녕하세요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조건부 인수허용쪽으로 가닥을 잡아가면서 인수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대한항공이 아시안항공을 인수할 경우 대한항공의 자회사로 일단 편입하기 때문에 연결재무제표 상 실적부진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오미크론 대유행으로 해외에서 더 많은 확진자들이 나오고 있고 국내에서도 코로나19신규확진자가 하루 5만명대로 발생하고 있어 해외여행 수요가 여전히 저조하기 때문에 화물기 운영을 통한 수익성 개선 밖에는 실적기대감이 없는 상황입니다

 

특히 아시아나항공은 대한항공에 비해 화물기운영비율이 낮아 대한항공에게는 당장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실적면에서는 그리 썩 좋은 선택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양사의 재무지표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지난해 연간 매출액 컨센서스는 각각 8조8277억 원, 4조965억 원으로 집계됐고 양사의 연간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각각 1조2306억 원, 1165억 원으로 큰 격차를 보이고 있고 아시아나항공의 적자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결재무제표가 대한항공에게는 부담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런 우려는 근시안적인 시각으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합병할 경우 국내 항공시장의 약 60% 이상을 독과점하고 해외항공수요도 약 50%이상의 독과점 구조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여기다 저가항공사 시장에서도 진에어와 에어부산, 에어서울이 합병할 경우 단번에 제주항공을 뛰어넘어 저비용항공사 시장의 1위 기업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독과점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조건부 인수허용으로 가닥을 잡고 있어 초기에는 시장혼란이 불가피해 보이지만 그 시기가 코로나19위기 상황이라 실적에는 큰 부담이 될 것 같지 않습니다

 

올 해 하반기부터 해외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 수 있는데 그 동안 억눌러 왔던 해외여행 욕구가 트래블버블지역부터 시작해서 폭발적으로 급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럴경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뿐 아니라 계열 저비용항공사들의 수익성도 빠르게 회복될 수 있어 인수시너지에 대한 기대가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