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2차전지제조장비'에 해당되는 글 25건

  1. 2024.08.20 엠플러스 2차전지 캐즘현상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으로 위기 돌파 2
  2. 2024.06.10 엠플러스 1분기 실적발표 어닝서프라이즈 실적호전 지속 기대감
  3. 2024.05.29 피엔티 2차전지 제조용 전극공정장비 수주 급증 추세 2
  4. 2024.03.06 씨아이에스 전고체배터리 조기 상용화 수혜 기대감 2
  5. 2024.02.23 세경하이테크 2024년 폴더블폰 대중화 실적개선 지속 신규사업 성장 기대감
  6. 2024.02.22 원익피앤이 전기차충전기와 배터리재활용 신규사업 본격화 기대감 2
  7. 2023.07.13 엠플러스 2차전지 조립공정장비업체 주거래처 SK온 미국공장 발주 수혜 기대감
  8. 2023.07.10 피엔티 롤투롤 공정기술 2차전지 시장 성장 기대감
  9. 2023.06.28 엠플러스 2차전지 제조장비 수주 증가 2분기 실적 기대감
  10. 2023.06.18 씨아이에스 자회사 싸아이솔리드 포스코로부터 지분투자 유치 2
  11. 2023.05.25 디에이테크놀로지 LG전자와 114억5000만원 규모 2차전지 조립공정 제조 설비 공급 계약 체결
  12. 2023.05.12 탑엔지니어링 1분기 실적발표 흑자전환 2차전지 장비 수주 증가 기대감
  13. 2023.04.24 디에이테크놀로지 LG에너지솔루션 북미공장 이차전지 제조장비 수주
  14. 2023.04.18 티에스아이 경영권 교체 후 대규모 수주 공시 실적호전 기대감
  15. 2023.02.20 디에이테크놀로지 2차전지 제조장비 수주 증가추세 실적호전 기대감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엠플러스가 전기차 시장의 캐즘 위기를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통해 돌파구를 찾으려 하고 있습니다

 

엠플러스의 주요 고객인 SK온이 대규모적자를 기록하면서 북미지역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을 이연시키고 있는데 합자사인 포드와 GM등의 투자이연도 주요한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전기차 시장 전반에 캐즘현상이 나타나면서 전기차 판매율이 떨어지고 있고 재고가 쌓이면서 테슬라는 공격적인 가격인하에 나서고 있는 상황입니다

 

엠플러스는 지난해 아워넥스트에너지와 약 710억원 규모의 이차전지 조립공정 장비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는데 해당 장비는 올해부터 미국 현지에서 에너지저장장치용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엠플러스는 미국의 아워넥스트에너지 외에도 에너지저장장치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는데 국내 1곳 중동에 또 1곳의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에너지저장장치는 기상 상황에 따라 전력생산이 불안정한 재생에너지 전력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뤄지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고 있고 특히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증설이 늘어나면서 전력난에 대비한 필수 보조 장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여기다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준비하는 삼성SDI가 샘플 고객수를 5곳으로 늘리면서 엠플러스의 전고체배터리 양산장비 공급처도 늘어날 수 있습니다

 

엠플러스는 올해 초 전고체로 유명한 배터리제조사로부터 수주해 전고체배터리생산장비를 제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올해 말 납품하는 일정으로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엠플러스는 2분기 실적 부진에 주가도 상당기간 하락한 상태로 2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1만원으로 낮아진 상태지만 3분기이후 Envision AESC 공급계약이 끝나 4분기에는 잔금이 들어올 수도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엠플러스_이차전지 조립공정 장비 공급 전문기업_나이스디앤비_수정본 20240314.pdf
1.96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nIvkdampObU?si=FLKZflxtiwYsJ595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엠플러스는 국내에서 파우치형 배터리 조립 장비를 최초로 턴키(Turn-Key) 개발한 기업으로 현재 중국 2차전지업체 '엔비전 AESC'그룹과 미국 배터리 기업 '아워넥스트에너지(ONE)' 등에 대한 신규 수주를 연이어가는 등 주요한 글로벌 기업들을 해외 고객사로 두고 있습니다

 

엠플러스는 파우치형 뿐 아니라 각형 배터리 조립장비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고 궁극적으로 원통형 배터리 조립장비까지 시장을 넓혀 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2차전지 제조장비는 고객사들의 니즈에 맞는 고객지향적 대응 능력이 중요한데 엠플러스는 경험 많은 연구인력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 고객사의 니즈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엠플러스는 지난 1분기 매출액 215억원 영업이익 28억원 당기순이익 26억원을 당성하여 지난 해 동기 대비 100% 이상의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어 전기차 시장의 성장둔화인 캐즘현상에서 벗어난 성장세를 보야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 해 하반기 이후 주가는 좀처럼 기를 펴지 못하고 바닥을 기고 있는데 이는 주요 거래처인 SK온이 투자를 이연하면서 주된 수익이 이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올 해 들어와 SK온이 이연된 투자를 다시 재개할 것으로 보여 엠플러스는 본격적인 성장세에 다시 진입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엠플러스의 지난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12,000원으로 최근 주가 급등으로 실적을 주가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엠플러스(259630)_이차전지 조립공정 장비 공급 전문기업_나이스디앤비_수정본.pdf
1.96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dE6xN_WIz3g?si=MTlmDGwXxOzKhLor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2003년 설립된 피엔티는 국내 1위 전극공정 장비업체로 국내 최초로 전극 공정에 필요한 롤투롤(R2R) 컨버팅 기술의 국산화에 성공했는데 롤투롤은 회전하는 롤(roll)에 소재를 감아 물질을 도포하는 기술입니다.

 

피엔티는 국내 최초 타이틀과 함께 기술력을 인정받으며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2차전지 3사를 비롯해 중국 유럽 배터리 제조사를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습니다. 

 

국내 구리 생산업체 중에선 LS엠트론에 독점적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SK넥실리스와 롯데알미늄 등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피엔티의 매출은 2차전지 사업과 소재 사업으로 나뉘는데 피엔티 2차전지 사업부는 2차전지 핵심 소재인 음극, 양극, 분리막을 생산하는 코팅 M/C, 프레스 M/C, 슬리터 M/C, 노칭기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소재 사업부는 전지박(동박), 광학필름, 광학용투명접착제(OCA) 필름 등 각종 디스플레이 소재용 특수 필름 및 전자·전기 소재를 생산하는 장비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피엔티의 주요 고객사인 SK온의 투자가 재개되면서 피엔티의 실적이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피엔티의 1분기말 기준 2차전지 사업부 수주잔고는 16,158억원이며 소재사업부 수주잔고는 3,934억원에 달해 실적호전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피엔티의 1분기 실적은 매출 2,022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약 100% 성장하였고 영업이익은 380억원으로 이 또한 전년 동기 대비 약 100% 이상 급증하고 당기순이익도 3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00% 성장하였습니다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지만 2차전지 시장은 투자를 지속하고 있어 피엔티의 실적호전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1분기 실적기준 피엔티의 적정주가는 89,000원으로 실적의 주가반영이 이뤄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피엔티 20240513_미래에셋.pdf
1.70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URQmjiaKHns?si=Djp_tz2cBExK5eR3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씨아이에스는 배터리 내 양극·음극을 만드는 전극 공정에 필요한 각종 장비를 제조하는 중견 기업으로 과거 일본이 선점하던 캘린더링(프레스) 장비를 2008년 최초로 국산화했는데 이 장비는 고온, 고압 환경에서도 1.5마이크로미터(㎛) 오차 범위 내로 전극 두께를 더 얇고 균일하게 압축할 수 있어 2차전지 전극공정에 중요한 장비입니다.

 

씨아이에스는 세계 최초로 레이저 기술을 접목한 하이브리드 코터 장비 개발에 성공하면서 글로벌 배터리 고객사들의 신뢰도가 높아진 상황입니다

 

씨아이에스는 전고체 소재·장비 분야에도 진출하고 있는데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의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한 배터리로 화재 위험성은 낮추고 에너지 밀도는 높인 것이 특징으로 씨아이에스는 전고체 배터리 소재·장비 개발 국책과제 총괄기관에 선정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선도기업입니다

 

씨아이에스는 자회사 씨아이솔리드를 흡수합병하면서 LFP배터리 제조장비도 내재화할 수 있어 전고체배터리 제조장비 개발에 가속도를 붙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씨아이에스와 씨아이솔리드 양쪽에서 나뉘어 경쟁하며 개발하던 전고체 전해질 생산 파일럿 라인을 합칠 수 있어 보다 가속화한 개발과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씨아이에스는 고객사들의 전고체 배터리 조기 상용화에 맞춰 장비 개발도 가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씨아이에스의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은 3102억 원으로 전년 대비 9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89억 원으로 같은 기간 399%나 뛰었는데 영업이익률이 약 13%로 장비 회사 중에선 국내 최고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씨아이에스는 모회사인 에스에프에이SFA와의 시너지를 내며 2차전지 제조공정에 대한 턴키 수주가 가능한 몇 안되는 기업이 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SFA및 씨아이에스 종속회사 2023년연간실적발표_Final.pdf
3.55MB
씨아이에스 20231228_미래에셋증권.pdf
0.4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fArbAeETy0?si=PIZaA4JJ8hfDpLfE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세경하이테크는 2006년 1월 기능성 필름을 제조, 판매하는 필름 전문업체로 설립됐고 2019년 PCPMMA, 2020년 폴더블 특수보호필름으로 사업분야를 확대하고 있는데 국내외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오포, 샤오미 등이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주도하고 있는 폴더블폰 대중화에 수혜를 입으며 폴더블폰 디스플레이보호필름의 실적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어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대중화 노력에 뒤늦게 애플도 폴더블폰 시장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애플은 태블릿PC부터 폴더블 기술을 적용할 것으로 알려져 폴더블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여 세경하이테크의 시장이 커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세경하이테크는 폴더블폰용 특수보호필름 뿐 아니라 케이스까지 판매하면서 실적호전 기대감이 컸는데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대비 16.8%, 352.4% 증가한 3045억원, 362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해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이런 양호한 실적에도 전성욱 사장은 지난 16일과 19일 두 차례에 걸쳐 보유중인 주식 7만5510주(0.15%)를 장내 매도했는데 5억 9986만원을 현금화하면서 주주들의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솔직히 저정도 차익실현은 꼭 주총을 앞두고 현금화 했어야 하는가 하는 생각도 드는데 최고경영자가 차익실현 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진 것 같습니다. 

 

전성욱 사장이 경영을 잘 하긴 했지만 생각은 짧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올해는 광학필름, 데코필름 등 본업이 빠른 회복세와 더불어 태블릿 OCA, 2차전지 소재 등 신규 사업의 본격화에 따른 외형 확대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세경하이테크 최대주주 교체 이후 무상증자 200%를 실시하여 주당가치 희석이 발생한 상황이지만 실적호전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 있고 지난 해 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14,000원대로 평가되고 있어 지금 주가는 저평가 구간에 있다고 판단됩니다

 

삼성전자가 신규 스마트폰의 실패가 없는 한 주력인 광학필름과 데코필름의 성장으로 실적개선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고 신규사업도 본궤도에 오르면 실적 개산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외국인투자자들도 꾸준히 세경하이테크의 지분을 늘려가고 있어 실적 개선에 대해 외국인투자자들도 신뢰를 보내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fQhoRNn-NUY?si=aKIG0b6WXsEMFhu6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원익피앤이의 주력사업은 2차전지 제조공정사업으로 지난 해 매출액도 반토막이 날 정도로 고전을 면치 못했고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도 대규모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4분기 실적이 아직 공개되지 않고 있어 실적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올 해는 전기차충전기 사업과 배터리재활용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매출외형을 키울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원익피앤이는 '국내 배터리 3사 대상 싸이클러 장비는 독과점 공급 중(M/S 70% 이상)에 있고 해외고객으로 수익선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내 배터리팩 업체들을 위해 배터리  팩/모듈 충방전 검사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데 배터리재활용을 위해 진행하고 있는 사업입니다

 

지난 해 연말 500만주 주주배정 유상증자로 신규 투자자금을 마련한 상태라 올 해 실적에 대해서 기대감을 갖게하고 있습니다

 

특히 원익피앤이의 주력사업인 2차전지 제조공정장비는 각형 배터리와 파우치형 배터리, 원통형 배터리까지 모든 형태의 이차전지에 대응할 수 있어 거래처 다변화 및 공격적인 영업에 따른 수요 증가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원익피앤이는 지난 해 연기된 삼성SDI와 SK온의 미국 전기차배터리공장 투자재개에 수혜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원익피앤이의 실적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원익피앤이 2023년 6월 IR.pdf
1.32MB
원익피앤이 20230404_기업IR협의회.pdf
2.5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LwPB9P_o8qQ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엠플러스는 이차전지 제조장비 중에서 파우치형 및 각형 타입의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 조립공정 장비 제조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크게 ① Mixing, Coating, Pressing, Slitting 장비 등을 이용하여 음/양극 전극을 제조하는 극판공정과 ② 극판공정에서 공급된 롤 형태의 전극 극판을 Notching,Stacking, Tab Welding, Packaging, Degassing 장비 등을 이용하여 요구되는 사양에 맞게 형상 및 용량을 제조하는 조립공정, ③ 조립공정에서 넘어온 전지셀에 특정 전압 및 전류를 패턴에 맞게 충방전할 수 있는 장비를 이용하여 충방전을 가함으로써 활성화 시키는 활성화공정 등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엠플러스는 조립공정의 각형 타입과 파우치형 타입에 대한 공정장비를 모두 완비하고 있어 2차전지 업체의 주요 협력업체로 국내외 스마트팩토리 공정장비 협력사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엠플러스는 이차전지 조립공정 전체를 Turn-key로 제작 가능한 세계 유일의 업체로서 국내외 활발한 영업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로 국내 2차전지 업체들의 미국 2차전지 공장 건설에 협력사로 참여하고 있어 공장 완료후 양산공정 구축을 위해 협력하고 있습니다

 

국내 3사 2차전지업체 중 후발업체인 SK온이 해외공장(헝가리, 중국, 미국) 건설에 본격 나서면서 엠플러스도 적극대응 하며 외형확장을 지속해 나가고 있습니다

 

엠플러스는 기존 파우치형 배터리 양산공정에서 각형 배터리 양산공정도 개발하여 고객사의 요구에 적극대응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원통형 배터리 양산공정도 개발에 나서고 있어 모든 배터리 유형에 대한 양산공정을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하려 하고 있습니다

 

리튬이온 2차전지의 Application은 크게 IT용, 전기자동차용, ESS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엠플러스는 그중에서도 대면적, 대용량의 배터리가 사용되는 전기자동차용 및 ESS용 파우치형 이차전지 생산 장비에 집중하고 있고 최근에는 각형 공정도 기술개발을 와료하고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엠플러스는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고객사들의 파우치형과 각형배터리 양산공장 증설에 적극대응하고 있고 국내외 공장 건설에 협력업체로 참여하고 있어 장기프로젝트를 수주하여 실적 외형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엠플러스의 지난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16,000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실적을 주가에 반영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고 2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엠플러스_20230629_대신증권.pdf
0.54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1n7ZOmNMRRA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피엔티는 2차전지 제조장비업체로 롤투롤(Roll-to-Roll) 공정기술을 바탕으로 2차전지 시장성장의 수혜를 누리고 있는 업체입니다

 

2차전지사업부는 전기자동차, ESS, 각종 모바일 기기 등 2차전지 핵심 소재인 음극, 양극, 분리막을 생산하는 Coating M/C, Press  M/C, Slitter M/C, 노칭기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소재사업부는 전지박(동박), 광학필름, OCA 필름 등 각종 디스플레이 소재용 특수 필름 및 전자/전기 소재를 생산하는 장비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롤투롤 장비는 일본 및 유럽 장비업체들이 시장을 주도하는분야로 다양한 사업군에서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피엔티는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는 박막화에 특화된 2차전지용 소재, 전지박 등을 생산하는 장비를 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2차전지 사업부는 EV 상용화, Mobile 기기 다양화 및 출하량 증가, 2차전지 종류의 다변화에 따른 신규 수요 증가로 2023년 1분기 매출액은 1,012억원 달성하였으며, 수주잔고는 보고기간 말 기준 13,604억원으로 전기 대비 2,349억원 증가하였습니다.

 

소재 사업부는 2차전지 성장에 따른 전지박 수요 급증, 전자기기 소형화 및 FPCB 범용화로 Roll-to-Roll 공정의 전자 소재 적용 범위 확대, 독자적 기술력 확보 노력으로 인해 2023년 1분기 매출액 21억원을 달성하였으며, 수주잔고는 보고기간 말 기준 4,786억원으로 전기 대비 982억원 증가하였습니다.

 

피엔티의 주요 경쟁사들은 국내에서 씨아이에스가 있고 해외에는 일본 히라노와 도레이 등이 있습니다

 

피엔티의 1분기 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82,000원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피엔티의 주요매출처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의 해외 2차전지 공장들이 완공되면서 장비 반입이 시작되면서 실적호전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전용공장이 2024년 상반기 완공 목표로 건설되고 있고 여기에 맞춰 2차전지 공장들도 건설 속도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2차전지 제조장비 20221018 유안타증권.pdf
2.97MB
피엔티 20220729 미래에셋증권.pdf
0.50MB
피엔티 20230515 신한투자증권.pdf
1.58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ijyFNeWYHJY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 조립공정 장비 제조업체 엠플러스의 수주 증가로 지난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이후 2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으로 저가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습니다

 

엠플러스는 우리나라 전기차배터리 업체들의 주력 제품인 파우치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조립공정 장비를 주력으로 제조하고 있어 시장트랜드가 원통형배터리로 이전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엠플러스 조립 장비는 공정순서대로 노칭기, 스태킹기, 탭웰딩기, 패키징기, 디개싱기 등으로 구분되는데 대면적, 대용량의 배터리가 사용되는 전기자동차용 및 ESS용 이차전지 생산 장비에 집중하고 있고 기존 파우치형의 레퍼런스와 기술력을 기초로 각형 배터리에 대한 제조공정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엠플러스의 주요고객이 SK온이라 북미 공장의 건설 직척도에 따라 공정제조장비의 납품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6월 초에 엠플러스는 글로벌 기업 엔비젼 AESC(Envision AESC)와 2차 전지 조립공정라인 장비 수주계약을 체결했는데 계약기간은 2024년 8월 30일까지로 엠플러스는 이번 계약을 시작으로 고객사인 AESC의 투자 계획에 따라 수주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AESC는 글로벌 배터리 및 배터리 팩 생산 기업으로 일본, 영국, 중국, 미국 등 세계 13개국에 배터리 생산 시설과 R&D 센터를 운영 중인데 2007년 닛산 자동차(51%)와 NEC(49%)의 합작 투자로 설립된 AESC를 2018년 중국 에너지 회사인 Envision이 지분 인수하여 중국의 자본과 일본의 기술력이 합쳐진 에너지 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닛산, 미쓰비시, 르노, 메르세데스 벤츠, BMW 등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21년 말 기준 20GWh의 생산능력을 2026년에 400 GWh까지 확대하기 위해 공격적인 증설을 진행 중이라 엠플러스의 수주가 증가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엠플러스 20220420 KB증권.pdf
0.58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vmXHwpqSxws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증시에서 2차전지에 대한 2차랠리가 펼쳐지면서 그동안 먼저 조정을 받고 덜오른 종목을 찾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2차전지 전극공정 장비업체 '씨아이에스(CIS)'는 '에스에프에이(SFA)'에 인수되면서 사업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고 자회사인 씨아이솔리드가 하고 있는 고체전해질 양산 사업이 주목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가 올해 리튬·니켈 등 2차전지 핵심 원료·소재 사업에 투자를 늘리면서 관련 수혜주로 씨아이솔리드가 거론되고 있는데 실제로 싸아이솔리드가 포스코로부터 지분투자를 받은 사실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지난 22년 4월 씨아이에스의 자회사인 씨아이솔리드는 투자유치 계약 체결을 공시했는데 해당 투자는 포스코기술투자를 통해 이뤄졌으며 당시 기준 포스코기술투자는 약 12%의 지분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IS는 2차전지 소재 분야로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는데 삼성SDI가 전고체배터리 파일럿 양산 라인을 깔고 조기 양산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어 여기에 참여해 양산협력사로 수혜를 받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IS는 코터, 롤프레스, 슬리터 등 전극 공정 핵심 장비를 생산하고 압력·온도 제어 기술, 고속 압연 기술 등 다양한 핵심 기술과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해마다 수주잔고가 증가해 2020년 2422억원, 2021년 3257억원, 2022년 5천800억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미국에 짓고 있는 전기차배터리공장들에 CSI의 공정장비가 대부분 들어가기 때문에 향후 2년동안 실적이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여기다 모회사가 된 에스에프에이(SFA)와 구매와 마케팅을 공유하고 있어 비용절감과 수익극대화에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JhMQeD8pGWg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코스닥 상장사 디에이테크놀로지는 25일 LG전자와 114억5000만원 규모의 2차전지 조립공정 제조 설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최종 고객사는 LG에너지솔루션으로 알려졌습니다.

 

스태킹(Stacking) 및 주변 장비를 공급해 LG에너지솔루션 중국 배터리 조립 공정에 투입될 예정으로 지난해 말 500억원 규모 수주에 이어 올해도 LG전자와 공급 계약을 체결하면서 기술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습니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최근 두 달간 2차전지 장비 공급 계약 4건을 연이어 체결했는데 누적 수주 금액은 530억원 규모로 지난해 매출액(532억원)과 맞먹는 수준인데 통상 하반기에 수주가 집중되는 것을 고려하면 올해 수주금액은 전년도(약 1000억원)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수주 확대에 주력할 계획인데 글로벌 완성차 기업과 배터리 제조사들이 전기차 시장 성장 및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 등의 이유로 생산능력 확대에 나섰기 때문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현대차그룹과 미국 배터리 합작 공장 설립도 추진 중인데 양사는 6조원을 투자해 오는 2025년 말 가동을 목표한 이 공장을 통해 23만대 분량의 배터리 셀을 생산할 계획입니다.

 

디에이테크놀로지 관계자는 "모든 배터리 폼팩터에 적용할 수 있는 후공정 장비 밸류체인을 구축한 가운데 시장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했다"며 "국내외 완성차 업체 및 배터리 제조사들의 공격적인 투자 및 증설 계획이 이어지고 있어 수요도 증가할 전망"이라고 말했습니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노칭(Notching) 장비와 스태킹(Stacking) 장비, 원통형 CSW조립장비, 세정장비 등 배터리 후공정 전라인에 특화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고 특히 기존 프레스 펀칭의 한계를 극복한 초정밀 레이저 노칭 기술과 양극과 음극 등 이차전지 소재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쌓는 Z-스태킹 분야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어 2차전지제조장비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디에이테크놀로지의 고객사는 LG엔손이 가장 큰 고객사이고 이외에도 GM 전기차부문과 리비안도 고객사로 두고 있고 ENERTECH와 ENOVIX같은 유럽기업들과 올 해 2분기 납품을 예정하고 있어 고객층을 늘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내년 일감까지 확보한 상황으로 LG엔솔의 미국 공장이 완공되면서 추가로 2차전지 제조장비가 납품되기 때문에 실적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디에이테크놀로지IR 2019.pdf
2.09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BHnVk4EwG8s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탑엔지니어링은 1993년 설립해 반도체 장비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이외 LCD 및 LED 장비를 주력사업으로 하는 회사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LCD DISPENSER는 2008년 세계 1등의 시장점유율을 확보, 2009년에는 DISPENSER가, 2015년에는 GCS(Glass Cutting system)가 세계일류상품에 선정된 바 있고 또한 ARRAY TESTER 및 PROBE STATION & TESTER 등 DISPLAY PANEL 핵심 장비와 카메라 모듈 공정 장비 및 반도체/디스플레이 테스트 장비, Roll to Roll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LC DISPENSER는 기판 위에 액정층 형성을 위해 미세량의 액정을 정량으로 토출하는 ODF (One Drop Filing)공정의 핵심 장비로 GCS(Glass cutting system)은 합착된 LCD Glass 원판을 기판상에 표시된 Mark를 따라서 Wheel을 사용하여 Panel 단위로 정밀하게 분단해 주는 장치입니다.



탑엔지니어링이 2차전지 제조장비시장에 새로 진출하고 카메라모듈 업체인 파워로직스를 인수하면서 사업다각화에도 성공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파워로직스 실적이 호조를 보인 것은 국내외 스마트폰 업체들이 트리플(3개)과 쿼드(4개) 등 카메라모듈 채택을 늘리는 추세에 따른 것으로 2018년만 해도 스마트폰 전·후면 통틀어 2∼3개 정도 쓰였던 카메라모듈이 지난해 4∼5개, 폴더블폰의 경우 6∼7개까지 늘어나고 있어 성장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탑엔지니어링은 2차전지와 카메라모듈 장비 등 디스플레이장비 외에 다양한 장비 제품군으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면서 올해도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2차전지 공장 건설이 국내외에서 대규모로 이뤄지면서 탑엔지니어링과 파워로직스의 실적개선 기대감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탑엔지니어링의 1분기 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17,000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현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이 충분히 있어 보입니다

 

원달러환율이 급등하지 않는한 발주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실적호전은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탑엔지니어링 IR 2018.pdf
0.66MB
탑엔지니어링_20200807 키움증권.pdf
0.1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v0DvLSfAP3Q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디에이테크놀로지는 LG에너지솔루션과 98억원 규모 이차전지 조립공정 제조 설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는데 이번에 LG에너지솔루션에 공급하는 장비는 원통형 배터리 후공정 조립라인에 적용될 전망입니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올해 글로벌 주요 배터리 기업들의 신규 생산라인 증설에 따른 추가적인 수주를 기대하고 있는데 최근 국내는 물론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의 공격적인 투자가 이어지고 있어 추가수주가 더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7조2000억원을 투자해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 전기차용 원통형 배터리와 에너지저장장치(ESS)용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생산라인을 갖출 예정이고 또 현대자동차그룹은 미국에서 SK온, LG에너지솔루션과 각각 전기차 배터리 생산을 위한 합작법인(JV) 설립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노칭(Notching) 장비와 스태킹(Stacking) 장비, 원통형 CSW조립장비, 세정장비 등 배터리 후공정 전라인에 특화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고 특히 기존 프레스 펀칭의 한계를 극복한 초정밀 레이저 노칭 기술과 양극과 음극 등 이차전지 소재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쌓는 Z-스태킹 분야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어 2차전지제조장비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최근 전기차 배터리는 물론 드론 및 로봇에 적용되는 초소형 이차전지 등 사업영역을 다각화해 나가고 있어 전기차배터리 업체들의 미국 공장 건설의 수혜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회사 관계자는 “원통형, 파우치형, 각형 등 모든 폼팩터 적용이 가능한 후공정 장비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어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과 안정적인 협업관계를 구축하고 있다”며 “국내 및 해외 신규 라인 증설에 따른 장비 수요 확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생산능력(CAPA)을 확충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고 이어 “주요 거래처들의 신규 폼팩터 변화에 맞춘 제조장비 연구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며 “올해 목표로 잡은 1500억 규모 수주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디에이테크놀로지의 고객사는 LG엔손이 가장 큰 고객사이고 이외에도 GM 전기차부문과 리비안도 고객사로 두고 있고 ENERTECH와 ENOVIX같은 유럽기업들과 올 해 2분기 납품을 예정하고 있어 고객층을 늘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디에이테크놀로지가 12회차 전환사채 의 주식전환을 위해 IR을 강화하고있는데 지난 2월 10일 전환가액조정을 통해 3,402원에1,793,062주가 전환될 수 있어 주가를 끌어올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환사채가 주식전환될 경우 그만큼의 부채가 사라지고 자본이 확충되는 효과가 있어 재무구조가 건실해 지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G7UHJkCKfdw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티에스아이는 2차전지 제조장비주로 2차전지 음극과 양극을 만드는 전극공정의 믹싱방비를 만드는 업체입니다

 

지난 3월에 최대주주였던 표인식 대표가 보유지분 42.95%를 경영권과 함께 안다자산운용이 만든 사모펀드 TSI-안다H 일반사모투자신탁 제6호에 매각하였는데 이후 전환사채의 전환가격 조정을 완료하고 대규모 수주를 통해 본격적으로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티에스아이는 2008년 전량 일본에서 수입해 오던 믹싱시스템의 일부를 국산화하면서 사업을 본궤도에 올려 놓았는데 삼성SDI텐진공장에 믹싱시스템을 공급하고 이후 SK온과 LG에너지솔루션에도 공급했고 이후 해외업체인 노스볼트에도 믹싱시스템을 공급하며 2차전지 장비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2020년 코넥스 시장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이전상장에 성공했고 코로나19 와중에 실적 부침이 있었지만 최근들어 대규모 수주를 이어가면서 외형성장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2022년 매출액 1487억원에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하며 50억원을 달성했고 당기순이익도 32억원을 실현했습니다

 

안다H자산운용은 중견 헤지펀드 운용사인 안다자산운용이 메자닌 투자를 전담해온 대체투자 2본부를 물적 분할해 지난해 4월 설립했는데 티에스아이가 발행한 전환사채를 인수하여 약 7%대 지분을 확보하여 2대주주에 오를 수 있었는데 투자자를 모집해 경영권을 인수할 수 있는 사모펀드를 만들어 경영권을 인수한 상황입니다

 

경영권이 사모펀드에 넘어가고 최근 줄줄이 대규모 수주공시를 내놓고 있는데 기존 전환사채도 행사하여 부채가 줄고 자본이 증가하는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최근 2차전지 제조공장에 대한 투자가 급증하면서 수주공시가 급증하고 있어 작년보다 올 해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큰 상황입니다

 

여기다 삼성SDI의 전고체배터리 조기양산 가능성에 티에스아이는 전고체배터리 제조장비도 납품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추가적인 실적증가도 예상되고 있습니다

 

사모펀드가 최대주주인 이상 단기간 기업가치 급등을 통해 주가 급등을 유도할 가능성이 큰데 전환사채의 주식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주가급등이라 할 수 있습니다

 

2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2025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여 그때까지는 티에스아이의 실적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티에스아이_20230323_대신증권.pdf
0.3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7tNsrVXGgNI

안녕하세요

2차전지 장비 제조 전문기업 디에이테크놀로지가 1000억원 이상의 대규모 수주를 소화하기 위해 공장 가동률을 높이고 있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2차전지 수요 증가로 주요 글로벌 고객사의 공장 증설이 확대되면서 지속적인 수혜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 양극 레이저 노칭 및 스태킹 설비, 원통형 배터리용 조립라인 등 주력 2차전지 장비를 LG에너지솔루션에 납품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아 국내외 공급망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지난해 단일판매·공급계약체결 공시 기준으로 약 1000억원 이상 규모의 수주를 확보했는데 회사 측에 따르면 지난해 수주 실적이 매출에 반영되면서 올해 1분기 실적 반등을 기대하고 있으며, 시중은행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해 공급 계획대로 제품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에이테크놀로지가 12회차 전환사채 의 주식전환을 위해 IR을 강화하고있는데 지난 2월 10일 전환가액조정을 통해 3,402원에 1,793,062주가 전환될 수 있어 주가를 끌어올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환사채가 주식전환될 경우 그만큼의 부채가 사라지고 자본이 확충되는 효과가 있어 재무구조가 건실해 지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2차전지 제조장비주들도 고객사인 2차전지 제조사들의 투자가 늘어야 실적도 늘어나는 천수답 형식의 사업구조를 갖고 있어 LG엔손의 미주공장에 기대감이 큰 상태로 본격적인 발주가 나오고 있기 때문에 수혜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디에이테크놀로지의 고객사는 LG엔손이 가장 큰 고객사이고 이외에도 GM 전기차부문과 리비안도 고객사로 두고 있고 ENERTECH와 ENOVIX같은 유럽기업들과 올 해 2분기 납품을 예정하고 있어 고객층을 늘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2차전지 시장의 성장과 함께 수요도 늘고 있어 실적 개선 속도가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종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디에이테크놀로지 20190220 토러스.pdf
0.35MB
디에이테크놀로지 IR 20221206.pdf
7.04MB
디에이테크놀로지20220506.pdf
4.27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