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외국인투자자들의 대규모 주식투매에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가 모두 5%이상 폭락세를 나타냈지만 원달러환율은 외환당국의 시장개입으로 1,460원대를 지켜내는 모습입니다

 

외국인투자자들은 정부의 환율방어 기간에 안정적으로 주식을 매도한 자금을 해외로 빼나가는 모습입니다

 

국내 기관투자자들이 지수 방어에 소극적인 모습으로 일관하는 사이 개인투자자들이 대거 외국인 매물을 받아내는 모습인데 단기급락에 저가매수에 나선 개인투자자들이 외국인 매물에 주가가 하락하며 체결된 것이라 개인투자자들이 물렸다고 볼 수 있는 물량입니다

 

외국인투자자들은 트럼프의 상호관세에 우리나라가 큰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는데 대미무역수지 흑자가 연간 500억 달러대로 늘어난 상태에서 상호관세로 상당한 대미무역흑자가 줄어들 것으로 보여 충격이 클 것으로 판단한 모습입니다

 

한중일 FTA를 통해 대응하다고하지만 아직 논의를 시작하는 수준이라 실제 세계 3위급의 자유무역지대가 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협의와 진통이 필요해 보입니다

 

7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33.7원 오른 1467.8원에 거래를 마쳤는데 하루 상승 폭으로는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이후 5년여 만에 최대치로 이날 원·엔 환율도 1008.21원을 기록하며 1000원을 돌파했습니다

 

일본에서 반도체와 각종 기계 소재와 부품을 수입하는 우리나라 입장에서 일본 엔화강세는 수입물가를 자극할 수 있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그리 기분좋은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정부는 원달러환율을 1,500원 이상으로 가져가 수출 기업의 수출가격경쟁력을 높여주고 미국 상호관세로 인한 부분을 상쇄하려는 것이 아닌가 우려되는데 수입물가를 포기하고 인플레이션을 조장한다는 측면에서 아주 나쁜 하수의 수를 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개인돈 2억원을 아들 유학자금을 위해 미국 국채에 투자한 것이 알려지면서 도덕적 헤이 문제를 넘어 직권낭용으로 국민경제를 망치고 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어 외국인투자자들이 이 기회를 이용해 원화자산을 매각하고 달러를 회수해 가는 것 같습니다

 

조기대선을 통해 사리사욕에 짜들고 무능한 윤석열 정부의 장관들을 조기에 해임하고 능력있는 인사를 적재적소에 임명해야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투자자로서 이런 한심한 정부는 역대급으로 본 적이 없습니다

 

기관투자자들도 외국인투매에 손을 놓고 지수가 붕괴되는 것을 그져 지켜보며 저가에 살 계산만 하고 있는 것 같아 열받는데 이미 시장은 손절을 하는 투자자가 손실을 뒤집어 쓰게 되는 구조로 들어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손절을 통해 현금을 들고 하락이 멈추길 기다리던지 아니면 그냥 물리고 V자 반등이 나오길 기다리는 것이 현명할 수 있습니다

 

트럼프도 미국 증시가 계속 폭락하면 더는 버틸 수 없기에 상호관세에 어떤 식으로든 양보안을 내놓을 수 밖에 없고 이때 협상에서 오래 버티는 놈이 이기는 치킨게임이 되어버린 양상입니다

 

우리는 새로운 협상을 할 정부가 60일 이후 탄생하기 때문에 그 전에는 책임있는 협상을 할 수 없어 오히려 협상국 순위에서 뒤로 밀리는 상황이라 다른 국가들이 어떻게 협상하는 지 결과를 보고 협상장에 나갈 수 있습니다

 

힘들고 역겨운 시기를 맞아 인내하는 투자자들이 결국 수익을 가져가는 장세가 연출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2lizz6-bHIU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JYP Ent의 2분기 실적발표 후 어닝쇼크로 주가 급락세를 보였는데 상반기 소속 아티스트들의 활동이 줄어들면서 실적부진이 나타났습니다

 

JYP Ent의 주력 아티스트인 트와이스가 하반기 본격 활동을 시작하는데 일본에서 정규앨범을 발표하고 콘서트 활동을 재개하며 10월에는 데뷔 9주년 팬미팅 활동을 이어가고 12월 미니앨범 발표를 앞두고 있어 하반기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트레이 키드는 미국에서 앨범판매량 100만장을 돌파하면서 미국내 인기를 실감케하고 있습니다

 

스트레이 키즈는 최근 2024년 첫 컴백작이자 최신작 '에이트(ATE)'로 미국 내 싱글과 앨범 판매량 50만 이상을 넘기며 미국 레코드산업협회(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로부터 통산 일곱 번째 골드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스트레이 키즈는 11월 3일(현지시간) 가오슝, 11월 14일과 16일~17일 일본 도쿄, 23일 필리핀 마닐라, 29일~30일 마카오, 12월 5일과 7일~8일 일본 오사카, 14일 태국 방콕, 21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2025년 1월 18일~19일 홍콩 등지에서 관객들과 만나고 향후 라틴 아메리카, 북미, 유럽 등 더 많은 지역으로 투어 반경을 넓힐 예정입니다

 

다만 JYP Ent는 스트레이키즈와 재계약 문제가 걸려 있는데 재계약을 하더라도 이전보다 많은 몫을 아티스트에게 줘야 해서 수익이 남는 재계약은 아닐 것이라는 말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JYP Ent는 KBS 프로그램 더딴따라(자회사 이닛엔터 제작, 4분기 제작비 반영)를 통해 내년 상반기 다수의 엔터테이너를 데뷔시킬 예정.'라고 알려져 회사에 수익이 되는 저연차 아티스트의 데뷔를 앞두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15일 미만의 무비자 방문을 허가하면서 중국정부가 한한령 해제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JYP Ent는 3분기 실적까지는 회복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이지만 4분기때는 확실히 수익개선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를 갖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JYP ENT 24Q2_실적발표_KOR.pdf
1.95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bk3ksWTOEyQ

안녕하세요

코스맥스는 직접 화장품을 연구 및 개발하고 생산하는 화장품 ODM 전문 기업으로 1992년 설립이래 화장품 ODM 분야에 집중해왔고 한국을 대표하는 ODM 기업이자, 화장품 ODM 사업 부문 매출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입니다

 

국내 고객사 외에도 세계 최대의 화장품 그룹인 프랑스 로레알 그룹의 프리미엄 브랜드에까지 확대 공급하고 있고,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에서 유럽, 미국을 포함하여 전세계 주요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

 

또한 쿠션 파운데이션은 전 세계 시장에 3억개 이상을 공급한 차세대 히트 제품으로 국내 및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를 포함한 여러 고객사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코스맥스는 일본 최대 화장품 브랜드 S사에 컬러 메이크업 제품을 ODM 방식으로 공급하였는데 일본의 유수 기업이 한국 화장품 ODM 기업으로부터 제품을 공급받은 것은 최초의 사례로, 한국 화장품이 글로벌 수준의 제품력을 갖추었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2004년, 상해에 코스맥스차이나를 설립하며 중국 사업을 시작했고, 상해 사업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후 2013년에 코스맥스광저우를 설립하여 중국에서의 사업을 확장하였습니다.

 

최근에 코스맥스는 중국 이센(逸仙電商) 그룹과 합작해 설립한 ‘이센생물과학유한공사(逸仙生物科技有限公司)’ 공장이 정식 가동에 들어갔습니다.

 

신공장은 중국 광저우시 총화구 밍주공업개발원(明珠工業開發院)에 6만593㎡(약 1만8320평) 규모로 조성됐는데 단일 화장품 공장으로 아시아 최대 규모입니다.

 

코스맥스는 지난 2020년 중국 이센과 자본금 4억 위안(약 734억 원) 규모의 조인트벤처(JV)를 설립하고 공장 설립을 추진했는데 이 공장은 2017년 준공한 상하이 2공장 이후 6년 만에 가동하는 최신 공장으로, 코스맥스의 30년 주문자부착생산(ODM) 노하우를 집약한 친환경·스마트팩토리입니다.

 

태양광 발전을 포함한 자원 절약 설비와 수자원 및 대기 오염을 최소화하는 정화 설비를 갖췄고 또 자동화 공정 및 물류 시스템을 적용했습니다.

 

1차 생산 계획은 월간 500만 개 수준이며, 월간 3000만 개(연간 약 4억 개) 수준까지 생산량을 확대할 방침으로 3000만 개 생산 시 고용인원은 약 2500명에 이를 것으로 회사 측은 추산하고 있습니다.

 

코스맥스와 협력한 이센그룹은 중국 1위 색조 브랜드 ‘퍼펙트다이어리(Perfect Diary?完美日記)의 모회사로 2020년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해 있습니다.

 

코스맥스는 브랜드 출범 당시부터 퍼펙트다이어리의 개발 및 생산을 맡아오고 있는데 코스맥스는 기존 상하이·광저우 공장에서 생산하던 이센 물량을 신공장에 순차적으로 이관할 예정으로 이로 인해 기존 공장에 추가 생산 여력이 발생하는 만큼, 중국 진출을 모색하는 국내 브랜드 등의 신규 고객사를 적극 발굴해 중국 화장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투자를 늘리고 있습니다

 

코스맥스의 2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16만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향후 추가적인 주가 상승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코스맥스 2023Q2 실적발표 20230811.pdf
1.73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ROkyW6Tt4lU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드라마와 영화 등 엔터 산업 전반에 경기침체의 불안감이 드리우면서 관련 예산이 축소되고 있다는 부정적인 뉴스에 드라마 제작사와 영화제작사들의 주가가 죽을 쑤고 있는 상황인데 한중관계도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악화되면서 중국의 한한령 해제가 불확실해지면서 중국의 K콘텐츠 정식 수입이 다시 물 건너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스튜디오드래곤도 지난 3월 10일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 2부 공개 전후에도 드라마의 히트와 반대로 주가는 흘러내리기만 한 상황입니다

 

스튜디오드래곤의 주가는 연초(1월 2일)부터 공개 전날인 3월 9일까지 주가는 7%가량 하락했고, 공개 당일엔 전일 대비 0.25% 오르는 데 그쳤고 이후 주가는 하락세를 지속했습니다.

 

올 해 경기침쳉 대해 광고사들이 광고비 예산 확보에 눈치를 보면서 드라마와 영화 제작비 산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연초 예상한 드라마제작편수가 줄어들 수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엔터업계에서 나오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스튜디오드래곤은 올 하반기 대형 작품들 제작을 예고하고 있는데 특히 '아스달연대기2', '경성크리처', '스위트홈2' 등 제작비 20억원 이상의 고마진 작품이 공개가 예정돼 수익성도 나아질 것이란 전망입니다

 

넷플릭스와의 재계약, 디즈니플러스·넷플릭스·아마존 동시 방영에 따른 추가 수익성 개선 가능성도 있는데 '눈물의 여왕(주연·김수현)', '별들에게 물어봐(이민호)' 등 한류 스타 출연 구작·신작이 풍부한 만큼 중국 동시 방영 기대감도 부풀고 있단 분석이고 미국 현지 제작 드라마 확대 소식도 호재란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다만 한중관계가 윤석열 정부 들어서 악화되면서 한한령해제가 불확실해진 것이 악재로 작용하고 있는데 중국 정부가 민간사업과 윤석열 정부에 대한 대응을 분리할 것이라는 말들이 중국 쪽에서 나오면서 그나마 희망이 있어 보입니다

 

중국정부가 중국사드보복 당시 반중정서만 강화되었다는 반성에서 윤석열 정부와 한국인들을 분리해 대응하는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소한 중국시장에 대한 한한령이 해제되면 우리 K콘텐츠주들은 실적호전의 호기를 잡게 될 수 있습니다

 

아울러 K콘텐츠와 함께 우리 상품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어 다시금 중국소비주들에 대해 기대감을 갖게하고 있습니다

 

스튜디오드래곤의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83,000원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저평가구간에 놓여 있는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스튜디오드래곤]_2023년_1분기_경영_실적_vF.pdf
2.02MB
스튜디오드래곤 20230208 삼성증권.pdf
0.96MB
스튜디오드래곤 20230302 HN투자증권.pdf
0.39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NpgMDG7nBic

안녕하세요

코로나19팬데믹으로 큰 타격을 받은 화장품업계가 본격적인 매출정상화에 착수하고 있는데 정부도 실내 마스크 해제를 설연휴 이후 겨울철이 지나면 해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화장품주의 실적회복에 기대감이 큰 상황입니다

 

작년 하반기 중국정부의 제로코로나정책 철회에 따라 한한령도 철회되고 다시금 중국과의 활발한 보따리상 거래가 일어날 것으로 기대됐지만 혐중론에 입각한 중국발 입국자 격리조치로 중국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수그러들고 있어 화장품주 전반에는 아직 망설이는 투자자들이 많은 모습입니다

 

이중 "에이블씨엔씨"는 최악까지 갔다 다시 부활하고 있는 모습을 숫자로 확인시켜주면서 실적호전에 따른 주가 회복과 M&A를 통한 새로운 주인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빠르게 반영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에이블씨엔씨는 국내에서는 그 모태가 되는 미샤의 로드샵 뿐 아니라, 온라인 (자사몰, 제휴몰), H&B, 대형유통점, 면세 등 다양한 채널에서 각 브랜드의 특성과 타겟고객에 맞추어 채널사와의 협업하에 성장 중에 있습니다

 

에이블씨엔씨의 해외 사업의 경우 미샤 론칭 초기부터 꾸준히 해외 시장에 도전하며 K-Beauty의 우수성을 세계로 널리 알리는데 앞장서 왔는데 현재 중국, 일본, 미국, 유럽, 동남아 등 46여 개 국가에서 약 5만여개의 매장에 진출 해 있으며, 특히 일본, 미국, 중국은 현지 법인을 설립하며 적극적으로 시장을 개척하고 강력한 인프라를 구축했습니다.

 

에이블씨엔씨는 명실상부 글로벌 회사로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브랜드 포트폴리오와 현지화 전략을 통하여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3분기 실적 기준 흑자전환에 성공했고 약 8,000원대가 적정주가로 평가되는데 M&A를 통한 경영권프리미엄을 감안하면 15,000원대 주가는 되야 적정하게 평가받은 것으로 볼 수 있어 경영권 매각이 주요 모멘텀이 될 수 있을 겁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에이블씨엔씨 20190307 키움증권.pdf
0.55MB

728x90
반응형