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에스디바이오센서'에 해당되는 글 22건

  1. 2025.02.24 코로나진단키트주 중국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견 소식 수혜 기대감 2
  2. 2024.11.23 엠폭스진단기기 관련주 WHO 엠폭스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 지속 확인 2
  3. 2024.10.18 진단키트주 WHO 엠폭스 펜데믹 경고 영향 강세 전환 13
  4. 2024.08.08 코로나진단키트 관련주 코로나 입원환자 급증 소식에 일제히 급등세 2
  5. 2024.08.02 코로나진단키트주 해외 코로나변이 유행 반사이익 기대감
  6. 2024.06.13 SD바이오센서 미국 Meridian 인수 무형자산 상각 비용 주가부담 2
  7. 2024.03.22 에스디바이오센서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라이트재단)과 협력 수익 다각화 추진
  8. 2023.08.03 에스디바이오센서 메리디안 바이오사이언스(미국) 인수금융 상환용 일반공모 유상증자 성공
  9. 2023.08.03 코로나19진단키트주 코로나19재확산 일 확진자수 5만명 돌파 우려에 급등세
  10. 2023.02.16 바이오노트 항체치료제시장 진출 사업다각화 추진
  11. 2022.12.22 바이오노트 코스피 상장 첫날 급등세 싯가총액 1조원 돌파
  12. 2022.12.16 코로나19진단키트 관련주 코로나19재확산에 동반 상승세
  13. 2022.07.22 유바이오로직스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유코백-19 멀티주’ 수출용 품목허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
  14. 2022.07.11 코로나19진단키트주 코로나19재확산에 수출 증가 기대감
  15. 2022.07.08 에스디바이오센서 미국 체외진단 기업 Meridian Bioscience社 약 2조 원에 인수합병(M&A)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중국의 우한바이러스연구소에서 유명 학회지 `셀(Cell)`을 통해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HKU5-CoV-2)를 발견했다는 발표에 `펜데믹 공포`가 확산되면서 모더나와 화이자, 노바백스 등 백신 제조업체 주가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바이러스는 홍콩 박쥐에서 처음 발견됐는데 연구에 따르면 해당 바이러스는 코로나19를 발생시킨 Sars-CoV-2 바이러스처럼 세포표면단백질을 이용해 인간 세포로 침투, 동물에서 사람으로 전파될 위험이 있는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연구진은 "인간 세포에 쉽게 침투하기는 어렵다"며 "사람에게서 검출된 게 아니라 실험실에서 확인됐을 뿐"이라고 설명했는데 아직 인간간 감염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해당 연구는 광저우과학원, 우한대학교, 우한바이러스연구소 등이 함께 참여했으며, 박쥐 바이러스 권위자인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스정리 박사가 주도해 신종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을 경고한 상태입니다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가 발견되어 전세계로 확산되었다는 점이 학습효과를 투자자들에게 심어주고 있어 연구소 내의 발견이라고 했지만 미국 증시의 백신주들은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습입니다

 

우리 증시에서도 코로나진단키트주들에 학습효과가 되어 있어 묻지마 매수세가 유입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코로나진단키트주들은 적자를 기록하고 있어 주가 급등이 나오더라도 유지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진단키트 관련주

씨젠

에스디바이오센서

엑세스바이오

녹십자엠에스

진매트릭스

랩지노믹스

진원생명과학

팜젠사이언스

수젠텍

휴마시스

세니젠

노을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확산하는 엠폭스(MPOX·옛 명칭 원숭이두창)가 여전히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에 해당한다고 세계보건기구(WHO)가 진단했습니다.

 

약 12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WHO 위원회는 제네바에서 열린 회의에서 엠폭스에 대한 경보를 최고 수준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WHO는 "감염 사례의 증가와 지리적인 확산, 전반적으로 단합된 대응의 필요성에 따른 결정"이라고 설명해 엠폭스의 아프리카 외 확산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올해 아프리카에서 보고된 엠폭스 의심 사례는 5만3천903건에 달하며 이 가운데 1만1천147건이 최종 확진 판정을 받았고, 1천109명이 사망해 치사율이 높은 감염병으로 치부되고 있습니다.

 

엠폭스는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급성 발열 발진성 질환으로 WHO는 올해 초부터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치명률이 높고 전파 속도가 빠른 새로운 변종인 하위계통 1b형(Clade 1b) 엠폭스가 확산하자 지난 8월 PHEIC를 선언했습니다.

 

엠폭스도 바이러스 감염으로 변이바이러스가 계속 발견되고 있는데 아프리카 지역 이외에는 보건위생 수준이 높고 관련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어 치사율이 낮다고 알려졌지만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기존 백신과 치료제의 효과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엠폭스의 조기진단과 격리를 통한 치료가 확산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어 조기진단의 필요성에 진단키트 관련주들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진단키트주

씨젠

휴마시스

엑세스바이오

에스디바이오센서

바이오노트

녹심자엠에스

우리바이오

유투바이오

진매트릭스

랩지노믹스

미코바이오메드

피씨엘

수젠텍

세니젠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b-stDuXKqVQ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세계보건기구(WHO)가 엠폭스(MPOX·옛 명칭 원숭이두창)로 펜데믹(세계적 감염병 대유행)이 올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진단키트주 전반에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전날 아프리카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전날 기준으로 최근 1주일간 추가로 숨진 50명을 포함해 올해 아프리카 대륙의 엠폭스 사망 환자는 1100명으로 집계됐고 같은 기간 아프리카에서 보고된 엠폭스 의심 사례는 4만2438건이었고 이 가운데 8113건이 최종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엠폭스는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급성 발열 발진성 질환으로 2022년 5월 미주와 유럽 등지에서 확산하자 WHO가 최고 수준 보건 경계 태세인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언했다가 지난해 5월 확산세가 잦아들자 해제했습니다.

 

엠폭스는 올해 들어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치명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전파 속도가 빠른 새로운 변종인 하위계통 1b형(Clade 1b) 엠폭스가 확산하면서 WHO는 해제 1년 3개월 만인 지난 8월 14일 PHEIC를 재선언했습니다.

 

진단키트주들은 엠폭스에 대해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는데 코로나19 진단키트도 가장 빨리 양산했듯이 엠폭스 진단키트도 빠르게 대응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도 학습효과가 되어 있어 묻지마 매수에 나서고 있는 모습인데 랩지노믹스는 엠폭스 및 코로나19 진단키트를 개발해 보유하고 있어 시장참여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엠폭스에 대해 세계 보건비상을 발령한 상황이라 제2의 펜데믹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진단키트주

씨젠

휴마시스

엑세스바이오

에스디바이오센서

바이오노트

녹심자엠에스

우리바이오

유투바이오

진매트릭스

랩지노믹스

미코바이오메드

피씨엘

수젠텍

세니젠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의 대유행 조짐에 코로나19진단키트 관련주들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방역당국이 코로나19확진자 중 고연령대에서 입원환자가 급증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의 대유행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최근 윤석열 정부의 의정갈등으로 전문의들이 1만여명 병원을 이탈한 상황에서 코로나 재유행은 의료시스템 붕괴 가능성을 키우고 있는데 윤석열은 아무 생각없이 여름휴가를 즐기며 지방 재래시장을 찾아 먹방을 시연하며 태평성대를 구가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학습효과가 되어 있기에 이미 코로나19진단키트주에 묻지마 매수를 진행하며 각자도생의 학습효과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고연령층은 코로나 변이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입원치료를 받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는데 공공의료기관에 대한 코로나 엔데믹 전환이후 지원을 윤석열 정부에서 거의 전부 중단하면서 어느 병원도 코로나전담병원을 희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코로나 확진자 중 고연령층을 중심으로 제대로 된 케어를 받지 못해 중증환자로 발전하고 있고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경우도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로나 조기 진단을 통해 확진자들을 격리하여 감염자 자체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지만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윤석열 정부로 인해 피해가 점점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자들으 학습효과가 코로나19진단키트주에 대해 묻지마 매수세를 가져오고 있는데 실제로 자가검사가 늘면서 병원으로 코로나진단키트 문의가 많지만 대부분의 진단키트 업체들이 적자를 못이겨 생산량을 줄인 상태라 재고도 부족하여 가격도 급등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자가진단키트의 재고 부족으로 가격마져 밀어올려지고있어 이런 추세가 길어질 경우 실제로 코로나진단키트 관련주들의 실적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테마성 매수세가 유입되는 것이라 바람이 지나면 실적이 부진한 관련주들은 다시 급락이 나타날 수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코로나진단키트관련주

씨젠

엑세스바이오

에스디바이오센서

녹심자엠에스

우리바이오

유투바이오

진매트릭스

랩지노믹스

피씨엘

수젠텍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https://youtu.be/nweWDRoFZzk

안녕하세요

코로나진단키트주들이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의 재유행으로 시장의 관심을 다시 받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일본 등 각국에서 신종 코로나19 변이 kp.3가 확산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일본은 10주 연속 코로나19 감염 환자 수가 늘고 있고 지난 5월 이후 10주 연속 증가세로 최근 증가 속도는 더욱 가팔라지고 있습니다.

 

미국 역시 조 바이든 대통령이 감염되는 등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올해 코로나19 증가세는 예년보다 빠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 이미 올해 바이러스 유행이 작년 정점의 수준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CNN은 분석했습니다.



특히 지난 겨울에는 JN.1 변이가 우세종이었지만, 최근에는 새로운 KP.3, KP.2 변이가 코로나19 감염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우리나라는 의료시스템이 붕괴 직전에 있고 대형병원이 더이상 코로나19 지정병원으로 협조할 수 없는 상황에 내몰리고 있어 자칫 코로나19 재유행이 될 경우 중증환자와 노인들의 집단감염으로 확산될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예전 같으면 충분히 의료시스템으로 대응이 가능했지만 지금같이 의료시스템이 붕괴직전인 상황에서는 중환자들 대응하기도 어려운 상황이 될 것 같습니다

 

이에 따라 조기에 코로나 변이에 감염된 환자들을 격리할 필요가 있어 진단키트의 수요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코로나19진단키트주

씨젠

휴마시스

랩지노믹스

진매트릭스

수젠텍

피씨엘

셀리드

팜젠사이언스

웰바이오텍

나노엔텍

디엔에이링크

지노믹트리

바디텍메드

프리시젼바이오

에스디바이오센서

미코바이오메드

오상자이엘

EDGC

엑세스바이오

마이크로디지탈

진시스템

젠큐릭스

[7.26.보도참고자료]+코로나19+최근+4주+연속+증가+추세.pdf
1.6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코로나 19 진단키트 매출이 급감하면서 코로나팬데믹 시즌에 인수한 해외 진단회사들이 고스란히 부담으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특히 2023년 에스디바이오센서가 의욕적으로 2조원대 자금을 들여 인수한 미국 진단업체 Meridian의 인수비용이 올 해부터 무형자산 상각비용으로 돌아오고 있어 실적악화와 함께 주가의 발목을 잡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1분기 실적 기준 680억원 매출액에 영업이익 14억원을 달성했지만 미국 메리디안이 매출액 822억원에 영업속실 79억원을 내고 있어 실적악화의 주범이 되고 있습니다

 

1분기 매출액 중 미국 메리디아인이 약 43%를 차지하고 있지만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실적둔화의 주범이 되고 있습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확실한 수익을 가져다 줄 아이템이 필요한 상태로 유바이오로직스의 다양한 백신제품의 유통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어 보입니다

 

유바이오로직스 인수와 경영에 약 2천억원대 자금이 투자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아직까지 유바이오로직스도 수익성을 살려내는데 한계를 나타내고 있어 그룹 전체적으로 과잉 투자에 대한 구조조정이 필요해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 큰 비용을 들여 인수한 미국 메리디안이 제 밥값을 못하고 있어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주가 발목을 당분간 계속 잡을 것으로 보입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주가가 지난 2년여 동안 흘러내리기만 했는데 지난 2022년 2월 4일 기록한 최고점 81,000원 대비해 지난 해인 2023년 10월 31일 기록한 최저점 9,570원을 보면 1만원선이 하나의 저가매수세가 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당분간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실적을 호전시킬 아이템이 나오지 않는 한 주가는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일 수 밖에 없는데 미국 메리디안 인수로 인한 무형자산상각비용이 두고두고 주가발목을 잡을 악재가 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에스디바이오센서 2024년 1분기 실적발표.pdf
2.02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1YMZ8sEkRoU?si=Wc8swIzOanPW6iPu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체외진단 전문기업 에스디바이오센서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엔데믹 전환에 매출 외형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데 면역화학진단, 분자진단, 현장진단(POCT), 자가혈당측정 사업을 재정비하며 코로나 엔데믹 체제로 전환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세계 최초로 현장진단 제품인 STANDARD Q 메르스 항원, 에볼라 항원 진단제품(2015년)을 개발했으며, IGRA(인터페론감마 분비검사) 방식의 잠복결핵 진단제품인 TB-Feron 제품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고 특히, 코로나19 분자진단 제품인 STANDARD M nCOV RT-PCR 제품을 출시하여 질병관리본부 긴급사용승인을 획득했으며, 세계 최초로 STANDARD Q(신속면역화학진단) 코로나19 항원 진단 제품의 WHO 긴급사용승인 획득. 국내 최초 STANDARD Q(신속면역화학진단) 코로나19 항원 진단 제품과 STANDARD Q(신속진단) 코로나19 항체 진단 제품 정식허가 획득하여 전 세계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라이트재단)과 국제보건적정성기술기구(PATH)와 손잡고 포도당 6-인산 탈수소효소(G6PD) 진단기기를 개발했는데 이를 통해 에스디바이오센서는 공익성과 수익성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의도로 전 세계 수요는 4억명에 달합니다

 

라이트펀드는 보건복지부와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빌게이츠재단) 등이 공동 출자해 조성한 재단법인으로 라이트재단은 세계 공중 보건의 형평성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중저소득국에 큰 부담을 주는 질병을 예방·치료하는 연구개발 과제를 선정해 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라이트재단은 이 과정에서 국제보건적정성기구 등 국제 기관과 국내 기업간 협업을 지원하고 있는데 제품개발 지원 사업은 국내 기업을 필수적으로 연구개발 지원 대상으로 선정해 국내 기업이 국제 무대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라이트재단은 G6PD진단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해당 연구에 경쟁력을 갖춘 에스디바이오센서와 PATH의 연구 과제 ‘삼일열 말라리아 치료제 대상 G6PD 결핍증 현장신속진단 개발’ 연구비를 지원했는데 해당 과제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서 에스디바이오센서는 G6PD진단기기 ‘STANDARD G6PD’를 완성했습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이를 게기로 코로나19진단키트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수익 다각화에 나선다는 계획으로 코로나엔데믹 전환이후 매출 외형의 급격한 위축은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주가발목을 잡는 요인으로 작용해 왔습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STANDARD G6PD 등 이른바 비(非) 코로나 제품 판매 증가를 통해 체질개선에 나서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에스디바이오센서 IPO IR.pdf
14.3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uxTwTECTnmc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대표적인 체외진단기기 업체 에스디바이오센서가 코로나19팬데믹 상황에서 막대한 수익이 발생한 돈으로 글로벌 체외진단기기 유통망을 완성하기 위한 공격적인 M&A를 실시해 북미과 중남미를 연결하는 체외진단 유통망을 완성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연초에 파나마 소재 체외진단 유통사 '미래로(MIRERO Corp)'를 878만 달러(한화 약 114억 원)에 인수키로 결정했는데 미래로는 2004년 파나마에 설립된 체외진단기기 유통·판매 기업으로 에스디바이오센서 제품을 중미·카리브해 국가에 납품하고 있고 중미지역에 확보한 유통망을 활용해 인근 국가 납품을 위한 물류 기지로도 활용될 계획입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2021년 11월 인수한 에코 디아그노스티카(브라질), 올해 초 인수 완료한 메리디안 바이오사이언스(미국)를 활용해 남미와 북미 지역에 각각 직판 체제를 확보했는데 이번에 중미까지 지역을 확장함에 따라 미주 전체로 시장을 확대하게 됐습니다.

 

앞서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이탈리아 리랩, 독일 베스트비온 등 현지 체외진단 유통사를 인수하며 글로벌 직판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공격적인 M&A는 에스디바이오센서에 재무적 리스크를 높여주고 있는데 메리디안 바이오사이언스(미국)를 인수하는데 재무적 투자자들의 도움을 받았는데 이를 상환하기 위해 대규모 유상증자에 나설 수 밖에 없는 처지가 되기도 했습니다

 

지난 달 26일 에스디바이오센서는 2000만주를 11,390원에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실시했는데 자금마련에 성공해 8월 11일 2000만주가 상장할 예정으로 최근의 주가급등으로 신주가 매물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실적도 둔화추세를 나타내고 적자를 기록하고 있어 주가는 공모가격 이하로 내려갈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hGblXKr6p8

안녕하세요

윤석열 정부가 작년 취임하면서 과학방역을 내세우며 코로나19방역완화를 공적으로 내세우고 있는데 최근 들어 코로나19확진자수가 급증하면서 위중증환자와 사망자수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는 코로나19의 치명율이 0.03%에 불과해 독감과 다를 바 없다고 코로나19방역 완전 해제를 밀어붙이려 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윤석열 정부의 무능으로 코로나19재확산 우려에 코로나19진단키트에 대한 묻지마 매수세에 나서고 있는 모습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런 현실을 외면하고 여름휴가를 갔는데 어제는 세계 잼버리 대회장에 나타나 부인인 김건희씨와 쌍으로 춤추고 놀았다고 하는데 한심하다는 생각 밖에 안 듭니다

 

2차전지주가 주춤하는 사이에 여기서 빠져나온 자금이 빠르게 순환매 양상을 보이며 그동안 덜오른 바이오와 제약주에 몰려가는 모습인데 약세장에는 바이오와 제액주라는 전통적인 증시격언에 따라 순환매가 나타나고 있는 모습입니다

 

작년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코로나19지정의료기관에 대한 지원을 꾸준히 줄이고 있어 이번 코로나19재확산에 병원을 내줄 의료기관이 별로없어 보여 위중증 환자의 경우 자칫 사망에 이르게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조기 진단을 위한 코로나19진단키트의 판매가 급증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실제가 불분명한 과학방역이라는 윤석열 정부의 무능이 오히려 코로나19진단키트에게 묻지마 매수세를 가져오고 있어 아리러니가 아닐 수 없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코로나19진단키트주

씨젠

휴마시스

랩지노믹스

진매트릭스

수젠텍

피씨엘

셀리드

팜젠사이언스

웰바이오텍

나노엔텍

디엔에이링크

지노믹트리

바디텍메드

프리시젼바이오

에스디바이오센서

미코바이오메드

오상자이엘

EDGC

엑세스바이오

마이크로디지탈

진시스템

젠큐릭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57XN-CQdZ0

안녕하세요

바이오컨텐츠·동물진단분야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는 바이오노트가 면역진단장비 Vcheck F의 글로벌 누적판매량 1만 5000대로 글로벌 POCT시장 1위를 달성하며 진단시장의 강자로 성장하고 있는데 이번에 바이오노트가 항체 치료제 시장 진출로 사업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노트는 항체 신약 개발 바이오기업 상트네어바이오사이언스에 지분 투자 방식으로 총 210억 원을 투자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또한 바이오 컨텐츠 성장전략으로 SD바이오센서가 인수한 메리디안과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인데 바이오노트의 핵심 경쟁력에 메리디안의 분자진단용 원료 경쟁력, 글로벌 브랜드 영업, FDA 승인 경험 등이 합쳐지면 영업, 제품, 생산에서 시너지 극대화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에스디비인베스트먼트와 함께 상트네어바이오사이언스에 초기 투자 시 집행했던 100억에 이은 후속 투자로 전체 투자 규모는 310억에 달하는데 지분율은 기존 9.09%에서 27%로 증가했습니다.

 

이번 투자를 통해 바이오노트는 상트네어와 지난해부터 이어온 협력 관계를 더욱 견고히 하고, 다양한 항체 신약 파이프라인을 공동 개발할 계획입니다.



상트네어는 메디톡스의 관계회사로, 2021년 설립됐는데 자체 확보한 혁신 항체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암, 면역 질환, 뇌신경 질환 등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고 특히, 선도 파이프라인 CTN001은 유방암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HER2 저발현 암종에서 강한 효능을 보이는 차세대 항체로 큰 시장 잠재력을 갖고 있습니다.



양사는 CTN001의 임상을 계획하고 있으며,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계약을 맺고 임상 시료 생산을 위한 공정 개발을 진행 중이다. 이외에도 신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면역항암제 등 다양한 차세대 항암제 파이프라인으로 개발을 확장할 예정입니다.



조병기 바이오노트 대표이사는 “당사의 독보적인 항원, 항체 원천 기술 및 연구개발 능력과, 상트네어의 독창적 항체 플랫폼 기술 및 연구개발 능력의 시너지를 극대화해 혁신적인 항체 신약을 개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지속 성장을 위해 기존 진단 영역 강화 및 사업다각화 전략 등을 적극적으로 실행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습니다.



양기혁 상트네어바이오사이언스 대표이사는 “최근 면역항암제, 항체약물접합체 및 T세포 인게이져 등 지속적인 혁신이 일어나고 있는 항체신약분야에서 상트네어는 독창적인 항체 플랫폼 기술 기반의 글로벌 바이오텍으로 성장해 관련 산업의 게임 체인저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바이오노트는 최대주주 지분율이 IPO 후 84.07%에 달해 상장초기 5,976,442주의 미확약 물량이 손바뀜되면서 품절주가 되어 버린 양상이라 상장주간증권사가 분석한 평가가치 34,284원을 감안하면 공모가 9,000원은 너무 할인한 가격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바이오노트 20221209_유진투자증권.pdf
4.02MB
바이오노트.pdf
9.79MB

https://youtu.be/B_SoS184klM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7YWVm-v4mAg

안녕하세요

바이오노트가 코스피시장 상장 첫날 주가급등세를 보이며 좋은 출발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노트는 2003년 설립된 약 20년의 업력을 가진 바이오 컨텐츠와 동물 진단 노하우를 축적해 국내를 대표하는 동물진단 기업입니다.

 

회사 고유의 유전자 재조합 항원, 항체 기술개발 능력 및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면역진단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세계최고 수준의 항원, 항체 등 원료 생산에서부터 완제품 생산까지의 모든 과정을 독자적 기술력으로 구현해내고 있습니다.

 

바이오노트에게 이번 코스피 상장은 바이오 컨텐츠·동물진단 글로벌 Top3 기업이 되기 위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상장 후 높아진 브랜드 인지도, M&A에 있어 보다 유리해진 포지셔닝, 우수한 인재 영입 등을 통해 글로벌 사업을 더욱 빠르게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바이오노트의 모회사는 에스디바이오센서로 튼튼한 우산이 있어 바이오노트의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노트는 지난 8일~9일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진행했으며 최종 경쟁률은 3.29대1을 기록해 IPO 흥행 성적은 저조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공모가를 낮춰 기업공개(IPO)를 완주하기로 해 화제가 되었습니다

 

바이오노트는 공모가를 당초 설정한 공모가 희망범위(1만8000원∼2만2000원) 하단의 절반 수준인 9000원으로 확정해 상장 후 주가 급등 기대감이 컸는데 상장 첫날 10%대 급등세를 나타내면서 싯가총액 1조 1천억원대를 기록해 시장의 기대감을 충족시켜 주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바이오노트 IPO IR.pdf
9.79MB
의료기기_업체탐방-바이오노트.pdf
1.26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bRnAQ0LTKZ8

안녕하세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2주 뒤인 이달 28일에는 일일 최대 500명까지 늘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습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1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유행 예측 보고서’를 공개했는데수리연은 대한수학회와 함께 태스크포스(TF)팀을 꾸려 유행 현황, 방역정책, 백신접종률 등을 고려해 수리모델로 코로나 확산 규모를 예측해오고 있습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15일 0시 기준 누적 확진자가 7만154명 증가한 2799만5726명으로 집계됐는데 목요일(수요일 발생) 기준으로 지난 9월 15일(7만1443명) 이후 91일 만에 가장 많은 확진자를 기록했고 또 병원에서 치료 중인 위중증 환자는 465명, 사망자는 58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정은옥 건국대 수학과 교수팀은 최근 일주일간 평균 453명 위중증 환자가 입원하고 있는데, 2주 뒤에는 이보다 10% 가량 더 늘어난다는 분석 결과를 내놨는데 정 교수팀은 연령을 5단계로 세부적으로 나누고, 백신 접종 여부, 의료종사자를 분리해 확진자를 예측했고 그 결과 재원 위중증 환자는 2주 뒤인 이달 28일 일일 평균 500명, 4주 뒤에는 514명에 이른다고 내다봤습니다.

 

동시에 확진자 규모도 늘 것이라고 예측했는데 2주 후에는 평균 7만1232명, 4주 후에는 6만9845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최근 4주 동안 중증 병상 사용률이 30%를 꾸준히 넘는 상황에서 위중증 환자 관리가 더 중요해질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이창형 UNIST(울산과학기술원) 수리과학과 교수는 현재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에 따라 최근 1주간 전국의 감염재생산지수를 1.0873으로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2주 뒤 신규 위중증 환자 수를 예측했는데현재 정책을 그대로 유지했을 때 지난 14일 기준 95명인 신규 위중증 환자는 2주 뒤인 이달 28일 104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고 감염재생산지수가 1.2까지 올라간다면 116명대까지 늘 전망이고 신규 위중증 환자가 20%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윤석열 정부에서 "과학방역"을 주장하고 있지만 입으로만 떠들 뿐 병상 확보도 제대로 못해 코로나19확진자와 일반병실에 입원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상황이 이런데도 실내마스크 의무를 해제하려고 준비하고 있는데 설 연휴 전에 실내 마스크 의무를 해제해 "과학방역"의 성과를 자랑하려는 의도가 엿보이고 있습니다

 

아울러 시장참여자들은 코로나19진단키트주들을 다시 주목하고 있는데 신규확진자 급증에 따라 진단키트의 수요가 다시 급증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주가에 반영시키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코로나19진단키트주

씨젠

휴마시스

랩지노믹스

진매트릭스

수젠텍

피씨엘

셀리드

팜젠사이언스

웰바이오텍

나노엔텍

디엔에이링크

지노믹트리

바디텍메드

프리시젼바이오

에스디바이오센서

미코바이오메드

오상자이엘

EDGC

엑세스바이오

마이크로디지탈

진시스템

젠큐릭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obxjBwYrYas

안녕하세요

유바이오로직스는 22일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유코백-19 멀티주’의 수출용 품목허가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회사측에 따르면 임상개발 단계에 따른 수출용 품목허가 검토 및 승인은 통상 4~6개월 정도 소요돼 이르면 연내 승인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수출용 품목허가 신청은 필리핀 제약사의 수입요청 사양서를 바탕으로 진행하게 되었으며, 유코백-19 백신의 원액은 회사의 춘천 제1공장 동물세포라인(1000L x 2기)에서 제조하고 바이알 완제품은 무균 충전공정 밸리데이션을 실시한 국내 백신회사(비공개) 화순공장에서 바이알 당 10도즈의 멀티제형으로 생산하게 됩니다.

 

유바이오로직스는 현재 콩코민주공화국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현지 임상 3상을 진행 중에 있고, 필리핀에서도 3상 비교임상 접종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수출용 품목허가 신청은 아직 기초접종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저개발국가에서 제품등록을 앞당기는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임상 3상을 가속화하는 역할이 크다”며 “회사는 이번 백신의 상업화를 바탕으로 동일 플랫폼을 이용한 신변종바이러스 대응백신 및 범용백신 개발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지난 5월 국내 비교임상이 어렵다는 이유로 해외임상으로 코로나19치료제 개발을 변경했는데 정부 지원이 SK바이오사이언스에 집중되어 국산 2호 백신이 될 가능성이 있는 유바이오로직스 유코백에 대한 비교임상 지원이 윤석열 정부에서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콜레라백신에 대한 개발과 글로벌 유통을 해 본 경험이 있어 수출허가가 날 경우 빠르게 제3세계 빈민국가들 시장을 차지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윤석열 정부의 재벌대기업 밀어주기에 희생양이 된 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pJEHnSaPYic

안녕하세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째 2만 명대를 기록하며 재확산 공포가 커지자 진단키트 관련주가 연일 급등하고 있습니다.



11일 오후 12시 9분 엑세스바이오는 전 거래일 대비 1,300원(7.85%) 오른 1만 8,500원에 거래되고 있고 같은 시간 피씨엘(+11.47%), 에스디바이오센서(+10.48%), 진매트릭스(+7.28%), 마이크로디지탈(+9.78%), 휴마시스(+3.55%), 씨젠(+5.70%) 등 다른 진단키트주들도 나란히 강세입니다.



지난 9일과 10일 0시 집계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 수는 각각 2만 286명과 2만 410명으로 전주 대비 2배 늘어난 `더블링` 현상이 관측되고 있고 윤석열 정부도 지난 8일 코로나19 재유행을 공식화하고, 오는 13일 새로운 방역 대책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윤석열 정부의 과학방역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전 문재인 정부의 K방역을 비난해 왔기 때문에 사회적 거리두기를 이전처럼 할 수 없어 이번 여름 코로나19일일신규확진자수가 20만명을 넘어갈 것이라는 예상이 나옥 있어 국내 코로나19진단키트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기다 해외에서도 코로나19변이바이러스의 유행으로 재유행하고 있어 코로나19진단키트의 수출 증가 기대감이 매수세를 유입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진단키트의 수요가 코로나19백신의 보급으로 확진자수가 줄어들어 함께 줄고 있어 실적우려가 있었지만 코로나19재유행으로 진단키트의 수요도 함께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코로나19진단키트주

씨젠

휴마시스

랩지노믹스

진매트릭스

수젠텍

피씨엘

셀리드

팜젠사이언스

웰바이오텍

나노엔텍

디엔에이링크

지노믹트리

바디텍메드

프리시젼바이오

에스디바이오센서

미코바이오메드

오상자이엘

EDGC

엑세스바이오

마이크로디지탈

진시스템

젠큐릭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WfQXi_ijKTw

안녕하세요

글로벌 체외진단 전문기업 에스디바이오센서가 미국 체외진단 기업 Meridian Bioscience社를 약 2조 원에 인수합병(M&A)한다고 8일 공시했습니다.




이는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인수 규모 중 가장 큰 금액으로 이로써 에스디바이오센서는 SJL 파트너스社와 함께 Meridian Bioscience社의 지분 100%를 확보하게 됩니다.



미국은 전 세계 체외진단의료기기 시장의 40%를 차지하는 큰 시장으로, 이번 인수합병은 에스디바이오센서의 북미 시장 진출을 가속화함은 물론 글로벌 체외진단 톱티어 기업으로 거듭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가 인수하는 미국 기업 Meridian Bioscience社는 1976년에 설립된 체외진단 기업으로 주 사업군은 크게 두 사업부로 나뉘는데 진단(DX)사업부에서는 면역진단, 분자진단, 호흡진단, 혈액진단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고 생명과학(LS)사업부에서는 제약·바이오 제품 및 진단 시약의 원료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특히 진단 사업부는 H.pylori(헬리코박터균)나 C.difficile(대장 염증균)등의 소화기 감염 진단플랫폼에 강점을 가지고 있어 해당 분야에서는 북미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할 만큼 이미 유명한 기업으 로 알려져 있습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회사의 강점인 토탈 진단플랫폼에 Meridian Bioscience社의 소화기 감염 진단플랫폼을 접목해 더욱 견고한 체외진단 플랫폼을 갖춰 나갈 예정입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그동안 아시아, 유럽, 남미, 아프리카의 강한 유통망을 활용해 시장을 장악해왔는데 Meridian Bioscience社는 북미 시장에 주력하며 북미 유통망을 강화해왔습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Meridian Bioscience社의 북미 유통망을 활용해 전 세계 주요국에 진출하는 시너지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고 또한, 생산기지 시너지 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생산기지는 한국,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 Meridian Bioscience社의 생산기지는 미국, 독일, 영국, 캐나다로 에스디바이오센서는 Meridian Bioscience社가 확보하고 있는 해외 생산기지를 추가적으로 활용해 현지 생산을 할 것이며, 이를 통해 해외 생산기지 구축에 대한 투자비 절감 효과는 물론 현금 유동성 확보 및 원가절감을 통한 이익률 개선 효과까지 누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Meridian Bioscience社의 또 다른 강점은 바로 ‘우수한 인허가 능력’인데 56년간의 인허가 노하우로 최근 5년 사이 8개의 제품을 FDA에 등록시켰고 이는 FDA 등록 경험이 풍부한 인허가(RA) 전문 인력이 포진되어 있기 때문이며, 에스디바이오센서 제품의 미국 FDA 승인 가속화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인수합병은 에스디바이오센서 60%, SJL 파트너스社 40%로 인수할 예정인데 양사가 공동으로 미국 법인에 출자를 하고, 해당 미국법인 자회사가 Meridian Bioscience社와 합병하는 방식으로 최종 인수가 완료될 예정입니다.



또한 인수합병에는 글로벌 인적자원관리 경험이 많은 SJL 파트너스社가 파트너사로 함께 하는데 SJL 파트너스社는 JP 모건 출신의 미국 시장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으며 에스디바이오센서가 Meridian Bioscience社 인수를 통해 미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는데 조력자 역할을 할 계획입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 조영식 의장은 “이번 Meridian Bioscience社 인수합병은 최근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인수 규모 중 가장 큰 규모”라며 “인수 규모가 큰 만큼 인수 이후의 운영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SJL 파트너스社의 주요 인사는 JP 모건 등 글로벌 IB 출신으로 이루어져 있어 여러 글로벌 기업들의 M&A 후 운영 방안에 대해 전문적인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고 이어 “당사는 SJL 파트너스社와 함께 Meridian Bioscience社 주요 경영진들과 협력하여 최고의 시너지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가 가진 R&D 능력과 대량생산 노하우, Meridian Bioscience社의 북미 영업망과 FDA 인허가 능력, SJL 파트너스社의 인적관리 노하우를 통해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현장진단시장에서 Top 3가 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의 Meridian Bioscience社 인수는 선진국 시장에 보다 영업력을 강화한 것으로 시장확대와 수익성 개선에 기대감을 갖게하고 있습니다

 

지난 1분기 실적기준 9만원대 주가가 적정주가로 평가되고 있어 시장리스크로 하락한 주가가 실적을 반영하는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2분기 실적이 1분기 흐름을 이어갈 경우 실적을 주가에 반영하는 흐름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아울러 코로나19변이바이러스 재유행으로 실적개선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이를 주가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에스디바이오센서 2022Q1 실적발표.pdf
3.76MB
에스디바이오센서 20220517_ 미래에셋증권.pdf
0.15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